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

        한경임(Han Kyung-Im),한경화(Han Kyung-Hw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 단위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540명으로 여교사 378명, 남교사 162명이었다. 특수교사는 334명이었으며, 특수학급 교사는 206명이었다.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였으며, 변인별 차이검증을 위해 ANOVA와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경력 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그 이하 경력의 교사들보다, 그리고 중등교사들이 초등교사들보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심이 많았다. 또한 15년 경력 이상의 교사들이 다른 교사들보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더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학생 수행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5년 이상 10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이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학생 수행평가를 위해 서술기록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와 교육청 차원의 지원으로 특수교사들은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학교 환경조성을 요구하였고, 교사 차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방법, 평가 일체화를 적용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및 학생 수행평가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나 정책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wareness, current status and support reque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 Method: Participants were 540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ere 378 females and 162 males. 334 teachers of them worked in special school and 206 teachers worked in special day classroom. Results: First, most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eachers who had career more than 15 years had highest interest.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had higher recognition about curriculum reconstruction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day classroom teachers. Relation to current curriculum reconstruction status, teachers who had career more than 15 years did it more than other teachers. Special school teachers did it more than special day classroom teachers. Second, most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s. Teachers had career less than ten years recognized highest necessity. Most of teachers used narrative record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as support request on school and education district, teachers required referenc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 based on instruction. Conclusion: This results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field training program and referenc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경화(Han, Kyung-Hwa),한경임(Han, Kyung-Lm)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연구내용은 세 가지로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도출,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만족도 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내용 1의 참여자는 15명의 특수교사로 포커스그룹 면담이 실시되었다. 연구내용 2의 참여자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타당도 점검을 위한 특수교육 전문가 10명과 프로그램의 데모버전에 대한 타당도 점검을 위한 30명의 특수교사들이었다. 연구내용 3의 참여자는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를 위해 300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5단계 기반의 10개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도출된 구성요소에 대한 타당도는 높았으며, 프로그램의 데모버전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편이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였고, 편리하다고 하였다. 특히, 교육과정 재구성, 학기별, 월별 목적과 목표 설정, 학생들의 수행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국어와 수학 이외 다른 교과의 교육과정 재구성-수업-평가 일체화 프로그램 개발과 특수교육 수업설계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Backward design instructional program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integration. The study was to be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first is to elicit components of the program,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program and the third is to research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program. Method: First, participants for the first part were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tudy design was focus group interview(FGI). Second, 10 specialists participa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mo program. Third, 3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o research satisfaction on the program. Results: First, 10 components based on 5 levels were elicited through the result of FGI. Second, the validity on the 10 components of the program was high by scores over 4.20 of Likert 5 scale. The validity on demo program was over 4.00 of Likert 5 scale.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a high satisfaction on the program about curriculum re-constructon, design for goal and objective, design for instruction for months and semaster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s. Conclusion: This results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other subjects except language and math and for instruction design of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Water Stable Aggregate and Macroporosity in Upland Soils Calculated by Fragmentation Fractal Dimension

        Kyung-Hwa Han(한경화),Hyun-Jun Cho(조현준),Hyup-Sung Lee(이협성),Seung-Oh Hur(허승오),Sang-Keun Ha(하상건)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밭토양 내수성입단의 계절별 특성을 밝히고 파쇄프랙탈차원을 이용하여 대공극률과의 관계를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대상 토양은 토성이 다른 세 지점으로 고평통 (Fine, Typic Hapludalfs), 규암통 (Fine siltyover coarse silty, Fluvaquentic Eutrudepts), 중동통(Coarseloamy,TypicUdifluvents)으로 경기도에 위치하였다. 봄, 여름, 가을에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고 내수성입단과 대공극률, 토양이화학성을 측정하였다. 내수성입단은 파쇄프랙탈차원(Df), 기하평균지름(GMD), 중량평균지름(MWD)의 세 가지로 계수화하였다. Df는 MWD보다 GMD와 상관이 높게 나타났고, 무차원의 입단파쇄과정에 근거하여서 실험에 사용한 입단크기와 전처리과정의영향을 덜 받아 내수성입단의 계수화에 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계절적으로 내수성입단은 여름>봄>가을 순으로 나타났고 생물활성과 토양수분의 영향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Df 3.1이하의 토양에서 Df와 대공극률과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99 ㎛ 이상의 공극률과 상관이 높았으며 Df 3.1이상의 토양에서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Df 3.1이하의 토양에서는 대공극률과 포화수리전도도의 누승함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내수성입단의 파쇄프랙탈차원은 입단화에 의한 대공극형성과 해석에 유용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ggregate fragmentation in wet-sieving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gregate fragmentation fractal dimension and macro-porosity of upland soils, using three different textural types of soils including Gopyeng series (Fine, Typic Hapludalfs), Gyuam series (Fine silty over coarse silty, Fluvaquentic Eutrudepts), and Jungdong series (Coarse loamy, Typic Udifluvent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Undisturbed soil samples with five replicates were seasonally sampled and used for measuring water stable aggregate, macropor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The aggregate stability in wet-sieving was digitalized as three types of fragmentation fractal dimension (Df), geometric mean diameter (GMD), and mean weight diameter (MWD). Df had higher correlation with GMD than with MWD. Seasonal aggregate stability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summer, and decreased in the order of spring and autumn. The macroporosity had higher in topsoil, in autumn, and in ridge, than in plow pan layer, in summer, and in row,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Df and macroporosity, especially more than 99 m, showed high correlation only in soils with Df less than 3.1, which means more aggregated soils compared to soils with Df more than 3.1. Besides, in the soils with the fractal dimension less than 3.1, the power function relation between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macroporosity more than 99 m had relatively high determinant coefficient, and vice versa. Therefore, it could be thought that fragmentation fractal dimension is available for confirming macroporosity induced from aggreg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

        한경님(Kyung Nim Ha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개발 모형을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실제 실행할 수 있도록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구체화 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내용 요소는 ‘부모 양육효능감’, ‘부모 역할 만족감’, ‘부모 양육행동’으로 3개의 요인을 중심으로 ‘어머니의 자아강화’, ‘부모자녀 상호작용’, ‘양육정보 습득’, ‘양육행동’, ‘양육지도’ 5개의 활동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에 대한 검토 및 보완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그 후 다문화가정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통해 나타난 논점을 통해 향후 다문화가정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arly Childhood Parental Role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a five stage ADDIE (analysis-designdevelopment- implementation-evaluation) model. In order to develop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 review of literature and a demand survey were conducted. Then, a practical parenting program was developed in a concrete manner.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a focus on three concrete components including ‘parent child-rearing efficacy’, ‘parenting satisfaction’ and ‘parent child-rearing behavior; and five activities, such as ‘mother`s ego consolidation’, ‘parent-child interaction’, ‘acquisition of child-rearing information’, child-rearing behavior`, and ‘child-rearing guidance.’ The specific contents and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program were reviewed by a conference of specialists, and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ir comments. In addition, a pretest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test, the early childhood parental role program was completed. Based on the issues presented during the course of program development, suggestions for future programs on parental role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e presented.

      • SCIESCOPUSKCI등재
      • 백출 및 발효백출의 장점막 투과성 개선 효과 및 항염증효과

        한경선 ( Kyung Sun Han ),김기철 ( Ki Cheol Kim ),왕경화 ( Jing Hua Wang ),김호준 ( Ho Jun Kim ) 한방비만학회 2013 한방비만학회지 Vol.13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ti-imflammatory and protective effect for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ith Atractylodes macrocephae (AM),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and fermented Atractylodes macrocephae (FAM)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Methods: HCT-116 and Raw 264.7 cells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NO assay, we measur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anti-inflammatory effect. We measured permeabil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ith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and horseradish peroxide flux assay.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 assay was used to see cell proliferation. All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 used Student`s t-test for analyzing significance of results. Results: In Raw 264.7 cells NO production decreased 22.4% with pre-treatment of AM and FAM, especially with FAM in high concentration. In HCT-116 cells LPS-induced intestinal permeability had a protective effect with both AM and FAM, which was also tend to b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Cell viability increased up to 135.52% after treatment of high concentration of FAM in HCT-116,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Raw 264.7 cells with herb treatmen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evidence that AM, especially fermented ones, significantly reduced intestinal membrane permeability. They also had a protective effect as well as an anti-inflammation effect for HCT-116 and Raw 264.7 cells. This suggest that FAM may be a therapeutic agent for Leaky gut syndrome by reducing intestinal perme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禪宗畵의 繪畵的 特徵과 藝術的 思惟 考察

        한경애(Han, Kyung-a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4

        禪사상의 핵심은 경직된 일상적인 사유방식이나 언어와 같은 개념들에 얽매이지 않고 생생한 실체를 직접 체험하는 것을 추구한다. 특히 頓悟를 중심으로 하는 南宗禪의 사상은 예술사상에 폭넓게 영향을 미쳤다. 禪宗畵란 禪思想의 이념을 조형화한 것으로, 현실 초월의 회화 이념과 개인의 개성이 융합되어 주관주의 예술정신의 한 축을 이루었다. 주관적 이상 추구란 점에서 살펴볼 때, 禪사상은 동양 회화의 사상적 배경이 되어왔으며, 이로 인해 禪美를 특징으로 하는 水墨美學과 문인들의 회화사상이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禪사상이 내포된 수묵화는 선적 체험의 생동성을 표현하는 것이 회화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으며, 이를 위해 逸格의 예술형식이 나타났다. 또한 文人畵의 발달에 대한 선종의 공헌은 문인화가 더욱 풍부하고 자유롭게 개성적으로 나아갈 수 있게 했다. 禪宗畵의 예술적 사유는 감성적 直覺의 사유로서 ‘悟’와 ‘不二의 미’라고 할수 있다. ‘悟’는 일종의 인식활동으로서 ‘妙悟’의 범주를 파생시켰으며, ‘妙悟’는 감성적 직관과 투철한 깨달음을 강조한 것으로, 심미활동에 있어 ‘妙悟’의 경지는 “말은 유한하나 뜻은 끝이 없는(言有盡而意無窮)” 경지를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있다. 선사상의 예술적 사유 중 또 다른 범주로 ‘不二’의 미는 주체와 객체를 구분하지 않는 경지에서 하나가 되는 주객합일의 특징과 외부로부터 일체의 속박을 벗어난 자아의 정신적 자유, 독립과 해방을 달성하고 표현하려는 특징을 띠게 된다. 요컨대 禪사상의 예술적 사유의 핵심은 마음 밖에는 아무런 법도 없다는 것이며, 禪의 심미적 이상은 절대적 아름다움으로 스스로 의지해 드러내는 둘도 없는 아름다움이다. Zen seeks direct and physical experiences of vivid entities without binding to usual conception like the way of homely thoughts and languages. The thought of Southern Zen Sect focused on Dunwu as a pivot affected on wide range of thought of art. Zen Painting is a modeling expression of Zen idealistic doctrine that has constituted an axle of subjective art thought combining individual characteristic with surreal painting idea. From the point of pursuit for subjective idea, Zen thought has become the background of bringing brilliant development for the painting idea to Ink-and-Wash esthetics and the painting thought of literary people. The role of Zen Sect in the development of Ink-and-Wash Painting was in endowing high dimensional spirit into the transcendence of sensibility. Ink-and-Wash Painting containing Zen thought was expression of vividness in Zen Sectarian experience as the major goal of paintings, for which an outstanding type of an art has arrived on. Furtherly, the contribution Zen has made for the development of literary paintings has caused more abundant and free progress of individuality. From the view point of art thought, Zen idea with “Perception” as its core pont forms the type of esthetical speculation at the sensible intuition. “Perception” is a kind of cognitive activity that has developed into a category of “Awakening”. Awakening accentuates sensible intuition and self-awakening, which means an emphasis on the territory of awakening in esthetical activity as “meaning is endless even if all talk done”. Among the artistic speculations in Zen thought, beauty of “Unique(Only One)” as another category has particularities to converge into one from subject and object with no discrimination and to attain and express spiritual freedom, independence and liberation from outer bondage. On the basis of beauty of uniqueness, did a theory of esthetical experience rise which overthrows dichotomy between subject and object emphasizing that the mind or “root of mind” is the root of universal law. To make long story short, the core point of artistic speculation in Zen thought lies in that there is no law other than mind and the esthetical ideology of Zen as absolute beauty that is unique or only one beauty of self-appeal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