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관 다기능 저류지 조성의 경제적 편익 평가(I): 환경개선용수 공급편익을 중심으로

        이주석,류문현,유승훈,Lee, Joo-Suk,Ryu, Moon-Hyun,Yoo, Seung-Hoon 한국수자원학회 201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10

        본 연구는 상관 다기능 저류지의 조성을 가상적으로 설정하여 환경개선용수 공급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민들의 지불의사액(WTP, willingness to pay)을 유도할 수 있는 설문조사기법인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한다. 조사결과 많은 응답자들은 영의 WTP를 밝혔다. 이러한 영의 WTP를 다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파이크 모형을 적용한다. 분석결과 환경개선용수 공급편익은 사업지에 대해 가구당 연간 1,393.7원, 비사업지에 대해 가구당 연간 2,237.7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값을 전국으로 확장하면 연간 383.6억원에 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환경개선용수의 공급편익과 관련된 투자의 적정수준 결정 및 관리정책 결정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the benefits of environmentally-enhancing water ensuing from Sangkwan multi-purpose reservoir. To this end, we apply a survey technique, the contingent valuation (CV) method to elicit the public willingness to pay (WTP). Two CV surveys of randomly selected households were administrated to on-site and off-site areas. As it happens, a number of respondents reported zero WTPs for the environmentally- enhancing water. To deal with the zero WTPs, this study employs a spik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average household's WTP for the environmentally-enhancing water ensuing from Sangkwan multi-purpose reservoir is estimated to be 1,393.7 won for on-site area and 2,237.7 won for off-site area per year. The benefits of environmentally-enhancing water ensuing from Sangkwan multi-purpose reservoir amount to about 38.3 billion won per year. Our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termining an appropriate level of investment and making management policies with regard to the benefits of environmentally-enhancing water.

      • KCI등재

        공업용수의 수종별 경제적 가치 추정

        이주석,박선영,류문현,유승훈,Lee, Joo-Suk,Park, Sun-Young,Ryu, Mun-Hyun,Yoo, Seung-Hoo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4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정보는 학술적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정책평가 영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이론에 근거하여 수종별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국가산업단지 및 지방산업단지 등에 위치한제조업체 1,017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을 시도하되 원수 침전수 정수 등 수종별로 구분된 경제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2010년 말 기준 공업용수의 수종별 한계생산가치는 정수가 1,861.95(원/$m^3$), 침전수가 896.76(원/$m^3$), 원수가 769.24(원/$m^3$)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개발연구원이 수자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 보완 연구(제4판)의 보완을 위한 공업용수 공급편익 산정요령 가이드라인(2011)에서 2003년 산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제시한 공업용수 침전수의 한계생산가치885.1원/$m^3$(침전수, 2010년 말기준)과 비교할 때 별 차이가 없다. 이러한 점은 현재 한국개발연구원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공업용수 침전수의 공급편익 원단위가 적절함을 시사한다. The information on th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is widely demanded in policy analysis area as well as academic research are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obtain more accurat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using the economic theory.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1,017 manufacturing firms and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based on the concept of value of marginal product (VMP).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estimate the VMP of three industrial water types, river water, precipitated water, and purified wa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VMPs of river water, precipitated water and purified water are estimated to be 769.24 won/$m^3$, 896.76 won/$m^3$ and 1,861.95 won/$m^3$, respectively. The value for the precipitated water found in this stud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885.1 won/$m^3$) used in the pre-feasibility test implemented b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These imply that the latter is appropriate for evaluating the economic benefit of supplying industrial water, though it is based on 2003 Industry Survey.

      • KCI등재

        흰쥐 악하선 세포에서 gap junction 봉쇄제인 octanol이 타액분비 및 세포내 $Ca^{2+}$ 농도 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주석,서정택,이승일,이종갑,손흥규,Lee, Ju-Seok,Seo, Jeong-Taeg,Lee, Syng-Il,Lee, Jong-Gap,Sohn, Heung-Kyu 대한소아치과학회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2

        세포내 유리칼슘(free calcium, $Ca^{2+}$)은 세균에서 고등동물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세포에서 세포 고유작용을 조절하는 중요한 세포내 신호전달체계(signal transduction system)의 매개체이다. 타액선 세포에서 부교감 신경 자극으로 타액분비가 증가될 때에도 세포내 $Ca^{2+}$ 농도 증가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췌장(pancreas)의 경우 세포내 $Ca^{2+}$ 이외에도 인접세포를 전기적 화학적으로 연결해주는 gap junction이 외분비 기능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가능설이 제시되었다. 타액선 세포에서도 세포막에 고농도의 gap junction이 존재하고 있으며 gap junction을 통해 인접세포들이 전기적, 화학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gap junction이 타액선 세포의 기능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gap junction이 타액선의 타액분비 작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작용이 세포내 $Ca^{2+}$ 농도를 조절하여 이루어질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를 확인하는 실험을 시행하였다. 흰쥐 악하선에서 유리되는 타액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악하선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가는 관을 삽입하여 생리 식염수를 관류하면서 타액선관을 통해 타액을 채취하였다. 세포내 $Ca^{2+}$ 농도는 분리한 악하선 acini 내에 $Ca^{2+}$ 농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형광물질인 fura-2를 축적시키고 형광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Ch 투여로 타액 분비가 증가하였을 때 gap junction을 봉쇄하는 약물인 octanol(1 mM)을 투여하면 타액분비가 봉쇄되었으며 이는 가역적 반응이었다. 2. CCh투여로 세포내 $Ca^{2+}$ 농도가 증가하였을 때 1mM octanol을 투여하면 세포내 $Ca^{2+}$ 농도가 CCh 투여전의 상태로 감소되었다. 3. Octanol은 CCh에 의하여 유발된 초기 $Ca^{2+}$ 증가를 억제하지는 못한 반면에 후기 $Ca^{2+}$ 농도를 감소시켰다. 4. 세포막 $Ca^{2+}$ 통로를 열어주는 약물인 thapsigargin($1{\mu}M$)을 투여하여 세포내 $Ca^{2+}$ 농도를 증가시킨 후 1mM octanol을 투여하면 세포내 $Ca^{2+}$ 농도가 thapsigargin 투여 전의 상태로 감소하였다. 5. 2,5-di-tert-butyl-1,4-benzohydroquinone(TBQ)의 투여로 세포막을 통한 $Ca^{2+}$ 농도의 주기적 변동인 $Ca^{2+}$의 oscillation이 유발되었는데, 이때 1mM octanol을 투여한 경우에 $Ca^{2+}$농도의 oscillation이 정지하여 역시 gap junction을 봉쇄하면 TBQ에 의해서 유발된 세포내 $Ca^{2+}$ 농도의 주기적 변동이 사라지고 $Ca^{2+}$ 농도의 감소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6. Gap junction을 봉쇄하는 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Ca^{2+}$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결과인 것으로 추측된다. From bacteria to mammalian cell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ators of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which regulate a variety of intracellular processes is free calcium. In salivary acinar cells,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_i$) is essential for the salivary secretion induced by parasympathetic stimulation. However, in addition to $[Ca^{2+}]_i$, gap junctions which couple individual cells electrically and chemically have also been reported to regulate enzyme secretion in pancreatic acinar cells. Since the plasma membrane of salivary acinar cells has a high density of gap junctions, and these cells are electrically and chemically coupled with each other, gap junctions may modulate the secretory function of salivary glands. In this respect, I plann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gap junctions in the modulation of salivary secretion and $[Ca^{2+}]_i$, using mandibular salivary glands of rats. In order to measure the salivary flow rate, fluid was collected from the cannulated duct of the isolated perfused rat mandibular glands at 2 min intervals. $[Ca^{2+}]_i$, was measured from the cells loaded with fura-2 by spectrofluorometr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CCh-induced salivary secretion was reversibly inhibited by 1 mM octanol, a gap junction blocker. 2. CCh-induced increase in $[Ca^{2+}]_i$, was also reversed by the application of 1 mM octanol. 3. Octanol did not block the initial increase in $[Ca^{2+}]_i$ caused by CCh, which suggested that the reduction of $[Ca^{2+}]_i$, caused by gap junction blockade was not resulted from the inhibition of $Ca^{2+}$ release from intracellular $Ca^{2+}$ stores. 4. Addition of octanol during stimulation with $1{\mu}M$ thapsigargin, a potent microsomal ATPase inhibitor, reduced $[Ca^{2+}]_i$, to the basal level. This suggested that inhibition of gap junction permeability closed plasma membrane $Ca^{2+}$ channels. 5. 2,5-di-tert-butyl-1,4-benzohydroquinone (TBQ) generated $[Ca^{2+}]_i$ oscillations resulting from periodic influx of $Ca^{2+}$ via plasma membrane. The TBQ-induced $[Ca^{2+}]_i$ oscillations were stopped by the application of 1mM octanol which implicated that gap junctions modulate the permeability of plasma membrane $Ca^{2+}$ channels. 6. Glycyrrhetinic acid, another well known gap junction blocker, also inhibited CCh-induced salivary secretion from rat mandibular glan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ap jun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odulation of fluid secretion from the rat mandibular glands and this was probably due to the inhibition of $Ca^{2+}$ influx through the plasma membrane $Ca^{2+}$ channel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의심: 시민의 덕으로서 회의함

        이주석 ( Lee Jooseok ) 한국윤리학회 2021 윤리학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의심”을 시민의 덕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오늘날 정보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반면 오히려 그 정보를 선택하는 것은 오히려 어려워졌다. 정보를 선택하는 행위자는 정보의 사실 여부를 충분히 검토하기보다 직관적이고 편향적으로 정보를 선택하곤 한다. 그리고 행위자가 하나의 믿음을 승인하고 그 믿음에 근거해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그것은 의견이 된다. 그리고 자기의 믿음에 근거한 의견은 다른 믿음에 뿌리를 둔 의견들은 쉽게 배제한다. 이러한 독단과 배제는 피할 수 없는 대립과 갈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시민의 덕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상황에서 우리가 가장 먼저 생각할 덕목이 믿음 혹은 신뢰의 회복일 것이다. 그러나 이미 독단에 빠져 갈등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믿음은 무력하다. 오히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의심이다. 예컨대 자기의 의견이 틀릴 수 있다는 의심과 상대의 견해가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의심은 심각한 갈등 상황에서 벗어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논자는 이러한 문제에 답변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의심이 덕이 될 가능성에 관해 검토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의심의 형태를 여섯 가지로 분석하여 부덕한 의심과 유덕한 의심을 구분한다. 세 번째로 믿음이 위태로운 덕목임을 세 가지 측면에서 논하고 이에 비해 의심은 믿음이 가지는 위험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을 보여준다. 나아가 의심은 회의적 탐구를 통해 판단을 유보함으로써 행위자를 평정으로 이끈다. 이를 통해 행위자는 충돌하는 의견들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공정한 검토를 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시민의 덕으로서 의심이 오늘날 우리 사회에 어떠한 이바지를 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첫째로 의심은 독단에 빠지지 않도록 돕는다. 둘째 정보들의 충돌에서 오는 혼란을 해소한다. 셋째 시민 사회의 핵심 덕목들이 작동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이 의심의 기여다. 그뿐만 아니라 의심이 가지는 대중성은 시민의 덕으로서 가지는 매우 중요한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논자는 오늘날 시민들에게 의심을 권장할만한 시민의 덕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oubt" as a civic virtue. With dramatical increase of the information, the individuals have been put on difficult situations where they must make decisions on what to accept and what not to amongst the random information. ‘Agent’ often select information based on their intuition, which tends to be biased, before fully exa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Selecting information based on one’s belief is a process of forming an opinion. However, the opinion rooted in a personal belief may exclude other opinions, often causing dogmatism and conflict. To address such situation,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a civic virtue. People who attribute the conflict to the lack of faith or the loss of faith may suggest faith as an important virtue. However, this virtue becomes powerless before dogmatism. Ironically, the key to the solution lies in the doubt. Doubt can help avoid the serious conflict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one’s own opinion may be wrong, and that other’s opinion may not be completely wrong. To present some possible solutions to this issue, I organized the paper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doubt can be classified as a virtue. Second, it divides the doubt into 6 different types and distinguishes virtuous doubts from vicious doubts. Third, it discusses that faith is a dangerous virtue i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doubt is free from such risks. Rather, the study argues that the doubt leads the agent to calm down by having them reserve their judgment through skeptical exploration. This allows the agent to mediate between conflicting opinions and examine the matters from an objective view. Lastly, the article cites specific examples of the contributions that doubts can make to the society. First, doubt prevents one from falling into a dogma. Second, it resolves the confusion that comes from the conflicting information. Third, it creates a condition that vitalizes the core virtues of the society. Besides, doubt has a popular appeal, and this gives more justification that doubt can be a civic virtue. For the above reasons, I suggest that doubt is worth being encouraged as a civic virtue.

      • 국내 13지역 소나무 변재부의 연륜 개수 및 너비 비교

        이주석 ( Ju-Seok Lee ),손병화 ( Byeoung-hwa Son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목재로 제작된 다양한 건축물이나 유물들의 제작 연도는 수피 바로 아래 위치한 연륜의 생성 연도를 근거로 정확한 추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목재로 제작된 대부분의 고건축 또는 유물은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치목과정을 거친 후에 이용되어 수피를 포함한 변재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잘려나간다. 이러한 경우 각 연륜에 정확한 생육 연도를 부여하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활용한 연대측정이 어렵게 된다. 치목으로 제거된 변재부의 연륜 개수를 추정하게 되면 보다 정확한 연대부여가 가능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지역에 따라 생육환경이 달라 변재부의 연륜 개수 및 너비는 다르므로 이를 함께 고려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치목이 된 고목재의 벌채 연도 추정에 필요한 변재 부 연륜 개수 및 너비에 대한 기초자료를 지역별로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에 선정된 수종은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단일 수종으로서 국내 산림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며, 과거부터 지금까지 용재로써 가장 많이 이용되어온 대표적 수종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13지역(강원도 강릉, 횡성, 평창, 경북 경주, 경남 사천, 합천, 전북 부안, 무주, 천안, 전남 영암, 충북 제천, 보은, 충남 서천)의 소나무 임분을 연구지로 선정하였다. 변재의 연류 개수와 너비는 각 지역 10본 이상의 소나무에서 생장추(∅ 5.2㎜, 10㎜)를 이용하여 채취된 생장편에서 확인하였다. 정확한 연륜 확인을 위해 수집된 모든 생장편은 ∪자형 홈이 있는 나무막대에 횡단면이 위를 향하도록 고정한 후, 나이테 경계가 잘 보이도록 연마하였다. 그 후 정확한 변재부의 연륜 개수 및 너비를 파악하기 위해, 연륜폭측정기(RINNTECH, Germany)를 이용하여 연륜폭을 0.01mm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획득된 각 지역 소나무 변재부의 연륜 개수 및 너비를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