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모수 분석방법에 의한 국내 건설조직 성과 측정 방향에 관한 연구 - DEA를 이용한 국내 연구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

        이윤선,Lee, Yoon-S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5

        자료포락분석모형은 다수의 산출을 생성하기 위해 다수의 투입을 사용하는 생산시스템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는 비모수적 방법으로 건설생산체계의 복잡하고 동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성과측정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DEA 방법론을 적용한 건설 생산조직의 성과측정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이슈들과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였다.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성과 측정 목표 및 대상, 자료 구조화 방법, 생산가능집합과 효율성 척도 선정, 벤치마킹 및 사후 검증 등의 일련의 단계로 이루어진 성과측정체계를 제안하고, 1997년부터 2013년까지 DEA를 적용하여 국내 건설산업 성과측정 연구를 수행한 21편의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관찰된 주요 특성 및 결과들은 건설기업이 자신의 상대적 효율성 수준을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예측을 하는데 DEA방법론이 유용하게 적용되어왔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타산업의 연구와 비교해볼 때 국내 건설산업의 효율성 측정은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 자료의 구조화, 측정모형, 모형 검증 등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DEA을 적용한 건설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체계를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easures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DMUs) with multiple performance factors that are grouped into outputs and inputs. DEA has proven to be superior to simple aggregation of performance measures, and is also useful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companies for comparison with competito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literatures on the application of DEA methodology and to propose a methodological schem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organizations. Articles on previous studies were surveyed and examined as part of a comprehensive review.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application of DEA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li mited. Further,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ical framework on the special goals and subjects of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s of data structure and collection, selection of appropriate DEA models, analysis of results, and post-test.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identified and discussed the types of major issues and topics for future studie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which could be helpful to researchers interested in using DEA to study performance issues in construction organizations.

      • KCI등재

        하악 전돌증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방법에 따른 설골과 혀의 위치 및 기도량 변화의 비교

        이윤선,한세진,Lee, Yoon-Sun,Han, Se-Ji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pharyngeal airway space,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according to the orthognathic surgical methods of mandibular prognathism.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30 patients (16 males, 14 females) with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1 (10 patients) underwent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only; group 2 (10 patients) underwent BSSRO with genioplasty; and group 3 (10 patients) underwent BSSRO, Le Fort I osteotomy. We measured the lines between the selected upper air way, hyoid bone and tongue landmarks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x-ray films of skeletal class III. The measurements were made preoperation, within 1 week after the operation, 3~6 months after the operation and 1 year after the opera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measurements with matched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s: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hanges in the nasopharyngeal airway space in group 3. The measurements of group 3 also increas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as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measurements. In group 1, 2 and 3, the immediate postoperative oro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airway spaces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period, the hypopharyngeal airway space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positions, but the oropharyngeal airway spac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upper and lower tongue was posteriorly repositioned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lower tongue position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position, and the upper tongue 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the B point was moved to the posterior position, and a slight anterior advancement was found in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 Patients who received the mandibular setback surgery showed a decrease in the posterior airway space, and those who underwent maxillary advanceme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nasopharyngeal airway space, which remained stable during the evaluation period. The change of the airway space, position of the hyoid bone and tongue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genioplasty.

      • KCI등재

        여수 영당의 역사와 지속가능한 민속경관 전략

        이윤선 ( Yoon Sun Lee ) 남도민속학회 2007 남도민속연구 Vol.14 No.-

        This study is preceeded with two purposes; one is to exam the present situation of Yeosoo shrine by its history and culture and to inquire into its humanistic foundation, and the other is to inquire into a strategic plan on the sustainable possibility of the exorcism for a big catch of fish of shrines in the side of the preservation and the utilization of a local culture prototype.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exams the meaning of a city of scenary to the side of a folk of scenary where ‘place’ and ‘folk play’ are performed. Yeosoo shrine has known for the only shrine for the sea god to deify General Lee Soon-shin. Supposed that the shrine was built in 1443, the history of the shrine can be gone back to 15th century or more over. It is said that the shrine was originally for deifying General Choi Young. After going through various processes, the shrine changed the present shrine to deify both General Lee and Choi. According to the related record, there was a portrait scroll centering around General Lee in the record of the shrine until 1942 including the record in 1900. Besides the study can confirm that the tablet was moved into this place. However the portrait was forced removal by Japanese Imperialism on 1943, and having been entirely abolished by the reclamation to establish the Far East Fishing Port Base, the portrait was restored on 1982. The shrine can be said as the representative popular religious place of Yeosoo to take pride in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Accordingly, the study considers that the shrine can function as the supplementary and complementary system of folk scenary to be able to offset the image of Yeosoo like a fishery city in Japanese Imperialism and a city of chemical industry. This is because the study considers this fact as one of repositioning work and also considers it as a scenary that can complement Yeosoo′s scenary covered with a modern inharmony. In Korean traditional thought of configuration of the ground, a complementary divination by configuration of the ground is a humane countermeasure to have a purpose on the achievement of constancy and stability in the ecological atmosphere of a dwelling site by the harmony of divination by configuration of the ground when the atmosphere is lack. Therefore, the study concludes the shrine can be preserved and utilized continuously in that the shrine has the modern meaning of folk scenary which complement a scenary of city as well as has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The designation as cultural properties can be the most realistic plan for its preservation. The designation, as UNESCO has pointed it a long time ago, can be interpreted as a cultural scenary or humane scenary. Supposed the side of a designation as cultural properties, it will be possible of designation in the part of “Modern Cultural Heritage”, “Data of Cultural Properties”, “Monument”, and “Folk Data”. Among them, the designation as Folk Data will be the most realistic plan. This is because the study estimates that the supplementary and complementary tradition culture scenary by the designation can function as a port scenary system in the city scenary of Yeosoo.

      • KCI등재후보

        설화기반 축제 캐릭터의 스토리텔링과 노스탤지어 담론 -전남의 장성 < 홍길동 > 및 곡성 < 심청 >을 중심으로-

        이윤선 ( Yoon-sun Lee ) 남도민속학회 2007 남도민속연구 Vol.15 No.-

        전남 장성 < 홍길동축제 >의 홍길동, 전남 곡성 < 심청축제 >의 심청 캐릭터가 매개하는 축제담론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축제 캐릭터가 문화관광산업의 블루오션이라는 맥락에서 접근하는 것에 반해, 그 이면에 은닉되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성격에 대해 주목해보았다. 두 개의 캐릭터가 함유하고 있는 가상공간은 매우 흥미롭다. 율도국과 용궁이라는 가상의 세계가 향유공간으로 지목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향유자들의 글로컬한 공간의식 혹은 공간지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연고논쟁의 와중에서 지역의 정체성을 획득하려는 의지가 천명되고 있고, 이는 빈약한 연고에 대한 대응논리라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지역 간의 캐릭터 연고권 논쟁이 촉발되는 것은, 소재 헌팅에서 각 지자체가 캐릭터뿐 아니라 로케이션 등의 장소에 대한 독점적 점유권을 행사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역사적 인물이나 설화 기반의 인물들을 축제뿐만 아니라 지역의 메인 캐릭터로 내세우는 이유는 이 캐릭터들을 통해 그러한 자신들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결국, 연고에 상관없이 국가적 캐릭터들을 선점하여 자신들의 이야기로 전환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게 되는데, 이는 대개 스토리텔링의 경향으로 나타나곤 한다. 이처럼 동일한 설화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설화가 기본적으로 담화 주체들의 인식 방향에 의해 그 성격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이때의 홍길동이나 심청의 스토리는 참가자의 선택에 의해 취사되는 매개물일 뿐이며, 수요자의 선택 용도에 따라 차용된 도구로 기능할 따름이다. 연고논쟁과는 별개로, 캐릭터를 통해 이들 전체를 관통하여 향유하고자 하는 욕망의 동시성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장성군과 곡성군이 유사 연구결과를 토대로 캐릭터를 선점했으며, 이를 대외적으로 표방하기 위한 방편으로 축제를 개최하고 있는 셈이다. 달리 말하면 강릉시와 옹진군 이하 연고논쟁에 관련된 다른 지역은 캐릭터를 통해 매개되는 욕망의 동시성을 가지고 있으되, 공식적으로 그것을 표출시킬 ‘판’을 놓쳐버렸고, 캐릭터를 향유하거나 소비하는 수요자들은 적어도 축제라는 공식적인 ‘판’을 위해서는 장성과 곡성에서 벌여놓은 ‘판’에 참여하는 방법을 택하도록 강제된다고 볼 수 있다. 장성 홍길동축제와 곡성 심청축제에서 국가적 캐릭터인 홍길동과 심청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매개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답을 얻지 못했다. 부분적인 측면에서는 지역연고에 너무 사로잡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정도를 짚어봤을 뿐이다. 결국 지역 연고성이 없는 대신 국가적 브랜드로 활용할 수 있는 대외적 인지도의 캐릭터를 선정하여 지역적, 그리고 오프라인뿐만이 아닌 영상콘텐츠 등의 영역을 확장해 가려는 의도가 드러남을 살펴보았다. 곡성군은 원홍장설화를 매개로 하여 심청을 중국 주산군도로 확장시키기도 했다. 홍길동 또한 장성군을 통해 애니메이션이라는 또 하나의 영상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는 중이다. 이것이 진위논쟁과 연고논쟁을 촉발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어쨌든 그 기저에 흐르는 노스탤지어는 장성과 곡성을 통해서 글로벌세계로-아마도 동아시아적 공간이 대상이 되겠지만-확장해 나간다는 공간 확장논리가 부분적으로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a festival discourses what it mediates to the characters of Hong Gil Dong in ‘Hong Gil Dong Festival’ of Jangseong and Sim Cheong in ‘Sim Cheong Festival’ of Gokseong.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hidden or partially exposed personalities of festival characters in opposition that most of festival characters are approached in a context called “Blue Ocean of Industry of Culture and Tourism.” It interests to a virtual space what two characters include. This is because the virtual space called Yuldo-guk and Yong-gung are appointed as an enjoyable space. Through this factor, The study can find out enjoyer’s glocal space-consciousness or space-directivity.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the controversy of character’s birth places, local people have a will to acquire a local identity, and this originates from a countermeasure logic to a poor preemptive rights. This controversy of character’s preemptive rights among local governments starts from that each local government tries to exercise a possessory right about the places of their locations as well as characters. Furthermore, the reason why the local governments put up historical or tale-based characters as local main characters is that the governments think to be able to be satisfied their desire with the characters. As a result, many local governments take a strategy to preoccupy national characters regardless of their connections. This usually used to be expressed in the tendency of a storytelling. Like this, the same narrations differ from each regional group. This is because the feature of narrations is changed by speaker’s cognitive direction. At this time, a story about Hong Gil Dong and Sim Cheong is just a medium selected by participants, and functions as a borrowed imple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s synchronous desire to try to possess all things through the characters in another matters of the controversy of preemptive rights. However, Jangseong county and Gokseong county preoccupied the characters based on the results of similar researches, and held the festival as an expediency to profess this to the outsides. In other words, Gangneung city, Ongjin county, and other local governments related with the controversy of preemptive rights have the synchronous desire to be mediated by characters, but miss the time and the field to express them. Conclusionally, the user to enjoy or consume the characters have to take part in the field of Jangseong and Gokseong in order to enjoy an official field, festival. The study can not find out the answer about how Hong Gil Dong Festival in Jangseong and Sim Cheong Festival in Gokseong effectively mediate the national characters, Hong Gil Dong and Sim Cheong. The study treats the problem only in a partial aspect which the characters may be confined to a local connection. The study can figure out the intention of local governments that tries to choose a high recognized character to utilize them as a national brand as well as a local one and then tries to enlarge its field to off-line and visual contents. For examples, Gokseong county enlarges Sim Cheong to Zhousan archipelago by mediating the narration of Wonhongjang and Jangseong county makes Hong Gil Dong as an animation, another visual space. It is true that these phenomenons have many problems to drive the controversy of authenticity or preemptive rights, but it can be said that the nostalgia flowing into its basis shows a space enlargement logicality to enlarge the nostalgia to the world, especially East Asia through Jangseong and Gokseo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舟山群島 蝦峙島의 가족과 혼인에 대한 현장론적 연구

        이윤선(Yoon-Sun Lee)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7 島嶼文化 Vol.0 No.29

        이 글은 하치도의 가족과 혼인문화에 대해서 현지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현장론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조사한 12가구 중 8가구의 가계도를 꼼꼼하게 조사하여 제시하였고, 이들이 입도하게 된 배경을 입도담은 물론 설화론적 배경까지 고찰해보았다. 사자바위라는 지명설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인데, 이것이 주로 영파지방에서 이주해 온 입도역사와 일치한다는 점을 입도담과 현지 구술자료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것은 조상들의 입도에 대한 정 당성을 확보하는 문화적 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지명설화의 담론화라는 장치를 통해 정주의 명분 혹은 이주의 명분을 유지시키거나 획득해가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8가구 제보자의 구술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이들 대부분이 민며느리제와 데릴사위제, 그리고 양자 제도를 통해 가족이 구성된다고 하는 사실이었다. 이것은 4촌간의 근친혼을 통해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근친혼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도 큰 무리 없이 수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4촌간의 근친혼에 대한 긍정적 담론을 형성시켜, 이 혼인제도에 대한 보호장치로 기능하는 것이고, 이 보호장치는 다시 하치도라는 사회를 유지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 혼인 현장을 조사하면서 얻은 정보도 중국 현지의 혼인제도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현장론적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의는 작지 않다고 생각한다. 특히 의례절차의 순위나 순서에 따른 사회제도와의 연관성 즉, 사회의 위계서열이나 분배의 방식 까지도 연결시켜 논의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혼인사례만을 가지고 해석하기에는 오히려 환원주의나 독단에 빠질 위험이 높아, 본고에서 시도하지는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어쨌든 이것은 하치도의 전통적인 선원들의 짓나눔인 경각제 등의 사회 시스템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하치도의 가족구성과 혼인현장의 조사를 통해서 필자가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중국 가족제도를 고찰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단서를 확보했다는 점, 그리고 사회제도로서의 짓나눔에 대한 연구 단서를 확보했다는 점 등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도서문화연구의 전개와 문화콘텐츠시대의 지향

        이윤선(Yoon-Sun Lee)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7 島嶼文化 Vol.0 No.29

        본고는 1983년부터 현재까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를 통해 발행된 『島嶼文化』의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그 전개과정 및 흐름을 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이를 위해 『島嶼文化』의 연구경향을 각각의 접근 방향성에 근거하여 3기의 간기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1983년의 창간호부터 이어져 온 조사연구에 대한 총체적 점검이 1990년 제7집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까닭에 대체로 이 시기까지를 『島嶼文化』연구가 발아되고 전개된 〈발아기〉의 이름으로 부를 수 있다고 봤다. 이 시기의 연구는 토대 연구적 경향이 농후하던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발아기의 토대연구를 이어받아 의미 찾기를 시도하던 성장기가 또 한 번의 갈무리되는 시점을 맞이하는데, 이것은 1998년 12월에 열린 제12회 심포지움이라고 보았다. ‘섬문화자원의 활용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를 통해 그간의 토대연구와 분석 혹은 방법론 모색이라는 연구경향에서 섬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로 문제의식이 옮겨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논의를 통해 『島嶼文化』는 다음 간기인 도약기로 접어들면서 ‘문화론적 활성화’라는 화두에 집중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1999년 중점연구소 진입을 거쳐 2000년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는 것으로 보았다. 도약기의 가장 큰 특징은 도서문화에 대한 활용 담론들이 크게 강화되기 시작하면서, 문화론적 활성화에 대한 논고와 해외연구 논고들이 확장되었다는 점이라고 하겠다. 세 번의 간기는 공교롭게도 8년을 주기로 새로운 연구경향을 보여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개 서남해 도서 중심에서 동아시아 범주로 연구지역이 확대되어 나간 경향을 볼 수 있었으며, 연구 주제 또한 토대연구를 중심으로 한 기초학문연구 경향에서 분석과 활용, 연구방법론에 대한 천착, 나아가 문화콘텐츠시대의 글로별한 대응력을 강화해나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島嶼文化』의 도도한 연구경향의 이면에 흐르고 있는 신해양시대와 글로벌시대, 그리고 문화콘텐츠의 시대라는 맥락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반증해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4번째 간기를 시작한다고 말할 수 있는 2007년은, 거점연구소로의 진입 및 도서문화전문대학원 가시화 등 굵직한 변화들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도약기라는 전망을 부여 해 보았다.

      • KCI등재

        2차원 전열해석을 통한 천장거치형 흡음 패널의 설계 조건에 따른 TABS의 방열 특성 평가

        이윤선(Lee, Yoon-Sun),임재한(Lim, Jae-Han),정웅준(Chung, Woong-June)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8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2 No.2

        Low temperature heating and high temperature cooling systems have proven to be an energy efficient solution for conditioning building. Thermally activated building system (TABS) has become established as innovative systems for radiant heating and cooling system, and utilizes the building structure to store the thermal energy, reduce the peak loads and decrease primary energy demand in buildings. However, room acoustic performance should be of concern for the use of TABS. For this, free hanging acoustic panels (FHAP) were generally designed to reduce the overall sound intensity and reverberation tim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 of FHAP on cool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ABS through two dimensional heat transfer simulation. In results, the coverage ratio up to 50% of the ceiling area by using horizontal FHAP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ol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the vertical FHAP does not affect the cooling capacity from the ceiling at all.

      • KCI등재

        남도문화 기반의 전남문화산업 현황과 발전전망

        이윤선(Lee Yoon-sun)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1

        본고는 전남지역의 문화자원에 대한 문화산업화 전략을 민속학 기반으로 다룬 글이다. 전남의 지역문화산업은 남도문화와 남도예술을 어떻게 콘텐츠화해 문화산업으로 견인해내느냐에 달려있다고 본다. 현재의 전남 문화산업 혹은 문화콘텐츠산업은 관광 인프라 산업과 멀티미디어 및 디지털콘텐츠산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고 보고, 이 두 가지 방향에서 현재적 상황과 의미를 점검하였다. 전남의 문화유산을 무형자원과 유형자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대체적으로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하는 전남권의 디지털복합공간은 공연문화를 포함한 문화공간이라는 보다 큰 틀 위에서 논의되고 전개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나아가 문화예술 공연 등의 광의의 문화산업 지표만큼 멀티미디어 및 디지털 문화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고, 디지털 인프라만큼 공연예술 등의 인프라도 구축해야 한다고 논거 하였다. 즉, 전남의 디지털콘텐츠산업은 철저하게 지역과 연관된 곧, 지연(地緣)산업이라는 구도 속에서 진행하는 것이 그 성공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공연축제 등의 문화예술과 멀티 및 디지털 콘텐츠분야가 동반 성장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모델이라는 점을 주장한 셈이다. 이를 논거하기 위한 민속학적 방법론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홍어삼합론’을 제기하였다. 여기에 세 가지의 남도 문화원형이 퓨전화되어 있는 바, 첫째는 ‘갱번’을, 둘째는 ‘권’을, 셋째는 ‘시나위’를 들었다. 이 원형들은 전적으로 남도문화적 자산이고, 용어 또한 남도문화권에서 사용되거나 발생한 것들이다. 이 세 가지를 가장 원형적인 남도문화원형으로 꼽은 이유는, 남도문화가 자리한 장소가 있고, 그것을 연행하거나 향유한 사람들이 있으며, 그것이 문화예술로 승화된 원리 혹은 철학이 있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즉, 바다(서남해)와 강(영산강, 섬진강)을 그 토대로 하고 있는 남도문화의 특수성과, 문화예술을 연행하는 사람들과 그것을 향유하는 남도미학으로서의 철학, 그리고 그 문화들을 갈무리하고 융합해내는 문화공학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세 가지의 남도문화원형은 〈토대+문화+공학〉이라는 삼위일체형 클러스터 속에서 순환되고 있고, 이를 통해서 문화자원이 탄생한다고 보았다. 결국, 전남의 문화산업은 장르별, 콘텐츠별로 독립적으로 수행하기보다는 패키지형태를 띠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결론을 내렸는데, 이 세 가지의 문화원형이 유기적으로 컨버전스 되고 혹은 퓨전 되는 문화공학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공연예술+멀티 및 디지털라이징(DB, 아카이빙을 포함하여)+장소 브랜딩(남도관광)등의 패키지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논거 하였다. This study treats the strategy about cultural resources of Jeonnam area based on folklore. The local culture industry of Jeonnam seems to be depended on how the southern culture and the southern arts are drawn into culture industry. This study supposes to divide the culture industry of Jeonnam or culture-contents industry into two parts; one is 'Tourist Infrastructure Industry' and the other is 'Multi-media and Digital-contents Industry'. The study then figures out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meaning with these two directions. The study presents the cultural heritage of Jeonnam as intangible resource and tangible resource. The study considers that a Digital Complex Space' of Jeonnam area is needed to discuss and develop on more larger frame as a cultural space which includes 'Performance Arts' of culture. Futhermore, the study argues that we must construct an infrastructure of multi-media and digital culture industry as well as the directing post of culture industry(for example; performance of cultural arts) in a broad sense, and also that we must construct the infrastructure of performance arts as well as the digital infrastructure. In other words, Digital-contents Industry' of Jeonnam will be processed in the sense of a 'Regionalism Industry' totally related with region, and to do so is to make it most successful. This means that it is the best model for cultural arts like a performance festival and multi and digital-contents field to make a joint growth. As a folklore method for arguing this, the study proposes the theory of Hong-eo-sam-hap(three-ply of thornback) which can show a regional identification. In this theory, there are three fused southern culture-archetypes; one is 'Gang-beon' (a sandy beach), another is 'Gwin' (a cuteness), and the last is 'Si-na-wi' (a par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 is performed improvisationally by a musical ensemble and traditionally accompanies the rite of Korean shamanism). These archetypes are entirely southern-cultural assets and also the terms are generated or used in the area of southern culture. The reasons why the three factors are chosen as the most archetypical southern culture are three as follows; first, this is where southern culture is located, second, there are people who perform or enjoy the culture, and finally, the culture has a principle or philosophy to be sublimated in cultural arts. Namely, this is because it is focused on a 'Cultural Technology' which can intermix with the distinctiveness of southern culture that is based on sea(southwestern sea) and rivers(You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the people who perform Cultural Arts, and the philosophy and culture as southern aesthetics. Three culture-archetypes of Jeonnam circulate in the 'Cluster of Trinity type' so-called "Foundation + Culture + Technology", and by this, 'Cultural Resources' is created. Ultimately, the study makes a conclusion that the culture industry of Jeonnam is more resonable to make a package form than to be operat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a genre or contents, and then the archetypes can be realized by the culture technology that convert or fuse themselves organically. This study shows it by many cases that we should aim at a package like "Performance Arts + Multi and Digitalization included database and archiving+Trademarking on places(Tourist to souther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