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특화 평가모델 개발연구

        이향은 ( Lee Hyang E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소비자들이 기업을 평가하는 요소로 제품은 물론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층위에서 고객과의 접점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디자인의 가치가 중대해지며 서비스경영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혹은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신규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의 요소가 되었다. 과거 서비스에 대한 평가는 주로 경제학이나 산업공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에 입각해 서비스를 감성적인 영역으로 확대하여 소비자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이는 서비스경영의 시대에 제품의 경쟁우위 검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서비스 품질만을 평가하는 모델과 방법론은 존재하나 ‘감성적 접근’ 과 ‘다양한 입장’이 중요한 서비스디자인의 취지와 프로세스를 수용하고 반영하는 서비스디자인 평가 모델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서비스디자인 본연의 가치를 지표화한 평가 모델 개발로 서비스디자인 연구의 폭을 넓히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기존의 서비스 평가모델들을 분석하여 서비스평가에 필요한 필수요소를 도출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의 5원칙Sequencing, Holistic, User Centered, Co-creation, Evidencing의 단계별 특징을 인지하고 정성평가의 주요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에 입각해 평가모델의 전체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서비스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구별 지을 수 있도록 서비스 라이프사이클을 3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이해관계자 그룹과의 교차분석을 통해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이해관계자별 검증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인 서비스디자인 특화평가모델은 첫째 디자인의 전문영역으로서의 서비스디자인에 특화된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기초연구와 기획에 서비스디자인의 특징이 반영되었고, 둘째 감성어휘에 제한되어 있던 정성평가에 고객감성을 척도화 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으며, 셋째 기업에서 실제로 활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실용성을 기준으로 서비스디자인 특화 정량·정성 평가모델이 설계되었다. 추후 실제 기업에서 제공되는 제품/서비스를 접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된 구조의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실시하여 측정항목 및 측정내용에 대한 수정사항을 보완하고, 보다 정확하고 의미 있는 조사결과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 특화 평가모델을 완성시키고자 한다. 서비스디자인 특화 정량/정성 평가모델의 개발완성을 위해 본 연구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진행 중이다.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ir products and services is a key factor in evaluating a company. Therefore, the value of differentiated service design that plans and manages touch points with customers becomes significant, and it is gradually watching the arrival of the era of service management. Service design has become an element of innovation that can create value by providing users with new experiences. In the past, the evaluation of services has mainly been performed in economics or industrial engineering. If we can extend the service to the emotional area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and measure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service quality in depth, it can be used as the product competitive advantage test in the era of service management. There are models and methodologies that only evaluate service quality, but there are few types of research on service design - specific evaluation models that reflects the purpose and process of service design which ‘emotional approach’ and ‘various position’ are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which indexes the value of service design. For this study, I analyzed the existing service evaluation models and derive essential elements for service evaluation. In order to positiv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the 5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are set as the guideline of qualitative evaluation features of Sequencing, Holistic, User Centered, Co-creation, and Evidencing. The service lifecycl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o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design could be distinguished, and the verification factors of each stakeholder according to the life cycle were derived through cross - analysis with each stakeholder group. In the case of qualitative evaluation, 5 categories of evaluation items are selected based on the five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The service design specialization evaluation model, which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are reflected in basic research and planning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hat is specialized in service design. Second, a new method to measure emotions is proposed. Thirdly, service design specific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is designed based on practicality with consideration for practical use. In the future, I will conduct a quantitative survey and a qualitative survey of the structure designed for users who are in contact with products/services provided by actual companies, and revised to the items of measurement, Service design specialized evaluation model.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is undergoing to complete development of service design-specific quantitative/qualitative evaluation model.

      • KCI등재

        디자인 트렌드 예측 프로세스 모델 연구

        이향은(Hyang Eun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디자인 트렌드’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제품 개발과정의 결과로 생기는 변화``로 재정의 할 수 있다. 디자인트렌드를 예측하는 것은, 기존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것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의미 조직망을 형성하는 것이다. 디자인트렌드를 움직이는 많은 요소들 중에 가장영향력이 강한 원동력은 디자이너 개인의 경험이다. 경험이 통찰력을 만들고, 통찰력이 영감을 창출시키며, 이일련의 과정이 트렌드 예측력으로 재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이너의 직관 중심의 연구결과로 트렌드예측시스템을 구조화한 경험소싱(sourcing)법을 개발했다. 소스시트(source sheet)-시뮬레이션(simulation)-트렌드엘리먼트(trend elements)-아이데이션(ideation)-뉴 시나리오(new lifestyle scenario)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되는 경험소싱법은 직관의 활용도가 높은 디자이너들에게 현재와 근 미래의 라이프스타일 연구법을 접목함으로써 현실기반의 실천적 트렌드예측을 할 수 있도록돕는다. 또한 추상적이고 실제 제품과 다소 유리되어 있는 트렌드 정보를 구체적인 디자인 영감(insight)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구조와 방법을 사용했다. 본 프로세스 모델은 디자인트렌드의 모호성을 보완하기 위해 모든 단계에 걸쳐 중복체크의 과정을 갖는다. 또한 형식요소와 의미요소가 결합되고, 회상(개인적 변수)과 미래전망(사회적 변수)이 교차한다. 라이프스타일 연구의 프레임(frame)과 플로우(flow)를 적용하여 기존의 디자인트렌드예측법과의 차별점도 갖는다. 경험은 확장과 응용가능성이 무한하기 때문에 본 개발모델의 확장가능성에 주목하여 실제 제품개발과정에 적용한 검증사례가 후속연구로 진행 중이다. ‘Design trend’ can be redefined by ``changes caused by the result of product development creating new demands``. Among the lots of factors moving design trend, the driving force which has the strongest influence and hypothesis of designer``s individual experiences could be confirmed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Experiences make insight, insight creates inspiration and a series of the process is organized by trend forecasting again. The sourcing method established by the research contents was structurized by trend forecasting system focusing on designer`s intuition. It`s organized by five stages; source sheet - simulation - trend elements - ideaton - new lifestyle scenario. The process model has a characteristic which has double check in the whole stages so as to complement the vagueness of design trend. In addition, it is different from existing method of design trend forecasting because formative elements are combined with meaning elements, recollection (individual variable) and future`s prospect (social variable) are exchanged and frame and flow of the study on lifestyle are applied. Also, experiences which became source have unlimited possibilities of expansion and application,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expansion.

      • KCI등재

        디자인트렌드예측을 위한 디자이너 경험의 발화조건과 구조에 관한 연구

        이향은 ( Hyang Eu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기업에서의 디자인트렌드예측 프로세스는 공통적으로 준비작업 - Key Factor발견 - 교차분석 - 시나리오 도출 - 비전/전략 설정 - 시각화 - 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선행연구를 통해 통찰력은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통찰력이 좋을수록 트렌드 예측력은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자이너에게 축적되어 있는 다양한 경험들을 유형화하고 그 유형별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피드백을 통해 창조적 사고가 일어나며 영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디자이너의 축적된 경험을 특성에 따라 요인화하고 체계화함에 따라 디자인트렌드를 만드는 영감(창의성)으로 발화시킬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트렌드예측의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의 디자인경영 프레임 속에서 트렌드 예측부분을 강화하였는데, 특히 가장 기초단계인 ‘Key Factor발견’의 과정을 다각화하고 Factor의 질을 차별화하기 위해 디자이너 개인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디자인경영의 프레임에 관한 문헌고찰과 경험에 대한 선행이론 연구, 해외 및 국내 기업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트렌드 예측프로세스를 조사하고, 성공적인 기업의 트렌드예측경영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의 영감에 영향을 주는 디자이너 개인의 경험을 활용하기 위한 조건에는 (1)긍정적 경험의 확장, (2) 간접경험의 직접경험화, (3)혁신수용도와 전파력, (4)부유경험의 활용도, (5)기대심리를 자극해야 한다는 분석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를 구조화하였다. For explaining the model of design trend forecasting, trend forecasting was strengthened in existing frame of design management. Pivotal contents are the source of designer``s individual experiences. It``s for the planning stage of design process in enterprises and its basic range is the application for establishing new concept or strategy, including research. To achieve it, literature review for design management``s frame and study on precedent theories of experiences were conducted. The trend forecasting process which is used actually in external and internal enterprises was examined and examples of successful enterprises`` trend forecast managemen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l of the process is for examining formation process and agents of design trend forecasting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and analytical study was progressed by results of multidisciplinary analysis. For design, kinds and methods of experiences giving inspiration, process of their action and strengths/weaknesses of the process were grasped and realities of current industry were verifi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relationship between inspiration and insight and factors of insight were established and designer``s individual experiences became source. And then, the process improving forecasting ability was modeling with the source. The sourcing method established by the research contents was structurized by trend forecasting system focusing on designer``s intuition. It``s organized by five findings;(1)extension of posotive experience, (2)Making it direct from indirect experience, (3)innovation acceptance, (4)utilizing floating experience, (5)stimulating expected mind.

      • KCI등재

        효모 유래 셀레늄 펩타이드의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한 UVB 보호효과

        이향복(Hyang-Bok Lee),이정옥(Jung-Ok Lee),호앙구엔(Dung H. Nguyen),윤선아(SunA Yoon),엄지민(Jimin Um),이유리(Yu Ri Lee),문형인(Hyung-In Moon),정진호(Jin Ho Chung),김은기(Eun-Ki Kim) 한국생물공학회 2009 KSBB Journal Vol.24 No.5

        셀레늄 함유 펩타이드 (셀레늄 펩타이드)는 무기 셀레늄이 포함된 배지에서 효모를 배양하여 효모의 자가분해에 의해 만들었다. 효모 배양에 의해 만들어진 셀레늄 펩타이드는 GPx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UVB 조사가 된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셀레늄 나이트레이트는 10<SUP>-9</SUP> 몰 농도에서 낮은 세포독성을 보인반면 셀레늄 펩타이드는 최소의 독성만을 보였다. 또한 셀레늄 펩타이드는 인간 섬유아세포의 성장과 procollagen type I을 증가시킨 반면 MMP-1의 감소를 가져왔다. 연구결과 셀레늄 펩타이드가 무독성의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Selenium-containing peptide (Selenium peptide) was produced by autolysi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was cultured in inorganic selenium-supplemented medium. Selenium peptide showed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UVB irradiated human fibroblast. Minimal toxicity of selenium peptide was observed whereas selenium nitrate exhibited cell toxicity as low as 10<SUP>-9</SUP> M. Selenium peptide also increased human fibroblast growth, procollagen type I and also decreased MMP-1 (matrix metalloprotease-1). This result showed the potential of selenium peptide as a nontoxic antioxidant.

      • KCI등재

        프리미엄 디자인 요소 우위분석을 위한 아이트래킹(Eye Tracking) 사용자 조사

        이향은(Hyang Eun Lee),심효영(Hyo Young Sh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프리미엄 시대를 살고 있는 혁신소비자들은 어떠한 기준에 의해 구매활동을 하고 어디서부터 그 동기를 부여받는지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선호하는 디자인을 살펴보면 혁신소비 대상의 프리미엄 디자인 요인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혁신소비자 12인을 선정하여 프리미엄 디자인 비교우위분석 아이 트래킹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공의 크기와 위치, 안구 고정(Eye Fixation)과 안구도약(Saccade) 등 외부 자극에 대해 안구에서 발생하는 즉각적인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는 장비인 아이트래커를 활용해 표면의 재질을 달리 사용하거나 컬러, 크기 등을 다르게 한 같은 디자인의 정수기, 에스프레소머신 등 주방가전용품의 이미지를 비교 배치하여 피실험자로 하여금 더 프리미엄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오래 응시하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도출한 프리미엄 디자인의 요소를 Color, Material·Finishing, Form, Expression of Information으로 정리하였다. 모든 사람들은 색, 형태 텍스쳐 순으로 사물을 인식하는데 컬러는 사람들이 첫 번째로 보는 요소로 시선을 사로잡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본 실험에서 사용자들은 실버 계열의 메인 컬러와 명도가 낮은 어두운 컬러의 조합을 전체적으로는 고명도, 저채도의 색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재질과 마감 부분의 실험 결과에서 메탈,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은은한 광택과 더불어 거친 텍스쳐를 더 오랫동안 보는 패턴을 보였다. 파팅라인(parting lise)(에 의해 형성되는 대비에서도 시선이 오래 머물러 재질의 적절한 대비를 프리미엄 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형태로 보았을 때는 단단하고 균형 잡힌 모습을 선호하지만 투박하거나 뾰족한 부분 없이 곡선처리 되어 있는 곳을 지속적으로 쳐다보는 것을 발견하였다. 내부 구성에서는 비례, 균형 등의 안정감이 있는 형상에 관심이 높고 기능과 관련되지 않았다면 작고 심플한 외관을 선호한다. 재질과 형태는 남성적, 구체적인 모습을 하여 제품의 안정감, 견고함을 부여하고 선은 여성적, 추상적으로 사용하여 감성을 자극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내장 디스플레이를 통한 심플한 형태와 그로 인한 정보의 부각을 통해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으며 정보창이 부가적인 느낌으로 제작 되었을 때 프리미엄하지 않다고 느낀다. 또한 이미지가 정보를 표현함에 있어 프리미엄한 요소로 분석 되었다.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mium design fact of innovators living in a premium era can be deduced by observing their lifestyle and favorite design including on what basis they buy and what motivates them to do it, 12 innovators were selected, and eye tracking was proceeded for comparative advantage analysis of premium design. The experiment was proceeded for the test subjects to look more at what they think more premium by a comparative placement of image of kitchen appliance including the different materials of surface or different color and size of water purifier and espresso machine with the same design using eye tracker that is a measuring equipment of immediate physiological reaction caused to eyeball by external stimulus including the size and position of pupil, Eye Fixation and Saccade. The elements of premium design deduced from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by Color, Material·Finishing, Form, Expression of Information. Every people usually recognize things in order of color, shape and texture, and the color is the first element seen by people that displays an important role of attracting their attention. In this experiment, users prefer the combination of main silver color and dark color with low brightness, and generally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of color. In an experiment of materials and finishing, they seemed to prefer metal materials including metal and stainless, and showed the pattern of looking more time at quiet gloss and thought texture. Even in a contrast formed by a parting line, they seemed to think premium a proper contrast of materials looking more time at it. Seeing it as a whole, they seemed to prefer the firm and balanced shape, but that they looked continuously at the curve line without unshaped or sharp part. In the internal composition,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stable shape of proportion and balance, and if not related with its function they prefer the small and simple appearance. Its material and shape look masculine and detailed to give stability and solidity to the product, and the line is efficient to stimulate emotion as it is feminine and abstractly used. Its simple shape and the relief of information through its builtin display can attract people``s attention, and the information window, if is produced in additional sense, is not felt premium. Also, the image was analyzed as a premium element to express the information.

      • 스마트 제품 영역에서의 UX디자인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연구

        이향은(Lee, Hyang E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제품의 스마트화 영역이 확대되고 UX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경험디자인이 대두되면서 사용자의 감성이해를 통한 사용자 중심의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UX는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는 제품의 강력한 차별화 요소이자 혁신의 도구이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 및 이론 고찰을 통해 제품디자인에서의 UX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더불어 시대별 UX디자인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개발된 스마트 제품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제품 영역에서의 UX디자인의 역할과 기능을 규명하고 유형화하였다. 구체적으로 UX의 개념이 생성된 1990년대 이후 기술개발의 속도와 함께 본격적 도입이 진행된 2000년대 스마트 제품을 중심으로 UX디자인의 내용과 요소, 핵심가치 등을 분석하고 스마트 제품 영역에서의 UX디자인을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물리적 경험 설계(1차원적), 인지적 경험 설계(2차원적), 선도적 경험 설계(3차원적)로 분류된 각 유형은 서로 교차 영역의 범위가 점차 넓어지며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특징을 보인다. 사용자의 감성 정보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감성에 맞추어 나가는 ICT융합이 제품디자인의 미래를 견인하는 현 시점에서 기술의 진화와 스마트 제품의 UX디자인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를 시작으로 스마트 UX디자인의 트렌드 및 진화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 중이다. With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UX design, experience design is becoming the main issue. User-centered solution by understanding emotion of human has been required more than ever before. UX can be the key to the innovation because it plays a role as a differencing element in the field. The concept of UX design has been redefined and searched UX design feature by the times on this study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studies on developed products confirmed the roles and function of UX design in smart devices. UX design for smart devices was categorized into 3 types what is physical experience design(one-dimensional approach), cognitive experience design (twodimensional approach) and future initiative experience design(three-dimensional approach). Each type used to be applied simultaneously and the boundaries is becoming blurred. Emotion recognition techniques and ICT convergence technology will be the core in smart product design in the near future, A follow-up study based on this paper is in progress for the development of UX for product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