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애완견의 행동인식에서의 센서 축 이동에 대한 연구

        이정건(Jeong Geon Lee),최수지(Su Zi Choi),정현규(Hyun Gyu Jeong),박준호(Jun Ho Park),이희연(Hee Youn L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애완견의 행동인식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센서인 엑셀로미터와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얻는 데이터는 목걸이 형태와 같이 축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같은 상황에서도 값이 다르게 나타나 행동인식에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강인함을 가지고자 센서의 x, y, z 축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벡터의 크기 M 을 구한다. 행동인식에 M 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판단하기 위해 Wek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 가지 Classifier(SVM, KNN, C4.5, Perceptron)에서의 Feature 들의 조합에 따른 정확도를 측정한다. 실험결과 모든 Classifier 에서 기존의 Feature 에 M 을 함께 조합했을 때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또한 각 센서의 M 은 포함하고 있는 정보량은 기존의 x, y, z 축의 데이터 보다 적어 행동인식의 정확도가 평균 3%정도 낮지만 수행하는 계산량은 M이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염도에 따른 수중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특성 및 등가모델 연구

        이정건(Jeong-Geon Lee),강원실(Wonshil Kang),구현철(Hyunchul Ku)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11

        본 논문에서는 수중 환경에서 자기공진기반 무선전력전송 특성을 분석하고, 수중 무선전력전송에 적합한 등가모델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수중 무선전력전송 등가모델은 자유공간 무선전력전송 T 등가모델을 확장하여 매질에 따른 전자기장 감쇠를 반영한 저항, 공진주파수 변화 및 상호인덕턴스 변화를 반영한 커패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한다. 전송매질인 물의 염도에 따른 S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제안한 등가모델의 변수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6.78 MHz 수중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델의 전력전송효율 계산 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하는 모델은 평균 3 % 이내 오차로 특성변화를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ireless power transfer(WPT) based on magnetic resonance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and propose an equivalent model suitable for underwater WPT. The proposed underwater WPT equivalent model is constructed by expanding the free-space WPT T-model reflecting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media. Considering the water salinity,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the parameters of the proposed model based on the S parameters.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a 6.78-MHz underwater WPT system was constructed and compared with the predicted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mode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odel predicts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with an average error of less than 3 %.

      • KCI등재

        상사의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이 비서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를 매개변수로

        이정건 ( Junggu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는 상사 커뮤니케이션 특성이 비서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이들 간 영향관계에서의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SPSS 20.0사용과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수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에서 배려신뢰성과 전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의 영향을, 배려신뢰성 및 전문성과 상사신뢰와는 정(+)의 영향을 그리고 지배성과 상사신뢰와는 부(-)의 영향을, 상사신뢰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비서의 역할스트레스 영향관계에서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상사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 제고와 비서직근무자 프로그램 개발 또는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athize and analyze the effect of superior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n the secretary’s job stress and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uperior trust in their relationship of influence.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SPS 20.0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ngular return analysis, and three-step mediated retur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nsider ation reliability and expertise i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bosses have effects of job stress and wealth, consideration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and positive influence with boss trust, control and boss trust have effects of wealth, and boss trust has effects of job stress and wealth (-).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oss and the role-stress relationship of the secretary could not confirm the mediated effect of boss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ai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upervisor communication and for developing or supporting a program for non-executive workers.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이정건(Jung-Gu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효과 크기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출간된 석 · 박사 학위논문 22편과 학술지 논문 8편 총 30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군 전체효과 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고, 변인군 별 효과크기는 직무관련 긍정변인군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다음 조직관련변인군, 개인관련심리변인군, 직무관련부정변인군, 개인배경 관련변인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군 별 하위변인 효과크기는 개인배경관련변인군 가운데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직위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작은효과크기 또는 작은효과크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심리관련변인군인 자아존중감은 큰효과크기에 가까운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관련변인군 중 조직몰입과 변혁적리더십은 큰효과크기를, 조직문화는 중간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관련긍정변인군인 직무만족은 큰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관련부정변인군 중 소진은 큰효과크기를, 이직의도는 중간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관련하여 선행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객관적 결과를 살피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정책수립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며 미래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agnitude of the correlation effect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To this end, 30 studies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through meta-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 group was the median effect size; the job-related positive variable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the variable groups, and then came the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the personal psychology-related variables, the job-related negative variables, and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in that order. Seco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all factors except position were found to have a small effect size, or close to a small effect size. Self-esteem, which is an individual psychologically related variable, showed a medium effect size close to a large effect size. Among the organizationally related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organization culture showed a medium effect size.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which is a positive job-related variable, showed a large effect size, while burnout from job-related negative variabl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turnover intention showed a medium effect size.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시청자의 K-Drama 시청동기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시청만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형 ( Lee Hwa Hyung ),이정건 ( Lee Jung Gun ),이현석 ( Lee Hyun Se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시청자의 K-Drama 시청동기가 지속시청의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시청만족이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지속가능한 K-Drama 활성화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수집된 513부 자료의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와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콘텐츠 우수성과 출연진 매력도는 지속시청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문화적 호기심과 관계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문화적 유사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사사회 상호작용은 문화적 호기심, 콘텐츠 우수성, 출연진 매력도와 지속시청의도 간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유사성과 관계적 요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만족은 콘텐츠 우수성, 문화적 유사성, 출연진 매력도, 관계적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호기심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시청 만족은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에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 우수성, 출연진 매력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부분 매개하고, 문화적 호기심, 문화적 유사성, 관계적 요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K-Drama 활성화 방안의 방향성과 이론적·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stainable K-Drama diffusion through empirically examining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seudo-social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Chinese viewers' K-Drama viewing motivation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Process Macro Model 4 and Process Macro Model 6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513 data. First, content excellence and cast attractive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cultural curiosity and relational factors had no effect, and cultural similarity had a negative (-) effect. Second, the pseudo-social inter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between cultural curiosity, content excellence, cast attractiveness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while cultural similarity and relational factors completely mediate. Third, viewing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content excellence, cultural similarity, cast attractiveness, relational factors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cultural curiosity fully mediated. Fourth, pseudo-social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double mediated between viewing motivation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by content excellence, cast attractiveness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cultural curiosity, cultural similarity, and relational factors were completely mediated.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suggesting a direction for a sustainable K-Drama diffusion measur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