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전 유치원 교육

        이시자(Lee, Si-Ja)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3 인천학연구 Vol.2 No.2

        This paper examined how the incipient perio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 how it was introduced and what was taught. With this as a backdrop, it further investigated the regional case of Incheon which was one of the open ports for foreigners. The research was made by analysing the related documents and materials. The childhood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s historic significance in terms of national education although it was introduced by the Japanese and spread by the missionaries from western countries. Kindergartens inspired national identity for young Koreans by teaching Korean folk songs and folk tales when the Korean language was not allowed to be used or taught in the higher level of school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arly Korean kindergartens adopted Froebel's intuitionism and empiricism which implanted such a progressive view that sough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s whole m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ncheon during the colonial era was also introduced by missionary activities. To our regret, we couldn't find any kindergarten which was established by Koreans. Nevertheless, it is notable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began to be offered by qualified teachers using relevant teaching materials, with the active support form the local community making Incheon as one of pionee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ow, the Metropolitan city of Incheon is now aiming to take yet another leap forward into the world. This poses a paralleling challenge for the education community of Incheon, early childhood education not being an exception. The lesson we can draw form this study is that the zeal for better education has been, and should be, the driving force of our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성별, 기질,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

        이시자 ( Si Ja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그들의 내적 변인인 성별과 기질 그리고 사회 심리적 변인인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우선 대상 유아가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성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유아들은 비난과 공격 상황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존심 상함의 상황에서 가장 낮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 정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대상 유아 가운데 기질의 각 하위영역별로 그 특성을 강하게 보이는 상위집단과 약하게 보이는 하위집단을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아-어머니 간 기질조화적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활발적 기질과 적응적 기질 특성의 유아가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활발한 기질의 경우 활발적 특성을 강하게 보이는 경우가 약한 경우보다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유아-어머니 간 기질조화적합성 측정값도 높게(부조화) 나타났다. 반면, 적응적 기질 특성을 강하게 보이는 경우는 약한 경우보다 그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규칙적 기질과 관련하여서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 모두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끝으로,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 측정값이 높은 집단(부조화)과 낮은 집단(조화) 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조사한 결과는 기질 조화적합성 측정값이 높은 경우(부조화 집단) 일상적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of child`s temperament and child-mother goodness of fit (match or mismatch) in temperament in terms of their effects upon a child`s experiences of daily stress by analyzing data from survey responses from 174 pairs of 5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rough analysis of the results regarding the general tendency of daily stress experienced by all the children, we found that the children experienced most stress when they were in situations in which they were blamed and/or attacked and they experienced the least stress in self esteem damaging situat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gender were found. Using the temperament laid out by Windle and Lerner(1986), our findings reveal that when the children in high tempered group and the children in low tempered group in the three sub-categories of temperament(active, adaptive and regulative temperament) were compared in terms of daily stress and child-mother goodness of fi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 and adaptive temperament. To be more specific, the children in high tempered group with active temperament revealed higher daily stress and lower child-mother goodness of fit than the children in low tempere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in high tempered group with adaptive temperament showed lower daily stress than the children in low tempered group while w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mother goodness of fit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regulative tempera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either in daily stress or child-mother goodness of fit. Finally, it turned out that the children with low level of child-mother goodness of fit experienced higher daily stress than the children with high level of child-mother goodness of fit.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책 읽어주기와 유아의 초기 문해 능력 발달

        이시자 ( Si Ja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Reading aloud to young children, especially in the home, had been unquestioned as good practice for many years until the publication of long term study by Scarborough and Dobrich (1994) and Meyer et al.(1994) raised questions on the ubiquitous effectiveness of read aloud sessions in schools and in the home. Much research ensued on questions of if, when, how and why reading aloud sessions are effective. This study rigorously examines that research and presents the following generalizations. Reading-alouds, as reading aloud sessions are often called, are a micro-ecological environment in which adults, children and imaginations are combined. They are a scaffolding that promotes extensive linguistic interactions, providing children with experiences of deep reading comprehension and meaning formulation. However, this rich environment is not always realized in all reading-alouds and the research is clear on what factors need to be present for success. Interaction between adult and child is a prime factor and the quality and kind of interaction are paramount.. Adults need to be sensitive to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needs, interests, motivations and capabilities as they interact. Research findings also make clear that the quality and the genre of the picture book are factors that affect picture book reading-alouds. Research in these two factors recommends such programs that link households with regional communities so that children in unfavorable literacy home environments can experience positive picture book reading-alouds. In order to improve picture book reading-alouds in the classroom, it is also recommended that sufficient information on read-aloud practices be provided and the tools to assess teacher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be developed. 본고는 Scarborough와 Dobrich(1994) 그리고 Meyer와 그의 동료들(1994)이 그림책 읽어주기 효과성에 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이후에 행해진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의 문해 발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그림책 읽어주기는 ‘그림책, 성인, 유아의 상상력’이 어우러진 미시적 생태환경이며 풍부한 언어적 상호작용이 행해지는 비계설정의 장(場)으로 ‘읽기’를 위한 독해와 의미구성의 경험들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런 문해 발달적 의미가 모든 그림책 읽어주기 상황에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분석된 자료들은 그림책 읽어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성인과 유아 간 상호작용이며, 특히 유아의 관심과 동기에 민감하고 지원적인 성인이 유아의 읽기 수준에 적합한 상호작용을 행하였을 시 문해 능력이 가장 효과적으로 촉진된다고 보고한다. 또한 그림책의 질과 장르도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된다. 끝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과 관련하여 열악한 문해 환경에 있는 유아들이 그림책 읽어주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가정과 지역사회의 연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또한 교실에서의 그림책 읽어주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안에서의 그림책 읽어주기 실제에 관한 충분한 정보 제공과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진단해 볼 수 있는 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영유아 그림책 읽기" 관련 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시자 ( Si Ja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영유아의 그림책읽기 관련 연구들의 경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97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발표 된 총 135편의 논문에 대해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관련 논문 135편이 26개 학술지에 소개되었으며 2008년을 기점으로 그 편수가 증가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행해졌다. 둘째, 연구 주제를 7개 범주로 구분하여 확인한 결과로는 성인의 읽기지도 전략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나고, 그림책 매개활동의 효과, 성인과의 상호작용, 유아의 읽기 행위, 그림책 내용 분석, 유아 반응, 그리고 그림책 유형 관련 순서로 그림책 유형에 관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방법에 있어 만 5세 대상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부모와 만 3세 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행해졌다. 연구 유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이는 주로 실험연구로 검사를 통한 결과에 대해 차이 검증이 행해졌다. 반면 질적연구 방법으로 주로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이차적으로 면담이 행해졌다.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유아요인, 성인요인, 그림책요인, 그리고 그림책 매개 활동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그 내용을 분석 종합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picture book reading for young children in Korea. It analyzed the artic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major Korean academic journals since 1997 focusing on the research topic, method and outcome. First of all, a total of 135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in 26 academic journals during this period and, in particular, the year 2008 was pivotal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and diversification of such research. Secondly, with regard to the research topics, the majority of articles involved adult strategies for reading guidance, followed by the effectiveness of picture book-centered activities, adult interaction, children’s reading behaviors, content analysis of materials, children’s responses to the medium, and the type of picture books. Thirdly,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ology, the most frequent research targets were five year olds, parents, and children below three. In terms of the types of research published, quant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popular, primarily through employing experiment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outcomes. In contrast, qualitative studies most frequently resorted to observation, while interviews were also implemented for ancillary support. There search outcomes were explained in accordance with four factors: the children, adults, picture books, and picture book centered activities.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s 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우수등재

        아동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또래 선호와 우정관계에 관한 연구

        이시자(Si Ja Lee) 한국아동학회 2000 아동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metric status(1) of a target child and the target child`s most preferred peer, and (2) of the quality of their friendship between the two peers. Each of the subjects (238 boys, 6, 8, and 10 years of age) nominated 3 preferred peers answered questions about the preferred peers with the use of the Friendship Quality Scal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ometric status of children aged 8 and 10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at of their most preferred peers. Reciprocal friendships, however,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among children in high sociometric status compared with those in low sociometric status. The quality of friendships among popular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rejected children. The quality of friendships between popular and rejected children was lower than friendship between rejected and rejected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인지 양식에 따른 마음이론 습득과 자아개념 형성

        이시자 ( Si Ja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장 독립과 장 의존 인지양식, 마음이론 획득 그리고 자아개념 형성간의 관계를 확인한 후, 장 독립적 인지 양식과 장 의존적 인지 양식의 경향성을 강하게 지닌 두 집단 유아 간의 마음이론 획득과 자아개념 형성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조사하였다. 우선 전체 대상아의 인지양식과 마음이론 획득 및 자아개념 형성 간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는 유아의 인지양식과 자아개념 형성 간의 의미 있는 정적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지양식과 마음이론 획득 간 그리고 마음이론 획득과 자아개념 형성 간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인지양식 측정 결과를 토대로 장 독립과 장 의존 인지 양식의 두 집단을 선별하여 두 집단 간 유아들의 마음이론 획득과 자아개념 형성 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는 장 독립적 집단의 유아가 장 의존적 집단의 유아보다 마음이론 획득과 자아개념 형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로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Theory of Mind (Tom) and the formation of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ir field independent vs. field dependent cognitive styles. Subjects, 132 four-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hree preschools located in Incheon City, were administered the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 (PEFT), three standard ToM Tasks, and the Self Description Questionnaire-I (Q-I). From this sample, two groups, each with 40 children,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PEFT scores: group A, a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group and group B, a field- independent cognitive style group.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s and a t-test.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When the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ions between PEFT, ToM, and Q-I was made for the entire sample of children, a positive outcome was found only between PEFT와 Q-I. However, when it was narrowed down to the 80 children in the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cognitive styl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ToM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styles. The independent cognitive style group B obtained higher scores on ToM Tasks than did the dependent cognitive style group A. On the Self Description Questionnaire-I, children in the B group obtain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group A. In particular, group B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he sub categories of cognitive self-concept and social self-concept.

      • KCI등재

        실천공동체를 통한 초임기 공립유치원교사의 수업전문성 성장기-이야기나누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미경 ( Lee Mi Gyeong ),이시자 ( Lee Si J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에게 가장 어려운 수업으로 인식되는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발전시켜 가는 과정을 실천공동체 활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천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교사들은 교육경력 3년 이하의 공립유치원 초임기 교사 4명이었으며, 실천공동체 모임은 4개월에 걸쳐 10회 진행되었다. 초임기 교사들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대한 사전 경험과 실천공동체를 통해 실천하고 변화를 시도한 경험은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초임기 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대해 수업계획안, 누리과정 지도서, 수업 자료에 대한 선입견과 함께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대한 확신 부족, 마무리 단계의 어려움, 유아 반응의 불일치 등의 어려움도 호소하였다. 초임기 교사들은 실천공동체를 통해 선배교사의 수업, 동료의 수업, 자신의 수업 동영상을 시청하고 논의하였으며, 논의한 내용을 자신의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하여 결과적으로,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였으며, 교사주도 수업에서 유아중심 수업으로 변화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develop teaching specialties by making use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particularly with focus on circle time,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classes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included four beginning teachers with the career of less than three years at public kindergartens, followed by ten session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meeting, two sessions of teaching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four months. The prior circle time experiences and changes for better teaching behavior needed in circle time of the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Following the analysis results, the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had such preconceptions that the teaching plans, that the guide of `Nuri curriculum` and that the good teaching materials while they had a feeling of helplessness that the lack of confidence about circle time, that the difficulties of the final steps in circle time and tha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eachers` expectation and students` responses. The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observed and discussed about senior teachers` classes`, peer teachers` classes` and their own classes` video clips repeated the pro ess of applying the discussion to their classes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the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continued to attempt on making changes of circle time and in conclusion they recovered a confidence in teaching and their classes have changed into a child-centered teaching.

      • KCI등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이미경 ( Mi Gyeong Lee ),이시자 ( Si Ja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좋은 수업을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583명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유아의 궁금증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을 우선적 좋은 수업의 요소로 답하였으며, 유아교사는 학급 상황 에 맞게 재구성된 수업 내용도 우선적인 좋은 수업의 요소로 답하였다. 수업 방법에 있어서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유아의 흥미를 자극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수업, 그 다음으로 유아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교사가 지원자 역할을 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수업의 환경적 측면에 서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물리적 환경보다 심리적 환경 요소를 강조하였는데 유아교사는 유아와 교사 간 신뢰하는 민주적 분위기를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와 교사가 몰입하는 분위기를 우선적으로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좋은 수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 두 지식 중심의 내용 구성, 교수 자료 부족, 학급 정원 과다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좋은 수업을 위한 요구로 유아교사는 활동 중심 지도서 보급, 교수자료 보급 그리고 행정업무 경감을 요구한 반면 예비유아교사는 수업 컨설팅, 교수자료 확보, 학급당 정원 조정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 good teaching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he questionnair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ed by Lee(2013) was modified fit in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istributed to 450 teachers and 350 pre-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The analysis of the 583 collected questionaries revealed the following. Both th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substantial factor of good teaching such contents that stimulate questions and curiosities of young children. Regarding teaching method, both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as good teaching that utilizes the strategies to induce children’s interest followed by the class where children participate actively and teachers play the supporting roles. In ter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both th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psychological factors above physical ones but, as the key factors of good teaching, teachers identified the democratic atmosphere whereas pre-service teachers replied the atmosphere in which teachers and children are absorbed. On the other hand, as one of the factors that hinder the good teaching, th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like identified contents focused knowledge,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over populated classrooms and so on. Finally, for the factors that are demanded for a good teaching, teachers replied activity centered teaching guide, supply of teaching resources, and reducing administrative work load while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consulting for teaching,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and reduction of classroom siz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