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술대회특집 : 법학자 함병춘의 대미관과 현실적용

        이완범 ( Wan Bom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硏究 Vol.24 No.2

        10년 여 교직에서 연마한 학문을 공직사회에서 10여 년 간 쏟아 부었던 함병춘 교수는 학문을 연마해 이를 청와대 비서실과 주미한국대사관 등에서 현실에 적용한 학자 출신 공직자의 훌륭한 전범(典範)이며 知行合一의 실용주의적 유교지식인의 전형이었다. 함병춘 교수는 자신의 학문을 개인의 행복의 위해서보다는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헌신했다. 그가 헌신했던 시대는 비록 유신시대와 신군부시대였으며 독재 권력에 저항하는 길을 택하지 않고 현실에 참여했지만 그가 미국 등 국제무대에서 수호했던 국가이익은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취의 밑거름이 되었다. 함병춘의 국제정치 사상은 한국의 지정학적으로 위치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바탕으로 우방 미국에 대해 상대적인 자율성을 추구하면서 민족의 자존과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것이었다. 이질적이고 대립적인 사상인 친미주의와 자주사상은 그와 같은 융통성 있는 그릇을 만나 ‘친미적 자주’로 지양되었다. 실용주의적 국제정치 사상이 실천을 염두에 두고 이론을 연마했던 선비정신과 만나 함병춘 사상으로 승화되었다고 할 것이다. 공허한 이론이나 천박한 현실론 사이에서 양분법과 극단론을 조정하면서 이론과 현실을 조화시킨 참 실천가였던 것이다. Pyong Choon Hahm cultivated himself as a law professor in more than 10 years and applied in the public service for over 10 years. He devoted himself as a staff member in Korean presidential office(Blue House) and a Korean Ambassador in Washington DC. He was a typical of the pragmatic Confucian intellectuals who applied their theories to the real world. It is called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知行合一). Jurist Professor Pyong Choon Hahm dedicated to the nation, rather than his own happiness. Although he took up a public office under the Park Chung-hee``s authoritarian regime and Chun Doo-hwans neo-Military rule, he did defend the national interest,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a brilliant achieve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of Jurist Pyong Choon Hahm was based on the geopolitical posi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to purse a relative autonomy for the United States to seek allies and the nation``s self-respect. He was trying to maximize profits as a Korean Ambassador in America. Within pragmatic practice of international thought, his paradoxical theory between a pro-America and self-reliant from America was polished. While adjusting extremism, he tried to harmonize and sublate dichotomy between theory and reality, and he became one of true practitioners. Pyong Choon Hahm is an autonomous pro-American, so his spirit of the scholar is sublime and unique.

      • KCI등재

        섬진강과 임진강에 서식하는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Perciformes, Centropomidae)집단의 성 성숙 및 섭식특징

        이완옥 ( Wan Ok Lee ),백재민 ( Jae Min Baek ),이종하 ( Jong Ha Lee ),김경환 ( Kyeong Hwan Kim ),김치홍 ( Chi Hong Kim ),윤승운 ( Seung Woo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1

        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임진강과 섬진강에서 쏘가리의 산란 생태를 조사하였다. 산란에 참여하는 쏘가리 개체군의 체장과 생식소성숙도지수(GSI)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암컷은 체장 200㎜이상의 개체에서 성적으로 성숙하였고, 수컷은 체장 180㎜이상이 성숙되었다. 섬진강산 암컷의 GSI는 4월에 가장 높은 값인 7.43%를 나타냈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여 5월에 5.55%, 6월에 3.58%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8월에 급격히 감소하고, 9월에 연중 최저치인 0.44%로 낮아졌다. 임진강산 암컷은 섬진강산 암컷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임진강산 수컷의 GSI 값은 암컷보다 높아서 4월 5.96%, 5월에는 8.03%까지 높아졌고, 6월 초부터 낮아졌으며, 6월말에 2.12%이었고, 9월에 0.2% 이하로 가장 낮게 나타난 후 점차 상승하여 10월에 0.54%이었다. 암컷의 생식소를 조직학적 관찰한 결과 섬진강과 임진강 집단에서 모두 GSI의 변화는 비슷하게 발달하였다. 쏘가리 위 내용물 중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섬진강과 임진강에서 각각 92.0%, 90.0%로 나타나 쏘가리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쏘가리 위 내용물 중 소화가 많이 진행되어 종의 동정이 불가능한 어류의 비율이 각각 50.0%, 72.2%로 높게 나타났다. 쏘가리의 조사기간 중에 섭식율은 섬진강이 36개체로 38.3%, 임진강이 53개체로 21.8%로 매우 낮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in Seomjin River and Imjin River from April to October 2008. After hav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 length (SL) and Gonadosomatic index (GSI) of Siniperca scherzeri, we can conclude that the body length of maturation was over 200㎜SL in case of females and over 180㎜SL in males. The GSI of the females that were from Seomjin river was the highest in April (7.43%),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May (5.55%) and June (3.58%). The GSI was decreased sharply in August and indicated the lowest value in September (0.44%). The GSI of the females that were from Imjin river showed similar tendency of females`` GSI from Seomjin river. The GSI of males from Imjin river was tota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s, it was 5.96% in April, and 8.03% in May. It was lowered in early June, and late June, it indicated 2.12%. In September, it was the lowest value (0.20%), and increased after October (0.54%). The result of histological study of ovary presented similar result of the study of GSI in Seomjin river and Imjin river. The ratio that fishes constitute in stomach contents of Siniperca scherzeri was 92% in Seomjin river and 90% in Imjin river. Digestion of food organisms and the ratio of unidentifiable fishes in stomach contents was fairly high, and it was 50% in Seomjin river and 72.2% in Imjin river. In the period of study, eating ratio was very low 38.3% (36 ind.) in Seomjin river and 21.8 (53 ind.) in Imjin river.

      • 6·25전쟁의 성격과 개전 책임문제

        이완범(Lee Wan-bom) 북한연구소 2009 북한학보 Vol.34 No.1

        한반도에서 발생한 6·25전쟁을 두고 그동안 전통주의적 시각과 수정주의적 시각이 팽팽히 맞서왔다. 본 글에서는 그동안 6·25전쟁의 성격과 기원에 대한 전통주의와 수정주의, 그리고 외인론과 내인론으로 전개되어 왔던 과정을 살펴보겠다. 특히, 남북한의 6·25관련자료 이외에도 중국과 러시아 등 주변관련국들에서 자료공개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6·25전쟁의 성격과 기원을 설명해줄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현상이다. 분단 형성 국면에서는 외인이 상대적으로 주도적이었다는데 이론을 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전쟁 발발 국면에서 외인과 내인 어느 쪽이 더 주도적이었는지는 아직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 6·25전쟁은 내전이자 국제전이고, 국제전이자 내전이었다. 결론적으로‘국제적 성격이 우세한 복합형 분단’구조가‘국제적 성격이 우세한 복합전’을 발발하게 했으며 소련이 개입을 은폐하자 형식적으로는‘내쟁적 성격이 우세한 복합전’의 양상을 보였으나 미-중 참전으로‘국제적 성격이 우세한 복합전’으로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전화되었다. 현재까지 6·25전쟁의 성격은 복합전으로 보는 것이 우세하며 개전의 책임문제에 있어서도 남침에 의해 개전되었다는 사실도 여러 자료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ended in a draw with no victors and no vanquished. However, it was the most traumatic disaster in Korean history resulting in millions of people killed with the entire territory demolished. After the war there were no action of apology, pardon, reparation, and punishment of war criminals, but a lasting regret in every corner of the country. For many reasons the Korean war is still unfinished war. So many academic studies on the Korean War started in 1970s. The first, traditional explanation was prevailed. But in the 1980's the revisionist interpretation began to dominate a group of junior scholars. The debate between traditionalism and revisionism brought to emerge the post-revisional synthesis based on revisionism or traditionalism plus archive in the early 1990. The debate on revisionism and traditionalism was revitalized within academic circles through this post-revisional multi-archival method. But nowadays the Korean War's concept is more clear than ever. Because many data about the Korean War opened by pre-Sovet document and China. It told us exactly who is take arms ahead, how to prescribe the Korean Wa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Bluetooth 무선 통신과 전류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고전력 LED 등기구의 무선제어 시스템 개발

        이완범(Lee, Wan-Bu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은 LED 조명의 효율적인 관리와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IT 기술과 LED 조명을 결합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무선통신, 센서 기술 및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LED 등기구 상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LED 조명 제어 회로는 퍼지 정전류 제어 회로에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Bluetooth 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LED 방열판의 발열 온도 70℃를 기준으로 LED 등기구 공급 전류를 최적화하여 LED 손상 방지 및 수명을 연장하고 LED 등기구 주위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ON/OFF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Bluetooth 무선통신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을 개발하여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LED 등기구 상태 확인 및 디밍제어등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to combin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ED lights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energy savings. The system can monitor and control the status of an LED luminaire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sensor technology, and smart phones. An LED lighting control circuit was designed using a temperature sensor, illumination sensor, and Bluetooth module with a fuzzy constant-current control circuit. We extended the lifetime and prevented damage to the LED by optimizing the supply current of the LED luminaire based on the heat-generation temperature of 70℃ of an LED heat sink. We also automatically adjusted the ON/OFF time depending on the ambient illumination of the LED luminaire. By allowing easy control of the LED luminaires on a smartphone, we improved the efficiency and achieved energy savings. The control system was validated through experiments for normal operation.

      • KCI우수등재

        미국의 38선 획정 과정과 그 정치적 의도

        이완범(Wan-B?m Lee) 한국정치학회 1995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1

        이 논문은 38선의 획정 과정을 미국의 정치적의도 중심으로 재구성해 보려는 시도이다. 미국의 비밀해제 문서와 관련인사의 회고를 역사적으로 해석하여 ① 38선 획정을 주도한 고위 정책결정자와 직접 획정작업에 참여한 실무자는 누구인가를 밝히며, ② 그들이 한반도를 분할점령하려 했던 의도는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기존의 정설인 군사적 편의설과 준비부족론에 의하면 38선은 1945년 8월 11일 새벽 2시부터 3시 사이의 짧은 시간 내에 급작스럽게 군사적 편의에 따라 분스틸과 러스크라는 두 대령에 의하여 획정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정설을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서 정치적 의도설을 제시했다. 한반도 분할에 관한 상부의 정치적인 결단은 1945년 8월 10일 이루어졌으며, 분할 지시는 8월 11일 새벽에 실무진인 육군부 작전국 전략정 책단장 린컨 준장에게 즉각적으로 하달되었다. 정치적 안목이 뛰어났던 그는 일찍이 1945년 2월부터 일본항복의 문제를 고려했다. 그는 작전국 소속이면서 합동전쟁기획위원회 대표였고 포츠담회담에도 참여했기 때문에 1945년 7월 4분 안과 양분안ㆍ‘헐線’ 등의 구상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다. 린컨은 거의 모든 점령과 분할논의를 실무적으로 주도하였기 때문에 38선을 획정하기 전부터 다양한 분할선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38선에 대한 기존지식이 있었던 상태였다. 따라서 그는 이미 수개월 전부터 습득한 한반도에 대한 정치적ㆍ지리적 정보를 바탕으로 1945년 8월 11일 새벽 30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38선을 기안할 수 있었던 것이다. 린컨에 의하여 이미 거의 결정된 38선을 지도상에 실무적으로 그려 넣었던 그의 부하 본스틸과 러스크 두 대령이 선행 구상들을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두 대령이 사용했던 내쇼날 지오그래픽 지도 중에서 한반도와 38선이 병기된 것은 없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러스크와 본스틸이 이 지도를 통하여 38선을 구상했다는 증언이 의도된 위증이었음을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대령의 증언에 의존했던 군사적 편의설과 준비부족론은 수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38선 획정은 상당기간 동안 미국정부 내에서 구상 되었던 한반도 점령과 분할 논의의 완결이며 소련의 팽창을 견제한다는 정치적 의도가 개재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38선은 정치적 고려와 사전 준비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 KCI등재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개념 통합에 관한 연구

        이완형(Lee, Wan Hyung)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기업가 정신의 정의는 시대마다, 경제상황마다 그 개념을 다양하게 정의해왔다. 경영자 개인의 성향이나 특성, 기업가의 역할로부터 점차 기회창출, 자원활용, 기업전략, 특히 최근에는 창업, 벤처활용, 창업교육 등의 기본자질로 확대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으로 영역을 넓혀 사회와의 공생과 공유에 기업의 존재의미를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종교개혁의 핵심정신은 크게 두 가지 이다. 첫째, 오직 성경으로 돌아가는 성경본질의 존재추구에 있으며, 둘째, 종교개혁은 개인이전에 사회와 교회의 공동체성의 회복에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교개혁의 정신 두 가지를 오늘날 논의되는 기업가정신에 적용하여 재해석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된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를 종교개혁 정신의 두 가지 측면에 적용하였다. 첫째,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개념은 행동지향적 방법론적 차원보다는 기업의 본질적 존재면에서 사명과 연계되어야 하며, 둘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업은 사회와의 공생관계를 기업경영에 반영해야 하는 공동체성 추구라는 점에서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동일한 관점에서 그 개념이 통합되는 방향이어야 함을 개진하였다. Entrepreneurship has been defined in various terms depending on each era and circumstances its economy is faced with. The basic feature of the definition ‘entrepreneurship’ has expanded gradually from a manager"s role and personal preferences to a creation of an opportunity, use of resources, firm strategy, and recently even to an extend of an application of venture and start-up. Lately, the term extended to a social entrepreneurship where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and society is required. Two core spirit of the Reformation has been studied in this research. First, only pursue the existence of the Scripture and return to it. Second, Reformation was completed to recover a community between society and church.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new interpret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and adopts it into the two core spirit of the Reform in order to suggest a direction. First,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entrepreneurship must move away from an action oriented methodological level but connect its fundamental existence with chosen mission. Second, as companies are a member of a society where a symbiotic relationship should be reflected in its management values, a state has been made to emphasize that entrepreneurship and social entrepreneurship should have an equivalent point of view and integrate their concep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어학 : 독일어 명사의 복수혼용 유형 고찰

        이완호 ( Wan Ho Le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0 독일어문학 Vol.51 No.-

        Zur Bildung der Pluralnomen im Deutsehen werden verschiedene Endungen gebraucht. Die Haufigkeit des Plurals mit der Endung -e und -(e)n bei mannlichen, neutralen und weiblichen Substantiven ist relativ hoch. Es ist bemerkenswert, dass verschiedene Pluralformen in Worterbuchern, sogar innerhalb der Duden-Rechtschreibung(2006) und der Duden-Grammatik(2005), verzeichnet sind. Nicht schwer ist nachvollziehbar, dass Schwanken der Plurale in Fallen des personlichen Gebrauchs noch haufiger vorkommt. Die Untersuchung des Korpus vom Institut fur Deutsche Sprache uber den Gebrauch der Pluralnomen beweist eindeutig diese Erwartung. Das Schwanken der Pluralnomen lasst sich sowohi bei deutschen als auth bei fremden Substantiven finden, wobei die Endungen -n und -s in der Regel jeweils im Suden und Norden haufiger vorkommen. Zn bezeichnen ist, dass Schwanken bei griechisch- Iateinischen und englischen, franzosischen Substantiven jeweils durch die Konfrontation der ursprunglichen und deutschen Pluralendungen und durch dem deutschen System angepasste verschiedene Endungen auftritt. Neben dem Schwanken der Plurale spielen auch die Doppeipluralformen wie Antibiotik-a-s, Examin-a-s, Lexik-a-s, Periodik-a-s, Praktik-a-s, Vis-a-s, Graffit-i-s, Sol-i-s, Spaghett-i-s, Zucchin-i-s. Komma-ta-s, Schema-ta-s, Thema-ta-s usw. als Beispiele der falschen Verwendung in der didaktischen Ebene eine wichtige Rolle. Die Bedeutung des systematischen Trainings von richtiger Pluralnomen-Bildung darf keinesfalls ubersehen we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