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일부 지역 주민들의 스트레스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이정미,길상선,권근상,오경재,Lee, Jeong-Mi,Kil, Sang-Sun,Kwon, Keun-Sang,Oh, Gyung-Jae 대한예방의학회 2003 예방의학회지 Vol.36 No.2

        Objectives : This study evaluated the stress of community residents using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60, as an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Methods : The study included 2100 residents, aged 20 and over, living in three areas, a large city, a medium sized city and a rural area,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01. A questionnaire interview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In this study, the degree of stress, as measured by the GHQ-60,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llowing categories: females, people over 60 years old, people engaged in the primary industries and labor work, low incomes, the divorced and the bereaved, people who received no more than an elementary education, people who suffer from chronic diseases and non-exercisers. A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s of social dysfunction factors; psychosomatic symptom, and depression and anxiety, The social dysfunction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groups described above. The factor of psychosomatic sympto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ural residents, and in the groups describedabove. The depression and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arge city residents, people aged between 20-29 years, students, unmarried persons, university graduates and those having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s. From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chronic disease, exercise, gender and income, proved to be significant stress related factor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management of the chronic invalided, non-exercisers, females and snail income earners, in order to maintain and promote the psychological health of residents in a community.

      • KCI등재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의 연령 단계별 공간이용 실태를 중심으로

        이정미,곽철완,Lee Jeong-Mi,Kwak Chul-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서비스대상으로 하는 어린이 도서관 및 어린이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체류자 점유조사와 행동관찰조사를 통하여 서로 다른 공간유형을 갖는 4개의 어린이실의 어린이와 동반가족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공간구성의 특성에 비추어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를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도서관의 입지 조건과 이용자 속성이 어린이실 면적 규모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실에는 어린이 이외의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는 연령 단계별로 서로 다른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각 영역별로 다양한 독서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가족, 형제 및 친구와 같은 그룹 이용과 단독 이용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체류 장소에서 주로 보이는 행위의 내용과 공간 및 가구의 특성을 공간계획을 위한 키워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obtain the knowledge for spatial Planning of children's library which serves various users. The study method is to observes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space use according to the age step of children in public library, and analyzes it in the relation with the classified 4-types of children's section. Fiv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children area was influenced by library location and user's characteristics. Second, children area was used various aged group with children. Third, there were different use patterns based upon age. Fourth, various reading space was needed through areas. And, last the behavi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nd furnishings were described.

      • 건강한 여름을 위한 운동법은 따로 있다

        이정미,Lee, Jeong-Mi 한국건강관리협회 2008 건강소식 Vol.32 No.7

        햇볕이 적(敵)으로 느껴질 만큼 더운 여름. 걷는 것은커녕 가만히 있어도 주르륵 땀이 흐르는데 운동이라니 생각만으로도 끔찍하다. 더위와 높은 습도는 몸을 지치게 하고 식욕마저도 달아나게 한다. 이럴 때일수록 건강을 위한 운동은 필수. 그러나 아무 운동이나하는 것은 절대 금물. 생각 없이 하는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건강한 여름 운동법에 대해 알아본다.

      • 웃는 것도 운동 인류 최고의 명약 '웃음'

        이정미,Lee, Jeong-Mi 한국건강관리협회 2008 건강소식 Vol.32 No.2

        웃음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언어로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들까지 행복하게 한다. 더불어 건강에도 효과적이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더 긴 이유 중 하나도 여자가 남자보다 더 수용적이고 긍정적이며 잘 웃기 때문이라고 한다. 여러 박사들은 논문이나 세미나를 통해 많이 웃을수록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런 시점에서 웃음이 질병 치료방법의 하나로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커리어앵커 기반 중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정미(Jeong-mi Lee),김진숙(Jin Sook Kim),김유리(Yuri Kim)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This study develops a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areer anchor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career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eeds of school field career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a draf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result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ntent of the program draft, this study identified the draft’s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 through expert evaluation. Subsequently, these were reviewed,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on-site evaluation. The field application was conducted with 82 students in five third-grade classes at C middle school in P Metropolitan City. The areas of improvement of the program (draft) were derived from the teacher’s reflection diary and student satisfaction survey, which helped develop the final program.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ogram’s core process was “Understanding myself through career anchors, connecting myself with the future world of work, and designing creative future jobs.” Through various activities, students identify their talents, abilities, motivations, demands, attitudes, and values and confirm their career anchors. Moreover,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direction of future social and occupational world evolution are crucial in preparation for the changing occupational world.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one’s career must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nd creating a new job in the future. This study expects that by develop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areer anchors, middle school students can thoroughly understand their career anchors and acquire the necessary competencies to design their careers independe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커리어앵커(Career Anchor)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학교 진로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헌분석과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검토를 통해 초안의 강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한 후 현장평가에 적용하였다. 현장적용은 P광역시 C중학교 3학년 5개반 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성찰일지와 학생 만족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안)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의 핵심프로세스는 ‘커리어앵커를 통한 나 이해, 미래 직업세계와 나 연결, 창의적 미래 직업 설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 활동내용과 지원요소를 제공하였다. 자기이해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개인이 가진 재능과 능력, 동기와 가치 등을 발견하고 자신의 진로 경향성이 무엇인지 확인하며, 직업세계 탐색에서는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비하여 미래 사회 및 직업세계 변화의 방향을 이해하고 예측한다. 마지막 미래 직업 설계에서는 미래 사회의 방향과 자신의 진로 경향성을 고려하여 내가 원하는 새로운 미래 직업을 만들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커리어앵커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중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경향성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진로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심혈관계 생리반응을 이용한 아동정서 구분

        이정미 ( Jeong Mi Lee ),이경화 ( Kyung Hwa Lee ),최지연 ( Ji Yeon Choi ),방석원 ( Seok Won Bang ),김재우 ( Jay Woo Kim ),이미희 ( Mi Hee Lee ),손진훈 ( Jin Hun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01 춘계학술대회 Vol.2001 No.-

        성인의 정서에 따른 심혈관계 반응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아동 정서에 따른 심혈관계 반응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자극을 이용하여 유발된 정서에 따른 심혈관계 반응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복합자극으로 구성된 아동용 정서유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아동에게 다섯가지 정서(기쁨, 슬픔, 분노, 스트레스, 무료함)를 유발시키는 동안 심혈관계 반응(ECG, PPG)을 측정하였다. 실험참여 아동은 만 5세에서 9세 사이의 아동으로 모두 141명이며, 분석에는 132명 (학령전 남: 30/ 학령전 여: 33/ 학령후 남:37, 학령후 여:32)의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분석에 사용하나 심혈관계 생리반응 변수는 심박률(HR), 호흡주기 관련 심박률변화 (RSA), 심박률분산(HRV), 심박률분산의 고주파수성분 (HFHRV)과 저주파수성분 (LF HRV), 혈류량 (FPV)이었다. 이 변수들 중 심박률, R파 간 간격을 기준으로 한 심박률변산의 고주파수 성분과 저주파수 성분, 그리고 혈류량에서 정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박률은 기쁨, 슬픔을 스트레스나 무료함과 구분할 수 있고, 분노를 다른 정서들과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류량 역시 분노와 다른 정서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고주파수 성분은 무료함을 나머지 정서들과, 저주파수 성분은 슬픔, 스트레스를 무료함과 구별할 수 있었다. 정서에 따라서는, 기쁨과 분노 유발정서에서는 심박률과 혈류량이 감소하였고, 슬픔은 심박률과 저주파수성분이 감소하였으며, 스트레스는 독특하게 심박률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무료함에서는 고주파수성분과 저주파수성분은 증가하고 혈류량은 감소하는 특징적인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심혈관계 반응을 이용하여 아동정서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