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매체 기반 장르문학 연구의 가능성 -웹소설 연구를 위한 제언-

        이융희 ( Lee Yung Hee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본고는 웹소설 연구를 위해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한 장르문학 연구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 이러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과 방법론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웹소설 연구는 단순히 연재되는 웹소설을 수집하고 해당 텍스트에 대해서 표면적인 가치를 더듬거나 또는 웹소설이라는 매체 자체의 특성을 이야기하는 거시적 담론에만 그치고 있다. 이러한 인상 비평의 영역을 넘어서기 위해선 웹소설에서 소비되는 텍스트, ‘장르문학’을 규명하기 위한 미학적 토대가 필요하지만, 국내에서 장르문학의 담론은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제대로 누적되지 못하였다. 인터넷 소설 시대부터 장르문학은 어린 세대들의 욕망을 드러내는 상업주의적이고 하찮은 문학으로 멸시되기만 할 뿐, 그러한 소비가 어떤 방식에서 어떤 플랫폼을 통해 어떤 구조로 유통되는지에 대한 규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장르문학에서 웹소설까지 이어지는 아날로그 유통망에 대한 복구이며, 해당 유통망에서 이루어졌던 ‘소유되지 않은 텍스트’의 감각이 어떻게 웹소설이라는 매체, 그리고 장르문학이라는 텍스트 속으로 스며들었는지를 규명하는 과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search on genre literature based on digital media for the study of web fiction, and to suggest the basis and methodology to enable such research. Currently, web fiction research is limited to a macro-discourse that simply collects serialized web novels and traces the superficial value of the text or talk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tself, called web fiction. In order to go beyond the realm of impressionstic criticsm, an aesthetic foundation is needed to clarify “genre literature”, texts consumed in web novels, but the discourse of genre literature in Korea has not been properly accumulated for nearly 30 years. Since the era of internet novels, genre literature has only been despised as a commercialist and insignificant literature that reveals the desires of younger generations, and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into how such consumption is circulated through what platform and in what manner. This study is the restoration of the analog distribution network that extends from genre literature to web fiction, and examines how the sense of ‘unowned text’ that was made in the distribution network penetrated into the medium of web fiction and the text of genre literature. It’s a process.

      • 한반도 동남부 신생대 지각변형의 주요 특징과 지구조적 의의

        손문,김종선,정혜윤,이융희,김인수,Son, Moon,Kim, Jong-Sun,Chong, Hye-Yoon,Lee, Yung-Hee,Kim, In-Soo 한국석유지질학회 2007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13 No.1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has experienced crustal multi-deformations according to changes of global tectonic setting during the Cenozoic.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crustal deformations in relation to major Cenozoic tectonic ev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llision of Indian and Eurasian continents and abrupt change of movement direction of the Pacific plate (50${\sim}$43 Ma): The collision of Indian and Eurasian continents caused the eastward extrusion of East Asia block as a trench-rollback, and the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acific plate was abruptly changed from NNW to WNW. As a result, the strong suction-force along the plate boundary produced a tensional stress field trending EW or WNW-ESE in southeastern Korea, which resultantly induced the passive intrusion of NS or NNE trending mafic dike swarm. (2) Opening of the East Sea (25${\sim}$16 Ma): The NS or NNW-SSE trending opening of the East Sea generated a dextral shear stress regime trending NNW-SSE along the eastern coast line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pull-apart basins were developed in right bending and overstepping parts along major dextral strike slip faults trending NNW-SSE in southeastern Korea. The basin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 the basis of geometry and kinematics: Parallelogram-shaped basin (rhombochasm) and wedged-shaped basin (sphenochasm), respectively. In those times, the basins and adjacent basement blocks experienced clockwise rotation and northwestward tilting contemporaneously, and the basins often experienced a kind of propagating rifting from NE toward SE. At about 17Ma, the Yonil Tectonic Line, which is the westernmost border fault of the Miocene crustal deformation in southeastern Korea, began to move as a major dextral strike slip fault. (3) Clockwise rotation of southeastern Japan Island (about 15 Ma): The collision of the Izu-Bonin Arc and southeastern Japan Island, as a result of northward movement of the Philippine sea-plate, induced the clockwise rotation of southeastern Japan Island. The event caused the NW-SE compression in the Korea Strait as a tectonic inversion, which resultantly tenninated the basin extension and caused local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blocks in southeastern Korea. (4) E-W compression in the East Asia (after about 5 Ma): Decreasing subduction angle of the Pacific plate and eastward movement of the Amurian plate have constructed the-top-to-west thrusts and become a major cause for earthquakes in southeastern Korea until the present time. 한반도 동남부는 신생대 동안 지구조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중 지각변형을 겪었다. 신생대 동안의 주요 지구조 사건과 이에 따른 한반도 동남부에서 발생한 지각변형의 주요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인도-아시아의 충돌과 태평양판의 이동방향 변화기(약 50${\sim}$43 Ma): 인도판의 충돌에 인해 동아시아 대륙이 동쪽의 태평양판쪽으로 밀려가면서 해구의 퇴각이 발생하였으며, 태평양판의 이동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다. 그 결과 한반도 동남부에는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방향의 인장력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남${\sim}$북북동방향의 염기성 암맥군이 관입하였다.(48 Ma 전후). (2) 동해 화장기(약 25${\sim}$16 Ma): 남북 내지 북북서-남남동방향으로 동해가 활발히 확장됨에 따라 한반도 동쪽 해안선을 따라 우수향 전단력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한반도 동남부에는 북북서-남남동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운동이 발생하였으며 단층의 우향 굴곡부 혹은 오버스텝 부분에는 당겨열림형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기하 및 운동학적 특징에 따라 퇴적분지들은 평행사변형과 쐐기형 확장 분지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 시기에는 지괴가 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되고 북서향으로 경동되었으며 일부 퇴적분지들은 확장 축이 동에서 서쪽으로 이동되는 전파열개 과정을 겪었다. 또한 약 17Ma경에는 이러한 지각변형을 가장 서쪽에서 규제하는 연일구조선이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으로 운동하기 시작하였다. (3) 일본 남서부 시계방향 회전기(약 15Ma): 필리핀해판의 북상으로 이즈-보닌 아크와 일본 남서부가 충돌해 일본 남서부의 시계방향 회전운동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대한해협에는 북서향 압축력이 가해졌으며 한반도 동남부에서는 응력반전으로 인해 퇴적분지의 확장이 종결되고 지괴의 융기와 국지적인 지괴의 반시계방향 수평회전운동이 발생하였다. (4) 동서방향 압축응력기(약 5Ma 이후): 태평양판의 섭입각도가 얕아지고 아무르판이 동진함으로써 한반도 동남부 특히, 울산단층 동부에 상반서향의 충상단층들이 형성되어 지괴가 융기되었으며, 최근 한반도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