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당건릉(唐乾陵)과 명효릉(明孝陵)의 건축문화(建筑文化)의 특색(特色)과 한국왕릉(韓國王陵)의 연계양상(連繫樣相)

        이영관 ( Young Kwan Lee ),박근수 ( Keun Soo Park ),진애니 ( Ai Ni Che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지금까지 중국에서 능묘문화에 대한 연구는 능묘자원의 개발보호와 건축적인 성과에 집중되었다. 반면 능묘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당건릉(唐乾陵)과 명효릉(明孝陵)은 중국 왕릉을 대표하는 상징물로서 각각 두 왕조 황릉의 특징을 함축시켜 놓았다. 본 연구는 두 왕릉의 건축특색인 지상건축과 지하건축, 문화의미인 전통생사관(傳統生死觀)과 등급관(等級觀) 및 풍수사상(風水思想)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황릉의 구조와 내포된 문화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한국왕릉과의 연계양상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당건릉과 명효릉은 모두 산에서 능묘를 짓는 제도를 택하였다. 두 황릉의 지상 건물은 모두 헌전(獻殿)과 침전(寢殿)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당건릉의 침궁건물은 헌전과 침전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명효릉은 침전을 헌전 앞에 세워 `앞에서 배알(拜謁)하고 뒤에서 거주(居住)하는` 제도를 채택함으로써 헌전의 역할을 부각시켰다. 당건릉은 하궁(下宮)이란 건물을 지었지만 명효릉은 하궁건물을 짓지 않고 능묘본체의 건물(上宮建築物)을 확장하였다. 이것은 명나라 시대에 접어들어 배알하여 제사지내는 예법 등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통치자들이 왕권을 공고히 하는 수단으로 활용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당건릉과 명효릉은 모두 신도(神道)를 중심으로 하여 남과 북 양쪽으로 건축물들을 배치하였다. 역대 능묘들은 당건릉의 신도를 많이 모방하였다. 명효릉의 신도는 기존 신도의 모양과 많이 달리 구불구불하여 지세에 맞게 북두칠성(北斗七星)의 능묘패턴을 만들었다. 그리고 당건릉과 명효릉 모두 부부합장묘(夫婦合葬墓)이며 산허리에서 묘실을 파서 만들었지만 두 황릉의 지궁을 모두 발굴하지 못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차이를 단언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도 중국의 능묘건축은 전통적인 생사관(生死觀)과 등급관(等級觀)의 영향을 받아 건축되었기 때문에 두 황릉 모두 황제의 생전 거주환경을 모방하여 설계되었으며, 천원지방(天圓地方)인 우주관을 수용하였다. 전통적으로 한(漢)나라 때부터 황실 봉분은 대부분 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었지만 명효릉은 천원지방의 사상을 도입하여 앞부분은 원형모형이고 뒷부분은 사각형의 형태를 띄고 있을 뿐 아니라 봉분 모양도 원형으로 바뀌었다. 또한 풍수지리적인 차원에서도 두 황릉 모두 풍수보지(風水寶地)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의 왕릉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 능묘문화와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풍수지리사상의 영향을 받아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형에 왕릉을 배치하면서 자연환경과 조화롭게 왕릉을 만들었다. 그러나 한국의 왕릉은 중국능묘와 달리 신도(神道)를 빼고 선왕의 혼령이 다니는 신도보다 한층 더 높은 어도(御道)란 길도 있다. 아직까지는 중국과 한국의 능묘에 대한 비교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본 연구의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신라와 당(唐)나라시대, 조선과 명청(明淸)시대의 왕릉을 심도있게 비교분석할 필요가 보인다. Studies of Chinese imperial tombs` culture have been focused on development, preservation, and architectural achievement. Comparative studies of imperial tombs, however have been rare. Studies of Chinese imperial tombs` culture in Korea have been done mainly on Emperor Qin Shi Huang`s tomb. Tang Qianling and Ming Xiaoling in China are the symbols representing Chinese imperial tombs show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dynasty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hinese imperial tombs` structure and its cultural meaning by comparatively analyzing two different imperial tomb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s on ground and beneath ground, and its cultural meaning of traditional philosophy of life and deat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both Tang Qianling and Ming Xiaoling were built on mountains. Both imperial tombs have palaces for homage ceremony and residence.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the building locations between two imperial tombs implying that different philosophical emphasis was applied by the dynasty. Architectures in both Tang Qianling and Ming Xiaoling are located both sides of south and north centering around the Sacred Path. Chinese architecture of the imperial tomb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life and death, and of classes was designed after the model of the emperor`s living years` residential atmosphere. Some implications of cultural meanings of imperial tombs` structure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한ㆍ일 합작기업 도레이새한의 M&A 성공사례 분석

        이영관(Young-Kwan Lee) 한국생산관리학회 2009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0 No.3

        국내기업들은 외환위기 이후 사업 구조조정과 향후 기업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활발하게 인수합병(M&A,Mergers& Acquisitions)을 추진하고 있으나 그다지 큰 성공은 거두지 못 하였다고 한다.그 이유는 M&A 계약 체결 후 물리적으로 통합이 되어도 재무적 적합성과 전략적 적합성을 제고하고 인적ㆍ조직적 통합이 이루어져만 시너지 효과를 통한 우수한 경영성과를 낼 수 있지만 한국기업들은 그렇게 적합성을 제고하거나 통합하지 못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도레이새한의 M&A 성과는 대단히 괄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2006년도의 경상이익률이 7.7%,영업이익율이 6.7%,인당 부가가치생산성이 196백만원으로 나타나고 있다.이는 다른 외국인 투자기업이나 국내기업의 경영성과보다 훨씬 우수한 성과이다.뿐만 아니라 합작기업 출범 당시인 1999년과 비교하여도 매출과 이익은 2배 증가,부채배율은 79% 감소하였고,사업구조도 저부가치사업에서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기업위상도 국내 최고기업에서 글로벌 일류기업을 지향하는 회사로 변모하고 있어 M&A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성공적인 M&A를 이루어낸 도레이새한이 M&A 이후 재무적 건전성과 전략적 적합성을 확보한 방법을 분석하였다.또한 인수합병 후 통합(PMI,post-mergerintegration)과정에서 인적ㆍ조직적 이질적 요소를 극복하고 문 화적으로 통합하는 방법도 분석하였다.분석결과를 활용하여 M&A를 시도하는 다른 기업들에게 유익한 경영학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Since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Korean firms have tried to engage in M&A (MergersandAcquisitions)to restructure and grow their businesses and enhance competitiveness,buthave achieved limited success in these ventures. This is because Korean firms haven'timproved fits and haven't been well integrated.The success of M&A depends not on physical integration buton financial fit,strategic fit,and human and organizational integration. Toray Saehan,which is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paper,has been very successful since its M&A.For example,in 2006 itsordinary profit ratio was 7.7%,percentage operating profit was 6.7%,and value added per person was 196 million won.These results are more successful than foreign invested firms or domestic firms.Compared with the financial results of 1999,when the M&A was completed,sales and profithave doubled and debtto equity ratio has decreased by 79%. Moreover,since the M&A,its business structure has developed from low value added items to high value added items,and the company has grown from being a top domestic company to a top global company.These results confirm Toray Saehan’s status as a successful example of M&A. This paper analyzes the approaches used by Toray Saehans to acquire financial and strategic fit after its M&A. It also analyzes its cultural integration approaches to overcome heterogeneous factors in the organization after the post-merger integration phase.Using the analytical results,the paper attempts to suggest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firms attempting to embarkon M&A.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