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 연구

        이근호(Keunho Lee),이병천(Byeongcheon Lee),가은아(Euna Ka),이주연(Jooyo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의 2007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문제점을 문헌 연구와 현장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외 사례 연구의 시사점 도출의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준거에 기초하여 싱가포르와 호주를 방문하고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실제 운영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교육부 관계자, 학교 관리자, 현장 교사 등을 면담하여 문헌과 인터넷 탐색 등에 기반을 둔 사전 조사의 실질적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는 비단 현재의 시스템이나 현황에 대한 표피적인 조사를 넘어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개선 요구 등과 같은 실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출된 시사점은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적 접근, 쌍방향과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의 개선,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의 내실화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in terms of actual problems and challenges faced by school teachers, and drew criteria for analyzing overseas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criteria, we investigated the Australian and Singaporean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We especially carried out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principals, officials in Ministry of Education, and tried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beyond superficial investigation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our suggestions such as integrated way of monitoring, multi-way open system, and substantial approach into monitoring operation which will lead into meeting with the purpose of the monitoring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가은아(Ka EunA),이주연(Lee JooYoun),이근호(Lee KeunHo),이병천(Lee ByeongCh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3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단위 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과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에 대한 시사점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과 관련 문헌 및 자료들을 검토하고 각 국가의 교육과정 담당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 주제로 분석되었다. 첫째, 호주와 영국에서는 국가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공개하고 교육 당사자 간에 활발하고 적극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는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보급 전파 하는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호주와 영국은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워크숍 형태의 교사연수나 특화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수, 교과별 교사 네트워크나 TS(Teaching School)을 활용한 교사 전문성 신 장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다. 셋째, 호주와 영국 모두 정부가 발행하는 교과서는 없었으나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과 관련된 자료를 쉽게 찾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사이트들을 서로 연동하여 개발하는 등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o first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will be expand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next year, 2018 school year. As of this year, the way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supporting teachers to better implement the curriculum into their classrooms are crucial.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building curriculum supporting and implementing system by investigating relevant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ustralia and Engla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s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in regards to the curriculum implementing and supporting system, interviews with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and analyzes their web-sites of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shows that active communication is essential among curriculum developers and curriculum implementers including school teachers and other stake-holders, and this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by building systematic ways;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should be recommended by supporting integrated and systematic teaching-learning process; third, the principal agent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school teachers, should have the autonomy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e detailed ways for realizing the three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민용성(Min, YongSeong),이주연(Lee, Joo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고는 핵심역량을 둘러싼 정책적 논의와 틀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틀을 구안하여 핵심역량 교 육과정의 기본 구상과 골격, 반성적․비판적 견해를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의 골격은 「교과 역량-기능-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행능력으로 표현되는 ‘기능’은 내용 요소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성취기준에 반영되었으 며, 기능과 활동을 바탕으로 역량 수업과 역량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구도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지식의 배제가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데 머물지않고 학생의 생활 및 삶과 연결하여 지식을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오히려 교과의 본질을 더 잘 드러나게 함과 동시에 교과를 더 잘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접근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이 보다 발전적으로 제고되기 위해 교과의 틀이나 경계를 흔드는 것보다는 교과 교육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총론의 핵심역량을 범교과 학습과 결합시켜 일반적․범용적 역량으로서의 총론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되도록 모색할 필요가 있 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key competencies and to explore how key competency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nd what possibilities can be found. To this end, the study devis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2015 revised curriculum, while reviewing the reflective and critical views on the design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designed to reflect key competencies on the existing subject curriculum framework. The key competency curriculum consists of ‘subject competencies –skill –activit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identified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and skill and activiti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addition, the key competencies of General Guideline and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interrelated, but these two are not hierarchical relationships, or one is not included in the other.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 but it is meaningful in itself.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ossibilities of competency curriculum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subject curriculum and in cross-curricular the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