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발광 β-SiAlON:Eu 세라믹 플레이트 형광체의 치밀화 소결

        박영조,이성훈,장욱,윤창번,윤철수,Park, Young-Jo,Lee, Sung-Hoon,Jang, Wook-Kyung,Yoon, Chang-Bun,Yoon, Chul-Soo 한국세라믹학회 2010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7 No.6

        $Eu^{2+}$-doped $\beta$-SiAlONs ($Si_{6-z}Al_zO_zN_{8-z}:Eu_y$) are recognized as promising phosphor materials to build an white LED for lighting application due to its excellent absorption/emission efficiency in the long wave length region. In this research, the fabrication of $\beta$-SiAlON:Eu plate phosphor by sintering was investigated with fixed Eu content(y) and varied composition of the host lattice(z). The addition of the activator $Eu_2O_3$ lead to enhanced densification by forming the transient liquid phase. The refinement of a composition by the calculated lattice parameter indicated that the measured composition of the fabricated specimens is nearly same to that of designed one. The single phase $\beta$-SiAlON:Eu plate with relative density of 96.4% was achieved by addition of 2 wt% CaO,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full densification by adjusting the processing variabl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 경찰부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장욱 ( Lee Jang Wook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4

        이 연구는 경찰관에 의한 보안유출범죄를 경찰부패와 결부지어 유형화하고, 그 실태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근절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4년간의 공무상 비밀 누설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건의 제1심 판결문 중 피고인이 경찰공무원인 경우를 대상으로 보안유출범죄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의 약 80%가 외부 업자와의 유착 관계에서 비롯되었거나 뇌물수수 등 대가성을 띠고 있었고, 제1심에서 유죄선고를 받은 보안유출범죄는 모두 수사ㆍ생활안전 2개 분야에서만 발생했으며, 유출자의 절반 이상이 경찰서 소속 인력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i) 보안유출이 집중되고 있는 수사 및 생활안전분야 경찰관 대상 특단의 보안대책 수립ㆍ시행, (ii) 보안유출에 대한 내부감찰 강화 및 보안유출혐의를 경찰부패 수사의 단서로 활용, (iii) 공무상 비밀누설 교사ㆍ방조자에 대한 형사처벌 조항 신설 등 경찰관의 보안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esent effective prevention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is goal, the court judgments of the security leakage cases over the past four years has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cases of collusion or quid pro quo (such as bribery) with private companies account for approximately 80 percent of all security leaks by police officers. The security leaks, convicted in the first trial, occurred only in two areas: criminal investigation and public safety. More than half of the police officers who leaked security were working at the police s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First, special securit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police officers working in criminal investigations and public safety depart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se the suspicion of security leaks as clues to investigations into police corruption. Finally, the Criminal Act needs to be amended to enable criminal punishment against citizens who participate in security leakage crim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공무상 비밀누설에 대한 형사처분 동향과 그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장욱 ( Lee Jang Wook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공무상 비밀 누설사건의 특징과 사법부의 판결 동향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관련된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3년간 공무상 비밀누설죄로 기소되어 선고가 내려진 제1심 판결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고유예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둘째, 경찰관에 의한 내부정보 유출사건의 비중이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였다. 셋째,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진자 개인정보 유출사례가 속출하였는데, 누설자 전원이 선고유예 처분을 받았다. 넷째, 공무상 비밀 누설죄는 다른 중대범죄(예: 뇌물수수 등)와 경합범으로 기소되는 사례가 두드러지게 많았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공무상 비밀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상 비밀누설죄(형법 제127조)의 법정형의 상향 조정 및 선택형으로 벌금형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경찰관과 지자체 공무원에 대한 보안교육을 통한 경각심 제고 작업이 필수적이다. 셋째, 공무상 비밀누설을 바라보는 법관들의 인식 전환을 전제로 더욱 엄격한 제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fficial secrets leakage cases and the trends in judicial rulings through the use of actual judg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ful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results of first trials, which were indicted on charges of leaking confidential informa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suspensions of imposition of sentence was very high. Second, the proportion of confidential leaks by incumbent police officers was quite high. Third, in 2020, cases of leakage of confirmed COVID-19 patients occurred one after another, and all officials who have leaked were suspended from imposition of sentences. Fourth,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secret leakage and other serious crimes(e.g., bribery) were indicted in a single case. Based on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tatutory sentence of Article 127 of the Criminal Act and to introduce fines as optional penalty. Second, raising awareness through security education for members at police stations and local governments is essential. Third, more serious sanctions should be imposed in the future on the premise that judges change their perspective on public official secret leakages.

      • KCI등재
      • KCI등재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형사규범학적 재정의

        이장욱(Lee Jang Woo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6 No.3

        오늘날 화이트칼라 범죄는 나날이 지능화되고 다양해지는 등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고, 다양한 범죄 유형들 사이에 어떠한 공통분모적인 요소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utherland에 의해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도 화이트칼라 범죄를 행위주체를 중심으로 정의할 것인지, 행위를 중심으로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이러한 개념 논쟁이 지속됨에 따라 학계 일각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추상적인 정의 논쟁 대신 구체적인 유형분류를 시도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의 개념을 좀더 명확하게 재정의하고, 새로운 유형 분류를 위해 형사규범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행위 부분은 ‘법익(法益, Rechtsgut)’개념을, 주체 부분은 ‘화이트칼라 근로자(white-collar worker)’의 개념을 각각 활용한 결과, ‘공공부문 또는 민간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 개인이나 조직(사업자 포함)이 유·무형의 개인적 또는 조직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비폭력적인 기망·배신·권한 남용 등의 방법으로 행하는 개인적·국가적·사회적 법익 침해 행위’를 화이트칼라 범죄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기초로 하여 (i) 공공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 (ii) 민간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 (iii) 조직(사업자 포함)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로 화이트칼라 범죄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Since a discussion about a white-collar crime was begun by Sutherland, the unproductive dispute has been lasted for a long time in the academic circle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its concept. However,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even so far about whether the white-collar crime will be defined focusing on the offender or the offence. According to the continuation of this conceptual argument, cases that attempt the specific type classification are also being grown instead of the abstract definition controversy over a white-collar crime. The white-collar crime of the day is being added its seriousness such as getting intelligent and diversified day by day. There is likely no special doubt that some elements of being applied in common exist clearly between various types of white-collar crimes in this way. If so, there is a need to newly define a concept of a white-collar crime based on this through seeking common elements of white-collar crimes, and to establish a criminal type on the basis of this. Hence, this study re-defined a concept of a white-collar crime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normative science, and attempted new type classification. Especially, the application was made a concept of ‘Rechtsgut(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o a part of the offence, and a concept of ‘white-collar worker’ to of the offender. As a result, the white-collar crime was defined as infringement of individual· national·social ‘Rechtsgut’ that white-collar workers in the public or private sector or organizations conducts with a method such as abuse of power, deceit, breach of trust in order to pursue tangible·intangible personal or organizational benefit. Also, types of white-collar crime are classified into (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 white-collar worker in the public sector, (i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 white-collar worker in the private sector, (ii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n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