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아뇌전증에서 수술 치료의 적용

        이윤영(Yoon Young Yi),강준원(Joon Won K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2

        뇌전증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신경학적 질환으로 30-40%의 환자들은 난치성 뇌전증으로 진행된다. 항경련제나 식이요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난치성 뇌전증의 경우 뇌전증 수술이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널리 이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수술대상은 환자의 연령, 뇌전증 증후군, 뇌전증 수술 전 검사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경련 유발 병변의 위치, 수술 방법, 수술 범위에 따라 다양한 예후가 보고 되고 있다. 소아청소년에서는 성인과 달리 선천 이상인 피질 이형성증 등이 흔하며 측두엽외 뇌전증 수술에 대한 비중이 크다. 재발 예후 인자로는 국소 피질 이형성증 I형, 불완전 제거와 수술 전까지의 경련 노출시간 등이 있다. 수술 방법에는 국소 절제술외에도 대뇌반구절제술, 뇌량절제술, 미주신경 자극술이 있으며, 성인과 비슷한 장기 경련 조절 효과를 보인다. 또한 수술 후 인지 및 행동의 호전이 보고되기도 한다.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수술은 경련 조절뿐 아니라 인지행동 예후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상이 되는 환자를 조기에 선별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Epilepsy is one of the world’s most common neurologic disorders and epilepsy surgery is a major treatment option for intractable epilepsy in pediatric patients. Understanding the sequential steps of epilepsy surgery is important for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candidate for surgery. Surgical methods in epilepsy surgery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urgical evaluation an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resective surgery and disconnective surgery. The implantation of neuromodulation is also a potential surgical approach. Here, we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presurgical assessment for intractable epilepsy in pediatric patients, novel surgical procedures, and associated outcome data.

      • KCI등재

        천식 소아에서 혈중 포스포리파제 A2: leptin과 운동유발 기관지과민성과의 상관성

        유정섭 ( Jueng Sup You ),최원복 ( Won Bok Choi ),이윤영 ( Yoon Young Yi ),정수인 ( Soo In Jeong ),송준섭 ( Joon Sup Song ),양승 ( Seong Yang ),황일태 ( Il Tae Hwang ),이하백 ( Ha Baik Lee ),백혜성 ( Hey Sung Bae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3 No.2

        Purpose: Dysregulated cysteinyl leukotriene (CysLT) synthesis is prominent in exercise-induced bronchoconstriction (EIB). Secreted phospholipase A2 (sPLA2) plays a key regulatory role in the biosynthesis of CysLTs. We previously found that serum leptin levels cor¬relate with (EIB) in children with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sPLA2/leptin levels and EIB. Methods: Sixty-seven prepubertal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6 and 10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y were asthmatics with EIB (n=25), asthmatics without EIB (n=21), and healthy subjects (n=21). We measured the plasma sPLA2 and leptin levels. We also performed pulmonary function tests at baseline, after bronchodilator inhalation, and after exercise. Results: The sPLA2 and lep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sthmatics with EIB than in those without and control subjects. In addition, sPLA2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Speraman correlation coefficient r=0.343, P=0.023) and leptin level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r=318, P=0.033). The maximum decrease in %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PLA2 levels (r=0.301, P=0.041) and leptin levels (r=0.346, P=0.018). Conclusion: The sPLA2 and lep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sthmatics with EIB than in asthmatics without EIB and control subjects. In addition, sPLA2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ptin levels and EIB in asthmatic children.(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99-104)

      • KCI등재후보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민수(Min Su Cho),최세린(Se rin Choi),김경미(Kyeong Mi Kim),이윤영(Yoon Young Yi),김성구(Sung Koo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5 No.1

        목적: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미디어 영상기기의 발달로 많은 영유아가 장시간 미디어에 노출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세 이전 영유아의 90%가 미디어에 의한 영상물을 노출되어 있으며 평균적으로 1-2시간을 시청한다. 이들 중 14%에서는 하루에 2시간 이상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에서 미디어 노출의 장단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미디어가 영유아에서 언어발달, 지식의 향상,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2011년 미국소아과학회에서는 영유아에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인 연구는 없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를 토대로 2세 이하에서는 미디어 노출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국내에서는 미디어 노출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 1일부터 2014년 7월 30일까지 동탄성심병원에 언어발달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40명과 같은 기간 다른 질환으로 내원한 대조군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해 미디어 일일 노출시간, 노출 시기, 노출 프로그램, 노출형태(간접노출, 직접노출), 부모와의 같이 시청했는가의 유무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차이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언어 발달 지연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33.6개월 이었으며 남녀 비는 2.6:1 였다. 연령, 남녀 비, 부모의 교육 정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미디어노출 시간은 환자군에서 3-4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63%에서 2시간 이상 노출 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2시간 이상 노출 아동은 16%로 환자군보다 적었다. 미디어 노출시기는 언어발달 지연군에서 24개월 이전 노출되었던 아동이 90%, 대조군은 58% 보였으며 미디어를 시청하는 방법에서 혼자 보는 형태가 79%로 언어발달 지연군에서 대조군인 41% 보다 높게 나왔다. 결론: 언어 발달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영유아에서 하루 2시간 이상의 미디어 노출, 24개월 이전에 미디어에 노출된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높아 미디어의 이른 노출과 오랜 시간의 노출이 언어발달 지연의 위험인자이며 부모 없이 영유아 혼자 미디어를 시청하는 것은 언어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장기적인 전향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media exposure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40 patient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who visited the pediatric clinic of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2013 to July 2014. The 66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without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were included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media exposure time, contents, background media or foreground media, age of first exposure, and media exposure with or without parents), and analyzed through a t-test, Chi-square test,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by using the SPSS-Version 21.0. Results: The mean age of the language delay group was 33.6±10 months, while the male-to-female ratio was 2.6:1 in this study. In regard to media exposure time, 63% of the language delay patients were exposed to media for more than 2 hours a day, as compared to 16% of the control group (P<0.001). Among the language delay group, 90% of the patients were under 24 months old at the time of exposure to media, as compared to 58% of the control group (P<0.001). In addition, 79% of the language delay group watched media without anyone, as compared to 41% of the control group (P=0.001). Conclusion: Risk factors of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were exposure to media more than 2 hours a day and toddlers under 24 months old at the time of exposur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longer exposure and earlier exposure to media would be risk factors in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and watching media alone may negatively influence the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자작나무에 감작된 소아에서 과일 알레르기를 진단하기 위한 microarray법에 의한 성분 항원검사

        최원복 ( Won Bok Choi ),유정섭 ( Jueng Sup You ),이윤영 ( Yoon Young Yi ),정수인 ( Soo In Jeong ),송준섭 ( Joon Sup Song ),양승 ( Seong Yang ),황일태 ( Il Tae Hwang ),이하백 ( Ha Baik Lee ),백혜성 ( Hey Sung Bae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3 No.3

        Purpose: Recently, component-resolved diagnosis (CRD) using microarray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to the field of clinical allergy.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microarray-based IgE detection for diagnosing clinical raw fruit allergy in birch pollen-sensitized children. Methods: Thirty-one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who had been sensitized to pollen were studied. A pollen-sensitized patient was defined as having an allergen-specific history with concomitant positive skin-prick tests (SPTs) to natural allergen extracts or positive allergen-specific IgE. All subjects underwent SPTs for pollen and fruit. In all subjects, specific IgE to pollen and fruit were measured by ImmunoCAP. Specific IgE antibodies to allergen components were determined by a customized allergen microarray (ISAC). Results: Thirteen of the 31 patients (41.9%) had a history of fruit hypersensitivity with positive SPTs. Measuring IgE to allergen components by ISAC, all the 13 patients with fruit hypersensitivity were positive to at least one of Mal d 1, Pru p 1, Pru p 3, Act d 8, and Act d 2 compared to 12 of the 13 patients (92.3%) who had at least 1 positive IgE to fruits (apple, peach, and kiwi) using ImmunoCAP. The sensitivity of ISAC microarray was 100.0% for the diagnosis of fruit hypersensitivity, but its specificity was 27.7% (5/18). The sensitivity of ImmunoCAP was 92.3%, and its specificity was 83.3%. Conclusion: The sensitivity of allergen components tested using microarray for the diagnosis of clinical fruit hypersensitivity in children with pollen allergy was high; however, its specificity was low.(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200-2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