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지역 초등학교의 한글 해득 교육 실천 양상 분석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학교를 중심으로

        이향근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0

        이 연구는 서울지역의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글 해득 교육 실천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서 상대적으로 발생적 문식성 수준이 낮은 지역의 초등학교와 교사공동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글 해득 교육 실천 양상을 분석하였다. A초등학교는 한글 해득 수준이 매우 낮은 학생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학교로써, 교육과정을 감각교육과 놀이교육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특히 2~4주에 걸쳐 진행되는 주기집중 수업을 통하여 입학 초기에 한글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이후에도 1년 동안 긴 호흡으로 이야기를 활용하여 발생적 문식성 차원의 언어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었다. 한편 J교사공동체는 한글 해득 교육에 관심을 가진 교사들로 구성된 자생적인 모임이다. 이들은 언식성 중심의 문자 지도 활동으로 재구성하였으며, 공동체 이외의 교사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했다. 발생적 문식성이 낮은 학생들을 위한 한글 해득 교육 실천 사례는 한글 해득 교육을 긴 호흡으로 1학년 전과정에 재배치하여 진행하면서. 3-4월에 집중적으로 한글 자모 이해 교육을 실행하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언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감각활동이나 놀이, 이야기 읽어주기 등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국가교육과정이 계층 간 교육 격차, 지역 간 교육 격차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지역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spect of Hangul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ocused on School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aspect of Hangul literacy education practice in a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 communities. A elementary school is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very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Hangul literacy, and the curriculum has been reconstructed by focusing on sensory and play edu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cycle intensive class which is conducted over 2~4 weeks, education was intensively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admission. On the other hand, the J teacher community is a self-organized group of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Hangul literacy education. They were reconstructed by literacy activities focused on oracy and actively shared with teachers outside the community. Low-emergency literacy students, the Hangul literacy learning education was relocated to the first year's entire course with a long breath. In March and April, they were concentrating on Hangul literacy understanding education. This can be an example of how the national curriculum is being localized to mitigat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lasses and the gap between regions.

      • KCI등재

        2009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 문학작품의 수록 양상 분석

        이향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6

        This study was included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literature, analyzing aspects. Since 2015 school year is finished both the 2009 revised textbook development, from pre-school grades were taught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2009 Textbook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unlike the previous system of two textbooks, “Language” and “language activities.” But maintains 20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extbook found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for years, he directed the integration of each region and became the main form of textbooks and auxiliary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ks contained in the new textbooks could be analyzed in three significant ways. First,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literary works. Both literary lyricism, narrative literature showed a 10% decline compared to the previous textbooks. Second, was the more excellent classic children’s literature in the private, third, as the foreign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the increase. However, that is lyrical works of cinematic quality of this transformation are concentrated and the place turned out to be more original text contained the textbook literature must address challenges in the process. 이 연구는 2009 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 문학 작품의 수록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2015학년도부터 초등학교 전 학년에서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배우게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이전 교과서와는 달리 ≪국어≫와 ≪국어활동≫의 두 권 체제로 개발되었다. 20여 년 동안 초등국어과 교과서의 교과서명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각 영역의 통합을 지향하면서 주교과서와 보조교과서의 양식을 갖게 되었다. 새로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수록 특성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할 수 있었다. 첫째, 수록 문학작품 수의 감소이다. 서정문학, 서사문학 작품 모두 이전 교과서에 비하여 10% 정도 감소폭을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문학사적으로 우수한 명작이 수록 비율이 증가하였고, 셋째, 외국 문학작품의 수록 양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정작품들이 편중되어 배치되고 원텍스트의 작품성이 변용되어 수록된 점은 교과서 문학작품 수록과정에서 해결해야 과제로 드러났다.

      • KCI등재

        한국 아동문학 번역 작품의 표지(表紙) 분석 연구

        이향근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ook cover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ranslation works.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hich showed explosive growth from the 1990s, has recently been published as a translation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Translation can be a starting point for examining the internationalization aspect of children’s literature, since it serves as a link between the starting language culture in which the text is produced and the culture of the destination language in which the text is embraced. Barthe’s semiotics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marking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ranslation works. Barthe emphasized the basis for generating the implication meaning by separating the semantics of sign and period into denotation and connotation. He said that the meaning of the implications produced by symbols substitutes for the mythical meaning by reinforcing or rejecting the notion of dominating socie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the sign of translator as semi - syntactic analysis, 50 items were chosen based on the sales volume and the ratings. The analysis was based on graphic design elements and linguistic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f the book covers are microscopic, they are books that contain old or traditional Korean culture, or picture books that stimulate children’s thinking and imagination. Also, when the title of the book was revised and presented, if the language system of the destination language or the appropriate vocabulary was changed, a point considering the interest of the destination language children was captured. Finally, there were cases where both the graphic design element and the linguistic element of the cover were modified. These the book covers were translated into adult literatures according to the culture of destination language, and the tendency of the animations of the books to flow into the original text was changed. 이 연구는 한국 아동문학 번역 작품의 표지(表紙)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아동문학번역 작품의 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바르트의 기호학 모델을 활용하였다. 그는 기호가 생산해내는 공시 의미(connotation)가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관념을 강화하거나 거부하도록 하여 신화적 의미로 치환시킨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서 표지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여 도착어문화권에 수용되는 양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판매량과 평점을 기준으로 한국 아동문학 번역서 50편을 선정하였으며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를 중심으로 의미 작용을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표지의 변형이 미시적인 경우는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를 담은 도서들이거나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창작 그림책들이었다. 둘째, 표지의 언어적 요소는 도착어권 아동의작품에 대한 유인가를 높이기 위해 표현을 수정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새로운 표지로 각색된경우는 『마당을 나온 암탉』이 대표적이었다. 도착어권의 문화에 따라 새로운 표지로 각색되었으며, 성인문학으로 발간되거나, 원텍스트보다 이후 발간된 애니메이션의 주요 장면으로 변형되기도 하였다. 한국아동문학 번역 작품의 표지 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고유문화나 아동의 상상력을동원하여 해석 가능한 작품들은 미시적인 수준에서 변형되고 있으나, 그 외의 작품들은 도착어권 문화에 따라 작품의 제목이나 표지의 그래픽 양상이 다양하게 변형되고 있다. 따라서 낯선 문화를 담고 있는 한국아동문학 작품은 작품에 내재한 독특함을 강화하여 번역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창작물은 도착어권의 해석과 가치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통하여 재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 KCI등재

        초등 시교육에서 ‘감각적 표현’ 교수⋅학습의 개선 방향

        이향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7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감각적 표현’ 교수·학습의 쟁점을 검토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감각적 표현’은 국어과교육과정 문학 영역에서 꾸준히 학습 요소로 기능해 왔다. 특히 초등 시교육에서는 이미지 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개념으로서 시 텍스트에서 물리적으로 나타난 특정 표현을 확인하고, 그 표현이 주는 효과를 탐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는 이미지의 본질을 탐색하게 하기보다는 감각적 세부 묘사(sensory detail) 즉 이미저리(imagery)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시 텍스트에 형상화된 이미지를 추체험하거나 개별 독자의 다양한 체험과 느낌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와 관련된 담론을 기반으로 ‘감각적 표현’의 역할을 재검토하고, 대안적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감각적 표현’은 주체와 이미지를 연결하는 언어 도구로써 시를 감상하는 독자의 의미 부여에 관여한다. 이미저리로서 ‘감각적 표현’은 시적 주체가 형상화한 이미지를 파악하도록 유도하는 매개체인 것이다. 학습 독자는 시어를 읽고 대상을 확인하는 차원을넘어서 해당 시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체의 느낌과 정서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음성상징 표현을 찾아보거나, ‘감각적 표현’이 ‘생생하다’는 관념적 접근은 수정될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각적 표현’과 느낌 연결짓기, 느낌의 낙차 발견하기를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 of learning experience of ‘sensory expression’, which is continuously dealt with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Sensory expression’ has consistently functioned as a learning elemen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literature.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identifying specific expressions physically appearing in poetry texts as a basic concept for image education and exploring the effects of those expressions. However, this caused a problem that did not reflect the various experiences and feelings of readers experiencing poetry by paying attention to detailed description (sensory detail), that is, image, rather than exploring the nature of the im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ole of ‘sensory expression’ was reviewed based on discourse related to images, and alternative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Sensory expression’ is a tool that connects the subject and images and is involved in giving meaning to images and images. When the external appearance at the linguistic level and the implications of the personal level are combined and understood, the image embodied in the poem can be grasped. In other words, even if it is an obvious object, when given a situation in which the learning reader is not forced to choose the meaning, the image embodied in the poem can be newly faced. The goal of learning should be whether a new feeling about the object has occurred, not whether the poetic object looks vivid to the learner who will read the poem. This is possible by searching for a specific image revealed by a poetic speaker and dreaming about how it is handled within. Based on this, image education activities using ‘sensory expression’ were proposed.

      • KCI등재

        북한 김정은 체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과 수록 제재의 특성 분석

        이향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structural organization of North Korean textbooks units and materials in 2014 curriculum revision. 5 revised textbooks were selected and compared with old textbooks. From the formal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firstly, the textbook changed from reading oriented textbook to goal oriented textbook. The revised textbooks of North Korean primary school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of unit in each unit by presenting the goal of four language use function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addition, learning helpers were presented to provide clues to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methods using self-examination questions were suggested. for the more, the previous unit was reviewed and the unit was evaluated, so that the uniformity of unit composition was improved by reflecting the learning objectives, contents, and evaluation flow. However, it does not reach the way of realizing the unit goals by inducing learner 's thought process. Second, we could confirm that the number of units in the previous textbooks was reduced to half, and the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required to secure the tim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students were greatly expanded. Third, it showed colorful and vivid color illustrations from simple illustrations of black and white. However,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 were clearly portrayed in the sex role. It is understood that the Kim Jong-un era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through the formal change of the textbook. Next, the changes in the textual content of the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previous textbooks, which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ideology for maintaining the system, the explanatory text that deals with professional contents such as science, geography, and computer increased. Second, most of the sanctions regarding Kim Il-sung and Kim Jong-il's idolization or deification were deleted, and the contents were revised to present a social situation and a positive future image, thus refraining from explicit loyalty vigor or enraged tone. On the other hand, references to the praise of Kim Jong-un or the pledge of loyalty were presented through the words of the learner. Thirdly, I presented the author 's name of fairy tale, sway, and story, while Kim Jong-un is a measure considering mental education for idolization. In previous textbooks, there were no writers other than Kim Il Sung or Kim Jong-un. The nature of such sanctions is also seen as an intention to point out that Kim Jong-un 's era is different from its previous form. 이 연구는 북한 김정은 체제에서 발행된 소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4년 개정되어 발행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의 형식 적 특성은 첫째, 제재 중심의 독본형 교과서에서 목표 중심의 학습활동 교과서로 변화 하였다. 개정된 북한 소학교 교과서는 단원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능 목표 와 함께 단원 도입면을 시작한다. 또한, 학습 도우미를 제시하여 학습활동의 단서를 제공하였으며, 자기점검 질문을 활용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밖에도 이전 단원 을 복습하고, 해당 단원을 평가하는 등 학습 목표와 내용, 평가의 흐름을 반영하여 단원 구성의 통일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차시별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유도하여 단원 목표를 구현하는 방식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기존 교과서보다 단원 수를 절반으로 줄이고 학생들의 과제 해결시간을 확보해야 하는 듣기·말하기 및 쓰기 활동을 대폭 확대하였다. 셋째, 흑백의 단순한 삽화에서 벗어나 화려하고 선명한 천연색 삽화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남녀 성 역할의 구분이나 적대 세력에 대한 표현은 여전하다. 이는 교과서의 형식변화를 통해 김정은 시대가 추구하는 학력 증진 과 사회안정을 반영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음으로, 교과서의 내용적 특성은 첫째, 과 학, 지리, 컴퓨터 등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는 제재가 증가했다. 이는 체제 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 강화에 공헌했던 이전 교과서의 제재와는 다른 지점이다. 둘째, 김일성과 김정일 우상화를 다룬 제재가 대부분 삭제되었으며, 최근 북한사회의 발전상과 긍정 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는 제재가 다수 등장했다.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노골적인 어조의 제재는 삭제하였지만, 김정은의 치적 찬양이나 충성맹세에 대한 언급이 학습 도우미를 통해 추가되었다. 이는 교과서 제재의 질을 제고하면서도 김정은 체제의 안착을 추구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동화나 동요, 이야기를 제시할 때 작가명을 병기하였다. 이전 교과서에서 김일성이나 김정은 이외의 작가를 표기하지 않던 모습과 대별된다. 이는 교과서 내용적 측면에서도 김정은 시대를 이전 시대와 구별 지어 김정은 중심의 안정된 사회를 추구하면서도 북한 인민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고 해석된다.

      • KCI등재

        거시적 접근 방법을 통한 재외 동포 학습자의 시 교육 내용 설계 연구

        이향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어 교육 Vol.24 No.2

        The terms of ‘Heritage Language’ and ‘Heritage Language Learner’ were coined over past ten years in North America and became a burgeoning field recently. This paper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for Korean Heritage Language Learners(KHLL) on Heritage Language(HL) teaching method, “Macro Approaches”. The Macro approaches suggest that curriculum for heritage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HLL’s linguistic knowledge and global attitude of the HL. It means that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erived from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heritage language community and heritage learners’ characteristics, identify and competence. The relationship with macro approaches and KHLL in Paris Korean School is discussed on design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 literature selection. Therefore educational contents for KHLL in Paris Korean School to teach Korean poems were suggested for considering and implementing various curriculum strategies with KHLL learners. (University of London)

      • KCI등재

        교과서 동시 텍스트의 수록 쟁점과 전망

        이향근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2

        This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the issues of poetry in elementary textbooks and to present a solution pro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ontent of the tex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hildren ‘s learner’ s encounter with simultaneous texts should be composed of ‘resistance’ position which accepts the specific nature of the child and recognizes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children. The first issue is the question of whether poetry is chosen as canonical. The recognition that poetry in textbooks should be canonicals can lead to misunderstandings about canons that it is important to shift to the recognition that they are the old examples in order to expand the literary text reading. The second issue is the modification of poetry. We have to be careful because deleting or modifying the poetic permissive expressions that are key to the poetic text interpretation can affect the readers. The third issue is the problem of dealing with poetry as language data. The example used as a resource for language literacy is positive in terms of expansion of poetry education, but it needs to be added to learning activities to appreciate literary texts that makes poetic sensibility. The fourth issue is the problem of text communication activity in which the poet is absent. He suggested that the poet ‘s name presented with the poem criticized the unfamiliarity and suggest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poet should be presented at the level of development in terms of providing paratext. 이 연구는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 텍스트의 쟁점을 고찰하고 해결적 전망을 제시하고자 기획되었다. 아동 학습자가 동시 텍스트를 만나는 장면은 아동이 가진 특수한 본성을 수긍하고 아동 개개인의 차이를 인정할 수 있는 ‘저항적(resistance)적 입장’에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텍스트 수록 쟁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쟁점은 동시 텍스트를 정전(正典)으로 선택하느냐의 문제이다. 교과서에서 다루는 동시 텍스트가 정전(正典)이어야 한다는 인식은 자칫 정전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문학 텍스트 읽기를 확장하기 위해서라도 교과서 텍스트는 예전(例典)이라는 인식으로 전환해야 함을 살폈다. 두 번째 쟁점은 동시 텍스트의 개작과 변형의 문제이다. 시 텍스트 해석의 열쇠가 되는 시적 허용 표현들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텍스트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을 밝혔다. 세 번째 쟁점은 동시 텍스트를 언어자료로 다루는 문제이다. 언어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는 사례는 동시 교육의 확장 측면에서 긍정적이나 특유의 말맛을 살린 언어 유희나 곡진한 정서를 감상할 기회를 학습활동에 추가해야 함을 제시했다. 네 번째 쟁점은시인이 부재한 텍스트 소통 활동의 문제이다. 시와 함께 제시된 시인의 이름이 유명무실함을 비판하고, 파라텍스트(paratext) 제공의 차원에서 시인에 관한 정보를 발달 수준에 맞게 제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의 문학교육적 함의 고찰

        이향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4

        This article suggested that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can be a meaningful method for literature Instruction which can help students literature text understanding deeply and apply to their real world. SEL is intended to foster the individua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ir emotion and social relationship. Taking the activities of SEL students build their sensibility and life skills to daily events. Golman called these skills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are epidemic issues in educational field in advanced countries. According to SEL theory and program I could find out the meaning of SEL to literature education. SEL based on Dewey’s concept of ‘whole child’ and 1960’ American educational move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movement. It means to induc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SEL could utilize for literature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is about knowledge of literature works, literature conventions and understanding human feeling and life. Literature education is most worth as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and others.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does not have teaching approach to it. Therefore SEL could give some suggestion to hands-on approach to literature education. First of all, SEL approach shows how to share their emotion and how to get together among people. Students need semantic configuration and interpreting strategies to experience literature works by engagement, anticipation and retrospection retrospective thinking process which takes place in the reader’s head. 이 글은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정서학습은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의 이론적 성과를 토대로 구성된 학습활동으로서 북미를 비롯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최근 OECD에서는 미래사회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사회정서역량(social emotional competencies)을 제안하였다. 사회정서역량은 사회정서학습의 성과로부터 추출되었으며, 자기인식, 자기관리, 관계관리, 사회인식, 책임있는 의사결정을 하위 교육 요소로 삼고 있다. 문학교육과의 연관성을 살피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창의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Resolving Conflict Creatively Program)’과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하기 프로그램(Thinking Feeling Behaving Program)’의 교육내용을 고찰하였다. 사회정서학습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구성된 문학교육의 실현태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시 텍스트 이해 학습에서 ‘저자에게 질문하기 방법(QtA)’의 적용

        이향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이 글은 ‘저자에게 질문하기 방법(QtA)’을 소개하고 시 텍스트 이해 학습에 적용하여 교육적 의의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QtA는 학습자가 저자의 입장에서 텍스트를 읽고 다른 독자들과 토론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도록 유도하여 개별 독자의 텍스트 이해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다. 이것은 텍스트를 읽을 때 독자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예상(anticipation)과 회고(retrospection)의 사고 과정을 언어화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텍스트 해석의 전략을 배울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QtA는 ‘텍스트 읽기-질문 만들기-토론하기’의 3단계로 이루어지며 독서 중 활동에 집중된다. QtA의 교육적 의의를 살피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시 텍스트 이해 학습에 이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들은 탐구 질문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느꼈으나, 교사가 제시한 탐구 질문과 사고 구술(think-aloud)을 통해 이를 해소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탐구 질문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의 장면과 상황, 분위기 및 시적 화자의 심리 상태 등 시 텍스트의 문면에 드러나지 않는 내포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구성하였다. This article suggested that QtA can be a meaningful method for poetry instruction which can help students poetry text understanding deeply. I applied QtA to a small group to appreciate two poems and give them strategies. QtA is intended to foster the individual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make readers’ building the meaning from texts. It means to induc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QtA readers while reading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 and discussing with other readers. Readers of text semantic configuration and interpreting strategies to language learning by the expected anticipation and retrospection retrospective thinking process which takes place in the reader’s head. therefore students can get the meaning when they read texts. QtA has three steps to apply; building reading stance, making queries, discussing with other readers. Making Queries is the major factors in the configuration and the teachers and learners with the process of solving them, naturally the discussion between the learners have to convince. If necessary, teachers should show think-aloud about building meaning strategies while reading in order to learners refer thinking process indicated. I presented two example instruction and learning through discourse among learners, through specific example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