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에 따른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및 분석

        문현미 ( Hyun Mi Mun ),임미성 ( Mi Sung 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홈페이지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에 따른 웹 접근성을 얼마나 준수하고 있는지 조사하고, 웹 접근성 준수율이 실제 장애 학생의 웹 접근성과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156개 특수학교 홈페이지 전수를 대상으로 웹 접근성 자동 평가도구인K-WAH 4.0을 사용하여 웹 접근성 준수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자동 평가 결과를 기초로 장애영역과 지역별로 웹 접근성 준수율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정신지체,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를 가진 학생 1명씩, 총 4명의 학생이 자동 평가 결과 웹 접근성을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 특수학교 홈페이지 1개와 미준수로 평가된 홈페이지 1개를 대상으로 6 개의 과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특수학교 웹 접근성 평균 준수율은 ‘보통’ 수준이었다. 5개 장애영역별로 나누어 조사하였을 때 ‘웹 접근성 준수’ 수준에 이른 장애영역은 없었다. 정신지체 학교가가장 높은 준수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시각장애, 정서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교 순이었으며, 이들 장애영역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없이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권역 간에 웹 접근성 평균 준수율은 전라권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상권, 충청권, 강원ㆍ제주권, 수도권 순이었다. 전라권, 경상권, 충청권 집단과 수도권 간에 통계적으로 매우유의미한 준수율 차이가 나타났다. 시ㆍ도별로는 전북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울산, 광 주, 충북, 부산 순으로 5개 시ㆍ도가 ‘우수’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사용자 평가에서 장애학생들은 자동 평가 결과가 ‘웹 접근성 준수’인 홈페이지를 대상으로는 수행과제를 100% 완수하였으나 ‘미준수’ 홈페이지에서는 과제 성공률이 낮았다. 이는웹 접근성 준수가 장애 학생의 웹 사용성과 관련이 있음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websites of special schools comply with the web accessibility suggested by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First, automated evaluation of the websites of 156 special schools of the nation was conducted with using KADO-WAH 4.0, an automated evaluation tool produc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y abide by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Second, to examine whether the compliance of the web accessibility enhances the accessibility of websi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4 students, each one of them has either mental retardatio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y, conducted an user assessment of two websites, rated as excellent and as unsatisfactory respectively in the automated evaluation, carrying out 6 task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utomated evaluation of K -WAH 4.0, the average compliance rate was obtained classified by region, types of disability and assessment category. Schools that has compliance rate of over 90% rated as ‘excellent’, ‘good’ for 89~80%, and ‘unsatisfactory’ for under 79%. With regard to the user assessment, the success rate of the 6 tasks was calculat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ompliance rate in web accessibility of all special schools was 81.9% and rated as ‘good’.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mong types of disabilities. Schools for the mental retardation was rated as the highest compliance rate in web accessibility, and then visual impairments, emotional disorders, hearing impairments,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order.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capital area and area group including Jeolla, Gyeongsang, and Chngcheong. Jeolla area was rated as the highest compliance rate in web accessibility, and then Gyeongsang, Chngcheong, GangwonㆍJeju, capital area follow in order. Final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ne school with the high and one school with low accessibility of websites were selected and then user assessment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user assessment the website rated as excellent allowed users with disabilities to access the website regardless of their disabilities and to obtain information they want.

      • 자폐성 유아를 위한 보완적 의사소통체계 연구

        문현미 ( Hyun Mi Mun ),권명옥 ( Myung Ok Kwon ),김정일 ( Jeong Il Kim ),이근용 ( Kun Yong Rhee ),손영미 ( Yeong Mi Sh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본 연구는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와 수화 중재가 세 명의 자폐성 유아의 자발적 구어 사용에 미치는 상대적인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무발어 혹은 10단어 이하의 기능적 구어를 사용하는 자폐성 장애를 가진 세 명의 5-6세 남자 유아였다. 연구 설계로는 회기 간 교대중재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로 진행되었다. 사건기록법을 사용하여 자발적 구어 사용률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소 수준의 기능적 구어 사용이 가능했던 두 명의 유아의 경우, 수화 사용 시의 자발적 구어 사용이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PECS 사용 시의 자발적 구어 사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무발어 수준이었던 한 명의 유아는 PECS와 수화 중재 모두에서 자발적 구어는 출현하지 않았다. 둘째, 두 명의 유아의 구어는 수화동작을 완전히 습득하고 난 후인 Ⅱ단계 초기부터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수화동작과 동시에 발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일단 습득된 단어의 발화는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일반화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화가 최소 수준의 기능적 단어를 말할 수 있는 유아들의 자발적 구어 촉진을 위한 보완의사소통체계로서의 효용성을 가지며, 구어의 출현 및 증가는 의사소통의 원리와 수화동작을 익힌 후부터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ECS와 수화가 무발어 수준에 있는 자폐성 유아의 구어 출현에 미치는 상대적인 효과를 밝히기 위해서는 Ⅲ단계 이후의 지속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mpare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wo most prevalent augmentative communication modes,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 and sign language, for improving word vocalizations in children with autism, Three boys with autism using none or less than 10 of functional words, in the age of 5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used an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within each subject: initial base line phase, the best-treatment phase,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Data was collected using event recording system for occurrence of spontaneous word vocalizations through the all the sessions of PECS and sing language interven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sign language produced more enhanced spontaneous word vocalizations than PECS for two participants with few functional words through all the phase of the two AAC interventions. The phase Ⅰ to Ⅲ of two interventions did not produced word vocalizations for the other participant who did not use speech. Word vocalizations emerged and increased from the phase Ⅱ of sign language after the two participants mastered the basic principles of communication and movements of sign language corresponding to preferred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ign language could be a better choice as an effective augmentative communication system for children who have few functional words. Further research comparing to later phases of PECS and sign language is needed to determine the relative effectiveness as augment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children in preverbal st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래 삽입 동화활동이 초등 저학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남현 ( Nam Hyun Park ),문현미 ( Hyun Mi M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책을 매개로 한 듣기, 읽기 활동에 관심이 없으며, 적절한 수업참여가 어려운 3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노래를 삽입한 동화활동을 실시하여 수업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과 유지기간에는 노래의 삽입 없이 동화만 들려주고, 중재기간에는 아동에게 친숙한 동요의 전체, 혹은 일부분을 동화에서 반복되는 주요 어휘나 간단한 문장으로 개사하여 이를 등장인물 등장 시나 해당 장면에 삽입하여 동화책을 읽어주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자료는 10초 간격의 부분 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하여 세 아동의 착석행동, 응시행동, 적절한 구어 반응의 발생률을 각각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노래 삽입 동화활동은 3명의 지적장애 아동 모두의 착석행동, 응시행동, 적절한 구어로 반응하기를 포함한 세 가지 수업참여행동 발생율을 증가시켰으며, 기초선 단계에서 가장 낮은 발생율 수준을 보였던 C아동의 상승율 기울기가 가장 컸다. 중재 종료 2주 이후 노래를 삽입하지 않은 조건에서도 중재기간의 평균 발생율과 유사, 혹은 그 이상의 높은 유지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iry tale telling using songs on the on-task behavio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airy-tale telling using songs refers to the activity which an adult sings familiar and revised children`s songs with repeated vocabulary and simple sentences of the story during a fairy-tale tell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25 fairy-tale books and 12 children`s songs were used as experimental tools.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using the design of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data of rates of three on-task behaviors including sitting behavior, gazing behavior, and appropriate verbal response were collected using the partial interval recording system at interval of 10 seco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re as follows: fairy-tale telling using songs had effects on increasing three on-task behaviors including sitting behavior, gazing behavior, and appropriate verbal response of 3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lso The intervention had an effect on maintenance of the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that fairy tale telling using songs is able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ncrease reading competen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oor on-task behaviors.

      • KCI등재

        특수학교 자유학기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2016년 연구학교 담당교사 면담을 중심으로 -

        손지영 ( Son Ji-young ),문현미 ( Mun Hyun-m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자유학기를 담당한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어려움, 운영을 위해 수행한 노력, 필요한 지원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14개교의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특수교사는 총 18명으로, 연구자가 특수학교에 방문하여 연구학교 담당교사와 개별면담 또는 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총 14회의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모두 녹음과 전사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3개의 영역과 13개의 대주제, 4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유학기 기획 및 준비과정, 교과수업 운영, 자유학기활동, 학생 평가의 영역에서 각각 어려움과 운영을 위해 수행한 노력이 도출되었다. 자유학기제를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는 제도적 지원, 매뉴얼 및 양식 보급, 교사연수 제공, 인력풀 및 기관목록 제공, 예산 및 인력지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llenges of operating free learning semester, efforts made for proper operation, and required supports by interview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operated a free learning semester. In this study, eighteen teachers from fourteen special education schools which have run a free learning semester research school were interviewed in depth. Researchers visite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interviewed the teachers individually or in group. Total of fourteen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s were done with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after recorded and transcribed. By analyzing the data gathered from the interviews, three categories, thirteen topics along with forty-four sub-topics were identified. Topics in challenges and operational efforts were planning free learning semester, managing subject classes,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activities, and evaluating students. Additionally, institutional support, distribution of manual and document templates, opportunities of teacher’s training, distribution of instructor pool and institution list, an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 support are also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direction of op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한경임 ( Kyung Im Han ),문현미 ( Hyun Mi M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각 요인별 교사 자신이 갖추고 있는 정도에 대한 자기 평가를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문 참여대상은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경남의 특수학교 초등부 교사 300명이었다. 연구를 통해 초등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영역에 대한 하위 요인을 도출하고,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교사 소양 영역의 하위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들 스스로 교사 소양 영역의 각 하위요인을 얼마나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자기평가에 대해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factors of the teacher`s refinement competency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population statistics variables. 300 questionnaire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Varimax factor analysis, t-test and F-test. As a result, the teacher`s refinement competency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were divided into 3 sub-factors: devotion and sacrifice, convinced view of education and positive coping attitude. The higher teachers` career were, the better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ach sub-factor except convinced view of education. The higher teacher`s career, taking a Master`s degree, qualification were, the better they evaluated their self devotion and sacrifice, convinced view of education and positive cop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ing license program of the university, the recruitment of teachers, and the evaluation of teachers in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제1부: 학술논문 : 난타북을 이용한 난타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허선 ( Sun Heo ),문현미 ( Hyun Mi Mu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난타북을 이용한 난타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대상 학생은 감각장애를 수반하지 않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지적장애로 진단받은 특수학교 학생 30명으로, 이들 중 난타 방과후수업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15명과 동질한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난타활동 프로그램은 주 4회12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자아존중감 검사 SEI-R과 스트레스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난타북을 이용한 난타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지적장애 학생들은 난타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지적장애 학생들에 비해 전체 스트레스는 물론 부모요인 스트레스, 친구요인 스트레스, 교사ㆍ학교요인 스트레스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의경우에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전체 자아존중감과 일반적 자아존중감의 평균치는 조금높았으나 전체, 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교 자아존중감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난타북을 이용한 난타활동은 지적장애 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o the effectiveness of Nanta activity with Nanta drums on stress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students in a special education school, who has intellectual disabilities, no sensory imparements, and ability to communication. They were divided into half, and 15 of them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5 in the controlled group.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proven,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by independent t-test over preliminary stress and self-esteem test, intelligence, and adaptive behavior.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Nanta activity with Nanta drum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change of stress and self -esteem. The program of Nanta activities was carried out 4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change of stress and self-esteem were measured with the self-esteem inventory (SEI) test and the self rating stress scale. The result showed as the follows. First, the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on the global score and the three subscale scores of parents, peer, and teacher/school related stres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decreased change Second,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on average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global score and the four subscale scores of self, peer/social, home/ family, and school related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Nanta activity with Nanta drums has a positive effect to reduce the str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비디오자기모델링과 사진이야기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시작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수경 ( Park Soo Kyung ),문현미 ( Mun Hyun Mi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두드러진 결함 중 하나인 사회적 의사소통 시작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지닌 시각적 정보처리의 강점을 이용한 비디오자기모델링과 사진이야기활동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 유아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만 5.5세 남아였다. 연구는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는 비디오자기모델링 시청과 사진이야기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목표기술은 보여주기, 알려주기, 질문하기 3가지로 설정하였다. 3가지 목표기술의 자료는 사건기록법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기회에 대한 자발적 수행 비율을 산출하였으며, 알려주기와 질문하기에서 ‘누구’, ‘어디’,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언급 빈도를 각각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결과 보여주기, 알려주기, 질문하기 기술 모두 향상되었으며, 중재 도입 후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초기 효과와 더불어 유지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경험사진 알려주기와 타인경험사진 질문하기 내용을 분석한 결과 ‘누가’, ‘어디’,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표현 모두에서 사용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그 중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표현이 가장 높게 향상되었고, ‘누가’에 대한 질문하기의 향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디오자기모델링과 사진이야기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보여주기, 알려주기, 질문하기와 같은 사회적 의사소통 시작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initiative skills of social communication of a young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a video self-modeling and picture-storytelling activity in accord with a characteristic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n individual with ASD. The participant was a five-year-old male child with ASD. The study appli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hich was composed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two phases, video self-modeling review and practice using picture-storytelling activ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vent recording system targeting to three dependent variables: showing, commenting (about ‘who’, ‘where’, and ‘what’ on a picture with his own experience), and asking wh-questions (of ‘who’, ‘where’, and ‘what’ on a picture with peer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owing was increased on average 58.4%, commenting on average 68.7%, and asking wh-questions on average 58.3%. Video self-modeling and picture-storytelling activities showed an immediate intervention effect. The effects in three target behaviors were highly maintained with average or more than average of intervention phase. Second, commenting and asking wh-questions about ‘who’, ‘where’, ‘what’ were increased in the frequency. The most enhanced expression was 'what(to do)', and the lowest enhanced expression was 'who'.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video self-modeling and picture-storytelling activities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ASD: self-initiative showing, commenting, and asking wh-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