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BAM을 활용한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 분석 : 진로교육 연수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승엽(Seungyeop Lee),이영광(Yeonggw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이 연구는 CBAM을 활용하여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를 분석하고,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8월 9일부터 2019년 8월 28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연수원에서 진행한 ‘진로교육 기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원역량 신장 연수’에 참여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 대해 긍정적 무관심자 유형에 해당했다. 초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에 비해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의 운영적 관심이 높았고, 진로교육 연수 참가 횟수가 높은 교사는 낮은 교사에 비해 결과적, 협동적, 강화적 관심이 높았으며,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실행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협동적, 강화적 관심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운영과 관련한 실천적 제언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 s stages of concern regarding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using the CBAM and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99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chool curriculum plan and management training based on career education conduct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Training Institute from August 9, 2019 to August 28,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were the types of nonuser that were positive to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higher management concern in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than middle school teachers, teachers with high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training had higher consequence, collaboration and reinforced concern than teachers with low particip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in implementing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had higher collaboration and reinforced concern than inexperience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practical suggestions related to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 동정맥루 혈관 모사 및 μ-PIV 기법을 이용한 유동장 및 전단응력 분석

        송륜근(Ryungeun Song),이준권(Jungwon Lee),영광(Yeonggwang Mun),박성민(Seongmin Park),최홍석(Hongseok Choi),이진기(Jinkee Lee)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11

        Radio-cephalic arteriovenous fistula (AVF) is the operation for achieving vascular access for hemodialysis. Even though it is very reliable and well known method, it still has a high rates of early failure depending on the vessel condition. The hemodynamic shear stress contributes these failures; the pathophysiology of vascular access failure due to thrombosis secondary to stenosis formation as well as vascular access reocclusion after percutaneous interventions. To understand this mechanism and predict the AVF failure, we fabricated in-vitro three dimensional radio-cephalic arteriovenous fistula via Poly(dimethylsiloxane) a.k.a. PDMS and 3D printing technology. The micro-particle image velocimetry (μ-PIV) considering the cardiac pulse cycle used to measure the velocity field within the artificial blood vessel and confirmed by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vitro AVF model agrees well with the simulations. This research would give the future possibility to use to reduce the in-vivo AVF failure for various conditions for each patient.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모형 개발

        정철영(Chyul-young Jyung),정진철(Jinchul Jeong),서우석(Wooseok Seo),이현민(Hyunmin Lee),이승엽(Seung-yeop Lee),이영광(Yeonggwang Lee),양인준(Injun Ya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및 고교학점제 관련 문헌분석을 실시하였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모형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총 2차시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모형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는 고등학교의 진로교육 관련 부서의 장으로서 학교 진로교육 기획, 운영 및 관리를 총괄하는 업무로 정의한다. 둘째,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는 진로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진로지도 및 상담, 교원 및 학부모대상 진로교육 등 총 4개의 영역과 12개의 업무로 구성된다. 셋째,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가 수행하는 12개의 업무는 크게 7개의 주관업무와 5개의 협력업무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도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유형 별 진로전담교사 배치 시 학생 수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교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고교학점제 관련 연수가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고교학점제 시행 학교의 우수사례 발굴을 통해 진로연계 학업설계 및 지도상담 내용의 공유가 필요하다. 넷째, 이 연구에서 도출한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을 대상으로 교육요구도 분석이 진행되어야 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job model for high school career teach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literature review of high school career teacher and a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performed, along with a need assessment about high school career teacher and teacher who is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ddition, a draft of job model for high school teachers was made through an expert council, and delphi method with a total of 10 professional group was operated to draw up a final plan for job model for high school career teachers by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head of the department related to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 the duty of a high school career teacher shall be defined to oversee the planning, oper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here are 4 duties and 12 tasks consisting high school career teacher job model. Third, the 12 tasks performed by high school career teachers are divided into 7 subjective tasks and five cooperative task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assigning career teachers by type of school,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number of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making teachers doing professional. Third, it is required to share the contents of career-related academic design and counseling guidance by discovering outstanding cas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urth, it should be conducted to have a research on an analysis of education needs based on the tasks of high school career teachers derived from this study.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진로체험기관 인증지표 개발

        정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이현민(Hyunmin Lee),정성지(Seongji Jeong),이영광(Yeonggw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자유학년제・연계학기 확대와 관련하여 다양한 진로체험처가 참여하는 풍토에서 안전과 질이 보장된 진로탐색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의 인증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진로체험기 관 인증제 지표 개발을 위해 델파이와 AHP를 실시하였으며, 델파이는 진로교육 연구자 3인, 진로전담교사 3인,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 3인 등 총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1월 8일~12월 28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체험기 관 인증지표를 개발하고 각 항목별로 배점을 확정하였다. 두 차례의 델파이를 통하여 지표는 크게 ‘1. 체험기관’, ‘2. 프로그램’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1. 체험기관’의 경우, ‘가. 체험기관 역량’, ‘나. 체험환경 관리’, ‘다. 체험기관 특별기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2. 프로그램’의 경우, ‘가. 프로그램 기획’, ‘나. 프로그램 운영’,‘다. 프로그램 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the career experience agencies’ accredit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of safe and qualified learning environment with more career experience agencies engaged. Delphi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questions. Each of three researchers, career specialist teachers and staffs from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 participated as expert pane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8th Nov and 28th Dec in total. In result,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were developed and the mark distribution for each category was confirmed.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consists of ‘1). career experience agencies’ and ‘2) programs.’ In case of ‘1)career experience agencies’,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career experience agency capacity’ and ‘b. career experience environment management and ’c. special criteria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In case of ‘2) programs’, the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program planning , ‘b. program operation . ‘c. program evaluatio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