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내향성과 대인관계 수준, 이상적-현재적 자기개념의 갭이 SNS(Social Network Service)사용에 미치는 영향

        이윤형 ( Yoon Hyoung Lee ),서준석 ( Jun Seok Seo ),백경은 ( Kyung Eun Bak ),안수정 ( Su Jeong Ahn ),정다래 ( Da Rae Jung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논총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variables(the intro-extroversion, interpresonal relationship skill and real-ideal self discrepancy) on SNS use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active SNS use such as posting their thoughts and making new relationship with previously unknown person. To do so, we investigated 280 students in Daegu/ Kyungbuk area. As results, the intro-extroversion person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and real-ideal self discrepancy explain 19.6% of the active SNS use. Also, people who have more extroversion personality showed more active SNS use than those who have less extroversion personality. Interestingly, people who have l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and more real-ideal self discrepancy showed more active SNS u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ose who have extroversion personality use SNS more actively to compensate their lack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and the real-ideal self discrepancy.

      • KCI등재

        시각적 단어재인과정에서 단어 빈도와 단어 길이효과의 발현 시점

        권유안(Youan Kwon),이윤형(Yoon Hyoung Lee) 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연구 Vol.0 No.69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lexical access in the visual word recognition. Although behavioral studies showed the interaction between two variables, previous results could not explain the time point that word frequency effect, word length effect and the interaction started.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distinct time point of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effect using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ERP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the word frequency started about 100ms after the onset and the word length effect emerged about 200ms after the onset.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wo variables in all time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word frequency and the word length effect affected in different time points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 KCI등재

        소형프로판용기 내압시험을 통한 용기의 형상변화 분석

        이종상(Jong-Sang Lee),장갑만(Kap-Man Jang),이윤형(Yoon Hyoung Lee),임상식(Sang-Sik Yim),이진한(Jin-Han Lee) 한국가스학회 2014 한국가스학회지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STS304로 만든 소형프로판용기의 내압증가에 따른 형상변화를 분석하였다. 소형 프로판용기는 내압이 증가하면 하부 경판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형상이 변한다. 이러한 형상변화에 따른 소형 프로판용기의 내압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기존의 내압시험과는 다른 방법인 수조식 내압 시험방법을 이용하였다. 수조식 내압시험 방법은 가압에 따른 용기의 체적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용기의 내압과 체적과의 관계를 분석 가능하다. 분석결과 하부 경판부의 형상변화에 따른 용기변형구간이 존재하고 용기의 하부 경판부의 변형이 시작되면 가압에 따른 부피증가량이 비례하지 않고 더 많이 증가되어 내압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형 프로판용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압력용기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at a change in the shape of small propane containers made of STS304 when increasing of internal pressure. When internal pressure of a small propane container increased, bottom of end plate is convexly changed. This test is applied to a water bath pressure tes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Water bath is able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pressure and volume. In result, shape change section is confirmed because bottom of end plate is convexly changed. In addition, this section tend to decrease internal pressure because a volume increment increase out of proportion to pres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ressure vessel, as well as various small propane container.

      • KCI등재

        한국어 말소리 재인 시 표기의 영향

        이선경 ( Seon Kyoung Lee ),이윤형 ( Yoon Hyoung Lee ),권유안 ( You An Kwo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본 연구는 말소리 재인 시 표기 정보가 사용되는지 아닌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양방향 상호 활성화 모형을 바탕으로 과거 많은 연구들이 주로 시각적 단어재인에서 음운의 역할을 다룬 반면 말소리 재인에서 표기의 역할을 검토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차-양상 청각 단어 어휘 판단과제를 통해 한국어 말소리 재인에서 표기와 음운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점화자극은 시각적으로 제시되었고, 목표자극은 청각적으로 제시되었다. 그 결과 점화자극과 목표자극의 첫 음절 표기가 일치하는 조건에서 유의하게 촉진적인 점화효과가 관찰되었고, 첫 음절 음운이 일치하는 조건에서는 억제적인 점화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말소리를 재인할 때도 표기 정보가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orthographic information and phonological information in spoken word recognition in Korean. While many studies suggested the effect of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in visual word recognition in Korean, less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the orthographic information in spoken word recognition in Korean.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cross modal masked priming lexical decision tasks where a prime was visually presented before auditory target were pres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rthographically matched prime facilitated lexical decision of the auditory targets while the phonologically matched prime caused inhibition. These results support a bimodal interactive activation model by Grainger and colleagues in the 1990s, which suggests the interaction of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information in sublexical and whole-word representations.

      • KCI등재

        중학생들의 또래 괴롭힘 참여유형에 따른 도덕 판단의 차이: 결과의 수혜자와 상황의 책임소재를 바탕으로

        전연희 ( Yeon Hee Jeon ),심은정 ( Eun Jung Shim ),이윤형 ( Yoon Hyoung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또래 참여유형에 따라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결정에 대한 판단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판단에 따른 결과의 수혜자(자신-타인)와 상황의 책임소재(있음-없음)에 근거한 도덕 판단이 주변또래 참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옳고 그름의 판단, 자신이나 타인이 그 상황에서 어떠한 행동을 취할 것인지 선택에 대한 판단, 비난 가능성에 대한 판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 참여유형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도덕적 딜레마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도덕성, 자기행위, 타인행위 및 비난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했다. 그 결과 도덕 판단 시 결정의 수혜자가 자신일 때, 피해자에게 책임이 있을 때 다수를 살리기 위해 한 명을 희생하는 결정이 도덕적 행위를 어긴 정도가 덜 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결정에 대한 판단은 주변또래 참여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자기행위 판단과 타인행위 판단의 경우에 방관자 집단이 방어자집단에 비해 딜레마 상황에서 한 명을 희생하는 결정이 도덕적 행위를 어긴 정도가 덜 하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방관자의 경우에는 자기행위 판단에서 희생자에게 책임이 있는 경우에 도덕적으로 괜찮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해자의 책임에 대한 방관자의 인식 변화가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의 방관자의 역할 행동변화의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또래 괴롭힘의 예방을 위해서는 피해자들의 책임여부에 관계없이 또래 괴롭힘은 옳지 못하며 또래 괴롭힘이 결국은 자신의 문제라는 것을 인식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ral judgments in moral dilemmas differs according to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situation(i.e., bully-followers, bystanders, defenders).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d differences in moral judgment based on the beneficiary of the choice(self vs others) and the attribution of the responsibility.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city completed the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 and the scale of moral judgment in moral dilemmas. The major finding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moral judgment in moral dilemmas differed according to the beneficiary of the choice and the attribution of the responsibility. In overall moral judgment, participants evaluated morally more acceptable in case that the beneficiary of choice was oneself and responsibility can be attributed to victims. Moreover, the moral judgments were partly differed according to participant role in bullying and in the types of judgments. While the judgement of morali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blame did not differ based on the participants’ roles, bystanders deemed that the degree of violation was lower compared to defenders in the case of the judgment of one’s act,. Also, in the judgment of one’s act, bystanders evaluated that it is morally tolerable in case that victims are responsible in that situation.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change of bystanders’ perception regarding the responsibility of victims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hange of their role in bullying situation. Current findings indicate that moral judgments in their moral dilemmas vary depending on the participant role, the beneficiary of choice and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The current study also suggested that efforts of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argeted at bullying need to consider adolescents’ moral judgment tendency.

      • KCI등재

        비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개관

        서지원(Seo, Ji-won),남예은(Nam, Ye-eun),이윤형(Lee, Yoon-hyoung),이원혜(Lee, Won-hye)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硏究 Vol.- No.98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지난 10년 간 정상적인 인지기능을 가진 사람들(비임상군)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해 훈련 목표로 삼은 인지기능, 효과 평가 도구 등을 중심으로 20편의 문헌을 개괄하였다. 또한 온라인 환경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비임상군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 구조나 내용에 어떠한 차별점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인지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비교 집단인 활성 대조군의 역할에 대해 확인하고, 온라인 인지 향상 프로그램이 실제 인지기능 향상으로 이어졌는지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온라인 및 웹 기반 인지 향상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과 프로그램 개발시 고려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reviewed 20 articles related with onlin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for people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s (non-clinical groups) over the past 10 years. We examined the focused cognitive functions of the training and tools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training.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gram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in order to find out the important aspects for the on-line program for non-clinical groups of various ages. We also conformed the importance of the active control group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onlin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actually led to meaningful improvement. Finally, we discussed the applicability of on-lin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consider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기술과 정서표현 불능이 초기 타인지각에 미치는 영향

        김혜지 ( Hae Ji Kim ),도하라 ( Ha Ra Do ),박정하 ( Jung Ha Park ),김현주 ( Hyun Ju Kim ),이윤형 ( Yoon Hyoung Lee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논총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기술, 정서표현 불능증이 초기 타인인상 형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본인의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기술, 정서표현 불능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낯선 사람의 첫인상 형성을 유도하고 이후 그 사람의 첫인상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이 클수록, 대인관계 기술이 좋을수록 타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정표현 불능의 정도는 타인 응 호의적으로 보는지와 관련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초기 타인 인상형성과 큰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초기 타인 지각 시 타인인상 형성에 본인의 비적 특성 이 영향을 미치며 특히 대인관계 기술이 좋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이 타인을 보 다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lexithymia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ve effect on the early person perception. To do so, self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lexithymia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at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were surveyed, Students`` early person perception were examined through a survey after an experiment which induces early person perception. As results, those with higher self efficacy and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 perceived others more positively while Alexithymia does not seem to have a strong relation with person perception. This experiment suggested that not only information from outside but also the individual``s inner treats such as self 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ave effect on the early person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