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의 초기 수채화단 성립과 1930년 향토회 발족배경

        이중희(Lee, Jung-hee)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3 No.-

        Art activities in Daegu began to keep pace with those in Seoul circa 1922, the year in which the Joseon Art Exhibition was organized. The formation of a western painting circle in Daegu was not solely a regional cultural phenomenon, but one that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dynamics that lay at the heart of the formation of western painting circles at the national level. More to the point, Daegu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dynamics that led to the emergence of western painting circles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seeks to identifythe reasons why the Daegu western painting circle was characterized by watercolor paintings, and to shed light on the actual reas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yangtohoe in 1930. The core figur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modern period in which paintings exhibi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e known as Daegu were: Seo Byeong-o (1862-1936), Lee Sang-jeong (1897-1947), Lee Yeo-seong (1901-?) and Seo Dong-jin (1900-1970). These individuals were the intellectuals, pioneers, and nationalists who best represented the Daegu area at the time. At a time of crisis in which national sovereignty had been usurped, these leaders initiated independence movements and did their utmost to protect Korea’s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hey exhibited a cultural orientation under which poetry, calligraphic writing, and painting were integrated into what effectively became an extensionof the sadaebu culture that had prevai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eatures of Western painting gradually became part of this cultural orientation. For these individuals, Western painting was the beacon of a new era and a symbol of the new age that was afoot. The works of Lee Sang-jeong and Lee Yeo-seong, both of whom were interested in new art forms, are characterized by watercolor paintings that shared many similarities with traditional sumukhwa (水墨畵, inkpainting). The watercolor paintings created by Lee Sang-jeong and Lee Yeo-seong were similar in style to the works produced bySeo Dong-jin, Park Myeong-jo and Choe Hwa-su. In this regard, Daegu came to be regarded as the center of watercolor paintings. While these pioneers’ painting style shared many similarities with traditional painting, they nevertheless exhibited elements of the Western painting style. To this end, their paintings were referred to as examples of western painting (seoyanghwa). What were the intentions behind the establishment of the Hyangtohoe in 1930? Individuals such as Seo Dong-jin, Kim Yong-jun, Choe Hwa-su, and Park Myeong-jo who were the main actors behind the Hyangtohoe saw the latter as a means to actualize the Korean identity based on the promotion of a nationalistic love for the motherland (local area). Their attempts to embody the hyangtosaek were rooted in their love for the rivers and mountains of Korea. In this regard, the term ‘hyangtosaek (indigenous colors)’ came to refer to more than indigenous colors rather, it took on the meaning of an ‘expression of the true Joseon.’ This wasclosely connected to the movements led by enlightened Koreans who since the late 1920s had sought to define and promote the Korean identity. The members of this organization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works which depicted new architecturalbuildings such as the Gyesan Cathedral, ditches, and alleys in urban areas. In fact, one would be hard-pressed to find any pastoral agricultural landscapes. Nevertheless, the expression hyangtosaek had been regarded by some scholars to have been in keeping with the intentions of the members of thereview committee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who asserted that,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lonizer Japan, the depressed atmosphere found in agricultural paintings constituted the main theme and image of the controlled country known as Joseon.

      • KCI등재후보

        중국 도시 고소득층의 소비 실태와 소비 구조의 변화

        이중희(Jung Hee Lee) 한국아시아학회 2007 아시아연구 Vol.10 No.2

        개혁개방 이후 중국 도시 주민의 소비 실태와 소비 구조에 큰 변화가 있어 왔었다. 또한, 도시 고소득층은 상당한 소득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에, 이들의 소비 실태와 소비 구조의 변화는 특히 관심거리가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소비 실태와 소비 구조의 변화를 연구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기존의 공식통계자료나 각종 조사결과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을 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도시 고소득층은 도시 가구 가운데 소득 상위 10%만으로 정하였다. 둘째, 고소득층은 주로 동부지역의 중대도시에 분포해있다. 또한, 고소득층일수록 소비의 절대수준은 더욱 높기 때문에 동부지역의 중대도시의 소비 수준 또한 다른 지역이나 도시에 비해 높다. 한편, 고소득층의 연령층은 젊은 세대가 주축을 이루며, 그들의 학력수준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셋째, 소득이 높은 계층일수록 소비의 절대수치는 더욱 상승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고소득층이 소득 가운데 소비의 비중을 늘렸다고 할 수는 없다. 고소득층의 경우, 소득에 대한 소비의 비중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이는 고소득층의 주요 내구 소비재 보유량이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며, 대부분 고소득층은 재생산 발전을 위해서 자금 축적에 더욱 집중하기 때문이다. 넷째, 1985년부터 2005년까지 소비지출 항목 가운데 감소한 항목은 식품비와 복장비 등이다. 도시 고소득층의 식품비의 비중이 전체 평균보다 월등히 낮다. 고소득층의 복장비의 비중 또한 전체 평균보다 낮다. 다섯째, 1985년부터 2005년까지 도시 주민의 소비 비출 항목 가운데 전체 가구 평균이 증가한 항목은 의료·보건, 교통·통신, 교육·문화·오락 및 주거 항목이다. 이 가운데 교육·문화·오락비와 교통·통신비의 경우, 도시 주민 전체 평균과 고소득층 간에 격차가 대단히 크다. 전반적으로 보면, 도시에서 저소득층일수록 생활 소비는 주로 의식주 해결에 국한되고,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기본적인 생존을 위한 의식(衣食)에 관한 소비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교육·문화·오락, 교통통신 등 새로운 소비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소비영역이 생존형에서 발전형과 향유형으로 점차 변화하여 왔던 것이다. The paper focuses on a definition of the urban high-income class,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its basic condition, its consumption level, its changing consumption structure, and comparisons with low income and middle income clas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defines high-income class as the highest income households of urban area. It is ten percents of urban households. Second, the proportions of high-income class are high in large and middle cities of eastern region. High-income class are comparatively young. Third, we analyze per capita annual living expenditure. From 1985 to 2005, the average expenditures of food and clothing decreased. From 1985 to 2005, expenditures of high-income households also decreased. However, from 1985 to 2005, expenditures of high-income households increased for some items. They are health care and medical services,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education, cultural and recreation services, and residence.

      • KCI등재

        중국 도시주민의 문화소비에 대한 소비행위 변화 : 베이징시 주민 대상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이중희 ( Lee Jung-hee ),김성자 ( Kim Sung-ja ) 조선대학교 동북아문제연구소 2016 동북아연구 Vol.31 No.2

        이 연구는 통계데이터 상으로는 밝힐 수 없는 중국인들의 문화소비의 현황과 특징을 도출하고자 중국 베이징시 주민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소비 지출구조가 변하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기점으로 문화소비구조의 변화가 시작되었는데 특히 문화·오락서비스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면담대상자 중 문화·오락서비스비에 대한 지출비중 이 낮게는 30%, 높게는 80%로 다양했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오락서비스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았다. 둘째, 여행소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국내여행에만 국 한된 것이 아니라 최근 몇 년 사이 해외여행소비가 급증하였다. 중국인들에게 여행소비는 필수소비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교육소비의 격차가 크다. 크게 학업중인 자녀를 둔 그룹과 자녀교육이 종료되었거나 미혼 및 기혼이나 자녀가 없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교육소비의 대부분이 자녀교육, 특히 사교육비로 지출이 되었다. 후 자의 경우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비로 지출비중이 0%에서 50%까지 다양했다. 넷째, 문화소비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행소비에 대한 소비의욕이 높았다. 향후 소득 이 증가한다면 문화소비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이 여행소비로 여행소비에 대한 소비욕구가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In the research, I surveyed the residents of Beijing in depth so that I can find out the status of Chinese` Cultural consumption and what features it has because it is not so simple to figure it out with the usual statistical dat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ystem of spending has changed. As of the 2008 Beijing Olympics, the structure has started changing. Especially, the higher their income level is, the higher the expenditure of Cultural and Recreational Articles is. Secondly, the consumption of travels has dramatically grown. It is not limited to domestic trips. In recent years, their spending on overseas trips has rapidly increased. It seems that the Chinese considered the consumption of the travels necessary. Thirdly,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groups who spend on education. They are classified into such two groups as the first group who has children who study in school and the second group whose children have finished their study, who does not have a child, or who is single. In the former, the members of the group spend their income on educating their children, which is, especially, private education. In the latter, they expended their income on self-improvement, which is ranging from 0 percent to 50 percent in their consumption. Finally, Chinese` needs to spend on culture has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they showed their appetites for spending on trips. Most of them said they would expend their earnings on travels if they made bigger money later, which means they have strong needs for expending on trips.

      • KCI등재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도입과정 연구: 국가 통제력의 강화와 거대 플랫폼

        이중희(Lee, Jung Hee) 한국공공사회학회 2021 공공사회연구 Vol.11 No.3

        2020년부터 국가는 디지털 위안화의 도입 속도를 높이고 시범 범위도 확대해왔다. 디지털 위안화를 도입하고자 하는 국가의 목적은 다원적이다. 본 논문은 첫째, 법정 디지털 화폐는 국가의 법정 화폐의 통제력 확보에 주요한 목적이 있다는 가설적 주장을 제시한다. 특히 기존 빅테크의 모바일 결제에 대해 국가의 통제력을 확보하는데 디지털 위안화의 주요한 목적이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국가의 반독점 드라이브에 주목할 것이다. 2020년 10월에 마윈의 국가의 금융 감독 규탄을 계기로 국가의 독점적 플랫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왔다. 본 논문은 국가가 2020년 10월 이후 반독점 드라이브를 강화해왔다는 점에서 디지털 위안화의 도입 목적에서 국가의 통제력 강화가 중요한 목적일 수밖에 없다는 가설을 검증한다. 둘째, 국가의 통제력 확보란 목표는 기존의 제3자 지불방식(알리페이·위챗페이)와 연관되는 문제이다. 국가의 공식적 입장이 무엇이든 디지털 위안화가 알리페이·위챗페이를 상당부분 대체하지 않는다면 국가의 통제력 확보란 목표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국가는 디지털 위안화를 확산하기 위한 각종 전략을 구사할 것이다. 시범 사업 과정부터 각종 조치를 통해서 이러한 전략이 드러나기 시작할 것이다. 특히 디지털 경제에서 플랫폼의 중요성 때문에 디지털 위안화의 확산 전략으로 플랫폼을 활용하는 전략이 중요해질 것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위안화는 도입 과정에 있고 기술적으로 개선되는 과정에 있고 국가의 디지털 위안화 확대 전략도 확립되는 과정에 있다는 점에도 주목한다. 따라서 향후 기술적 측면과 확대 전략이 불투명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에도 주목한다. Since 2020, the state has been speeding up the introduction of digital yuan in China. The purposes of the state to introduce the digital yuan are various. First, this paper presents a hypothetical argument that the digital currency has a major purpose in securing control of the state"s legal currency. In particular, we hypothesize that there is a major purpose of digital yuan in securing national control over mobile payments of existing big IT enterprises. To verify this, we will pay attention to China"s anti-trust drive. Since October 2020, Ma Yun"s condemnation of the country"s financial supervision has strengthened regulations on the country"s proprietary platforms. This paper validates the hypothesis that strengthening the state"s control is an important purpose for the introduction to the digital yuan, given that the country has strengthened anti-trust drives since October 2020. Second, the state"s control confronts a problem associated with existing third-party payment methods (Alipay, WeChat pay). Whatever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state, if the digital yuan does not replace Alipay and WeChat Pay, the goal of the state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In this regard, the state is using various strategies to spread the digital yuan. These strategies begin to be revealed through various measures from the pilot project process.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platforms in the digital economy, the strategy of utilizing the platform as a strategy for the spread of the digital yuan will become important. This paper also notes that the digital yuan is in the introduct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improvement, an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tion"s strategy to expand the digital yuan. Therefore, attention is also paid to various possibilities because the future technological aspects and expansion strategies are unclear.

      • KCI등재

        중국의 인터넷 문학그룹(웨원)의 성장 요인과 플랫폼의 발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성장 요인의 지속성

        이중희(Lee, Jung Hee),김성자(Kim, Sung Ja),이문(Li Wen)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중국의 인터넷 문학은 다른 인터넷 엔터테인먼트처럼 성장하여왔다. 양적으로 인터넷문학의 독자가 증가하여 왔고 인터넷문학 기업의 수익도 증가하여왔다. 질적으로 그 동안 인터넷 문학 플랫폼의 발전이 괄목할 만하고 콘텐츠의 지적재산권(IP) 진출도 다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문학의 성장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인터넷 문학 시장의 70퍼센트 이상을 점유하는 웨원그룹을 사례로 한다. 연구방법은 웨원그룹에 대한 인터넷 자료와 문헌조사를 통해서 설립 전 단계, 설립 과정과 성장 과정을 분석하여 성장 요인을 찾는 것이다. 웨원그룹의 성장 과정은 크게 4단계, 즉 웨원그룹의 설립 전 단계(2002년-2015년2월), 출범기(2015년3월-2017년11월), 웨원그룹의 상장과 성장기(2017년 11월-2020년 1월), 코로나19와 텐센트 그룹 직접관리로의 전환(2020년 1월-)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웨원 사례연구를 통해서 얻은 인터넷 문학의 성장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최대의 플랫폼 그룹인 텐센트의 진출이다. 중국 최대의 플랫폼 기업이 진입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 문학사이트의 합병을 통해서 기존 생태계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중국에서 인터넷 문학을 개시한 성다문학을 인수한데다가 콘텐츠의 양적·질적 경쟁력을 제고시켰다는 점이다. 셋째, 고도의 플랫폼 기능을 토대로 고객의 취향에 맞게 플랫폼을 잘 구성했다는 점이다. 넷째, 텐센트 계열사와의 전략적 제휴이다. 다섯째, 원 소스 멀티유스로 지적재산권 활용에 성공적이었다는 점이다. Chinese internet literature has grown like any other internet entertainment. The volume of readers of internet literature has increased and the profits of internet literature companies have increased. Qualitatively, the development of internet literary platforms has been remarkable and diversifying the entry of content in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 This trend continues even after Covid-19.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growth factors of Chinese internet literature. To this end, the Yue Wen Group, which controls more than 70 percent of the Chinese internet literature market, is a case.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pre-establishment stage, establishment process and growth process through the internet data or literature on the Yue Wen Group to find growth factors. Yue Wen Group"s growth process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pre-establishment phase of Yue Wen Group (2002–February 2015), the launch period (March 2015–November 2017), the listing and growth period of Yue Wen Group (November 2017–January 2020), and Covid-19 and the transition to direct management of Tencent Group. The growth factors of internet literature obtained from the Yue Wen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ncent, China"s largest platform group, is entering the market. With the entry of China"s largest platform company, the merger of existing internet literature sites has allowed it to take advantage of the existing ecosystem of Tencent. Second, it acquired Shengda Literature, which started internet literature in China, and also enhanc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etitiveness of contents. Third, based on high-level platform functions, the platform is well organized to suit customers" tastes. Fourth, it is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Tencent affiliates. Fifth, it was successful in us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ith one-source multi-use.

      • KCI등재

        중국의 코로나19가 애플리케이션 사용추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중희(Lee, Jung Hee)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3

        중국의 코로나19가 애플리케이션(앱)의 사용추세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취했다. 첫째, <중국인터넷망정보센터>가 연 2회 발간하는 보고서의 통계치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보통 6개월 단위로 발간한다. 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발간이 3개월 늦어져 4월에 발간된 보고서는 3월까지의 통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2018년 12월에서 2019년 6월을 1기로 하고 2019년 6월에서 2020년 3월을 2기로 하여 각종 수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둘째, 각종 문헌을 통해서 코로라19 이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추세를 파악하였다. 셋째, 빅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의 하나인 바이두지수를 활용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의 영향을 받는 2기가 1기보다 3개월만큼 길기는 하지만 2기가 1기보다 음식배달, 여행예약, 음악, 문학과 재테크를 제외하고는 모두 증가율이 훨씬 높다. 코로나19가 인터넷의 사용빈도를 증가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2기에 사용 비율의 순위를 보면 1위는 교육(81.9%)이다. 직접 표에는 없지만 2위는 정무서비스이다. 2위(정무를 포함하면 3위)는 생방송(29.2%)이다. 3위는 결제(21.3%), 4위는 짧은 동영상(19.4%), 5위는 동영상(12.1%), 6위는 쇼핑(11.2%), 7위는 인스턴트메신저(8.7%), 8위는 검색엔진(8.0%), 9위는 게임(7.8%), 10위는 뉴스(6.5%), 11위는 음악(4.5%), 그리고 12위는 문학(0.2%)이다. 반대로 감소율이 높은 애플리케이션 가운데 1위는 여행예약(-10.8%), 2위는 음식배달(-5.6%), 그리고 3위는 재테크(-3.6%)이다. 셋째, 증감요인을 보면 교육의 경우 학교의 오프라인 수업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교육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급증했다. 정무서비스의 사용 급증은 국가가 방역을 위해서 기존의 정부 플랫폼을 대폭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넷째,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혁명의 가속화는 분야별로 편차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China"s Covid-19 has taken the following steps to see the trend of use of applications. First, it is a method of comparing statistics of a report published twice a year by the CNNIC(China Network Internet Information Center). Usually published on a six-month basis, but in 2020, the report, which was published three months late due to the Covid-19, shows statistics for March. Therefore, various changes in figures were analyzed from December 2018 to June 2019 and from June 2019 to March 2020. Second, various documents have identified trends in the use of applications since Covid-19. Third, we used Baidu Index,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program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econd period (from June 2019 to March 2020), affected by the Covid-19, is three months longer than the first(from December 2018 to June 2019), the growth rate of the second is all much higher than the first period, except for food delivery, travel reservations, music, literature and investment techniques. It can be seen that the Covid-19 increases the use of the Internet. Second, in terms of the ranking of usage rates in the second period, education (81.9%) was ranked first. Though not directly on the table, the runner-up is the political affairs service. The second place (including political affairs, third place) is live (29.2%). The rates of other applications are payment (21.3%), short video (19.4%), video (12.1%), shopping (11.2%), instant messenger (8.7%), search engine (8.0%), game (7.8%), news (6.5%), and music (4.5%). On the contrary, the applications with the highest rate of decrease are travel reservations (-10.8%), food delivery (-5.6%), and investment techniques (-3.6%). Third, in the case of education, the use of educational applications surged as offline classes at schools were converted into online classes. The surge in the use of political affairs services is due to the state"s drastic use of existing government platforms for quarantine. Fourt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viations of acceleration of the digital revolution after Covid-19 exists in different fields.

      • KCI등재

        중국의 인터넷서비스와 모바일혁명(2011-2018년)

        이중희(Lee, Jung Hee),김경환(Kim, Kyunghwan)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1

        중국의 인터넷은 지난 십 수 년 간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특히 2010년대에 접어들어 모바일 인터넷의 보급은 두드러진다. 가히 모바일혁명이라 할 만하다. 본 연구는 2010년대 이후를 3기(2011-2015)와 4기(2016-2018년6월)로 나누어 인터넷서비스 사용추세가 어떻게 변천해왔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모바일혁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3기에는 금융 분야인 결제서비스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다음으로 쇼핑, 음식주문, 여행예약 등의 사용이 급증하였다. 기초응용서비스에서는 검색엔진이나 뉴스보다 소통영역의 성장률이 높다. 소통영역 가운데 웨이보와 즉시통신의 성장이 높다. 거의 모든 네티즌이 모바일인터넷을 사용하는 4기에는 모바일혁명이 명실상부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4기에는 공공서비스, 특히 공유경제와 지도검색의 증가가 가장 두드러진다. 상거래 가운데 두드러지는 서비스는 음식주문과 여행예약이다. 이 시기에 오락서비스 가운데는 생중계와 짧은 동영상의 발전이 급속하였다. 전반적으로 3-4기, 특히 4기에 발전하였던 인터넷서비스는 모바일인터넷과 모바일의 보급을 기초로 한 것이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trends of internet services in China. The paper focuses on the trends of internet services in the two periods. The one is from 2011 to 2015. The other is from 2016 to 2018. The statistical data are the Statistical Report about China Internet published by China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Since 2011, the number of mobile internet users has fast increased. In 2018, the proportion of mobile internet users to all netizen is 98.3%. Since 2011, the fast development of the mobile internet has been regarded as the mobile revolution. Since 2011, various mobile internet services have appeared, increased, and enlarged to all aspects. First, in the period, the sharing economy services have radically developed. The sharing economy services include car sharing and bike sharing. In the field of e-commerce, the food order services and the travel reservation services have radically increased. In the field of entertainment, live broadcast and short video have radically increased. In the field of finance, payments have radically increased.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and SNS, weibo, instant messenger, and Wechats Friends Area have increa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의 스모그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이중희(Lee, Jung-He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1

        Ulrich Beck argues that the industrial society was transferred to the risk society. The principle of the industrial society is the distribution of wealth while that of the risk society is the distribution of risks. And the technological and economic developments create new risks. The risk society theory of Ulrich Beck has been developed in Western societies and can be applied to Western societies. The development of Korea are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Countries. The Korean developmen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sh to modernization or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deepens and enlarges risks. Chang, Kyung-Sup regards Korean society as complex risk society including risks of developed societies, of developing societies, and of Korean specialties. First, in developed societies, serious risks can be caused by gas, nuclear energy power, etc. And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 large size of architectures can cause serious accidents. Second, in developing societies, people easily experience risks caused by transportation, energy, production and environment. Third, in societies of compressed modernization, there are various risk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fast speed. In China, there are many papers which focus on Chinese society in terms of risk society. However, few papers focus on the Chinese specialties of risk society. Few papers analyze the Chinese risk society based on the Chinese specialties of development. The Chinese development has both compressed modernization and system conversion. The Chinese system has changed from the socialist planned economy system to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system. The Chinese society does not only have the risks of compressed modernity existed in korea, but also has risks of system conversion. The Chinese society is more complex risk society than the Korean Society. In China, the risks of system conversion include risks caused by the existing socialist system, the introduction of market economy, and the combination of the existing socialist system and the newly introduced market economy. In China, both the Wenzhou High-Speed Train accident and the Smog problems are problems which do not include only the risks of developing societies and compressed modernization, but also the risks of system conv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