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pirations for the Pure Land Embodied in a Modern Korean Temple, Anyang’am

        이승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Acta Koreana Vol.22 No.1

        A binary model of patronage has often guided previous studies on modern Korean Buddhist paintings from the metropolitan area around present-day Seoul. This model sharply contrasts works sponsored by the royal court at the end of Chosŏn with those commissioned by abbots of prominent templ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this model, formal features of paintings are aligned with social status and the political stance of patrons; court-sponsored works are considered as displaying conventional style and iconography, while those sponsored by abbots who collaborated with Japanese colonialists show new painting techniques and iconographic motifs. Yet the complex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its visual culture complicates any attempts to address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art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from a monolithic and linear perspective. The Buddhist art and architecture of Anyang’am, founded in 1889 by a devout layman who later became fully ordained, provide a case study for rethinking this binary model of art and patronage. My investigation reveals that the Buddhist art and architecture of the temple, dating from the 1890s to 1910s, show stylistic, iconographic, and spatial affinities with those sponsored in the region by the court a few decades earlier. I argue that the patron emulated royal sponsorship to promote the newly founded temple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This study challenges the presumed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aronage, while arguing that differences of painting styles and iconographic motifs are modulated by far more diverse factors rooted in the changing 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들의 사회적스타일 유형에 따른 도서관 이용특성 연구

        이승혜,한정원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8 No.3

        The role of the academic library is changing due to various social factor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ing needs of library users for efficient use of spaces.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user analysis in the academic library,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specific use of spaces by users’ social styles. Social Style Model was developed to study human behaviors using the specific patterns in social activities. With the scale of assertiveness and responsiveness, four kinds of social styles are defined; analytical style, driving style, expressive style, and amiable style. For this research, firstl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ing trend of the academic libraries, user characteristics, and Social Style Model. Secondly, spatial composition of the subject library was studied,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formed with the references of previous studies. Thirdly, questionnaire survey was executed on library user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basic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in SPSS 25.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pace use pattern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social styles. Analytical style showed a high rate of use in private study area and preferred quiet and open atmosphere to focus on learning. Driving style used group study area frequently and show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rate. Expressive style showed high rate of use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Commons, and preferred open atmosphere. Amiable style used group study area frequently and satisfied with the Learning Commons. This could be us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pace planning in academic libraries, and to construct guidelines for applying user characteristics and spatial preferences in library design.

      • KCI등재

        하이브리드 메타휴리스틱 기법을 사용한 트러스 위상 최적화

        이승혜,이재홍,Lee, Seunghye,Lee, Jaehong 한국공간구조학회 2021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21 No.2

        This paper describes an adaptive hybrid evolutionary firefly algorithm for a topology optimization of truss structures. The truss topology optimization problems begins with a ground structure which is composed of all possible nodes and members. The optimization process aims to find the optimum layout of the truss members. The hybrid metaheuristics are then used to minimize the objective functions subjected to static or dynamic constraints. Several numerical examples are examined for the validity of the present method. The performanc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metaheuristic algorithms.

      • KCI등재

        미디어 노출이 IPO 기업의 투자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벤처캐피탈 지분과 외국인 지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승혜,최환석,김양민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3

        Media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as an information provider and expert monitor but also as a propagator of legitimacy, thereby influencing various corporate-level outcomes. The market for Initial Public Offerings (IPO), in particular, has been fertile territory for this line of research due to huge information asymmetry among investors in this market.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inconclusive results about the effects of media coverage on IPO performance, and relativel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media in the Korean IPO market. To fill this void, we analyze the effects of media coverage on investor valuation and further examine if venture capital and foreign investor ownership could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IPO media coverage and investor valuation. We test these hypotheses by using 226 Korean IPO firms from 2011 to 2016. Our results show that (1) pre-IPO media coverage is positively related to investor valuation on the day of the IPO, and (2)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e-IPO media coverage and investor valuation is more pronounced when a pre-IPO firm has higher foreign investor ownership. However, we did not find moderating effects of venture capital own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study. 기업 경영 활동에 있어서 미디어는 전문 감시자 역할 뿐 아니라, 정당성 부여 역할을 행사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기업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신규 상장 시장은 상장 주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투자자들과 일반 투자자 간의 정보 비대칭이 큰 편이라 미디어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 상장 시장에서 미디어가 IPO 성과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선행 연구들은 엇갈린 결론을 내놓고 있으며, 국내 신규 상장 시장에서 미디어의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신규 상장 시장에서 미디어 보도량이 IPO 직후의 투자자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주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IPO 기업에 대해 벤처캐피탈과 외국인 투자자가 갖는 제3의 보증 효과를 살펴보았다. 즉, IPO 전 미디어 보도량과 IPO 직후 투자자 평가 간 관계는 벤처캐피탈 지분율과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신규 상장한 기업 226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IPO 전 미디어 보도량은 IPO 직후 투자자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IPO 전 미디어 보도량과 IPO 직후 투자자 평가 간 긍정적인 관계가 더욱 강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벤처캐피탈 지분율은 이 두 주요 변수 간에 아무런 조절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불교 조상사적(造像史的) 맥락에서 본 복장(腹藏)

        이승혜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8

        Rituals of consecrating Buddhist image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cross Buddhist Asia. Enshrining a Buddha’s relic inside a Buddhist image is the oldest and widespread method among diverse means to consecrate Buddhist images. In Korean Buddhism, a complex consecration ritual known as bokjang or bulbokjang was devised and continues to be performed to date. Currently, the bokjang ritual begins with a rite of demarcating the ritual arena, proceeds with a rite of constructing altars of the five directions, and then continues with a rite of empowering more than one hundred items to be inserted inside a statue. The empowered items are first installed inside five treasure bottles made of cloth and then installed inside a throat-bell container. Each ritual step is accompanied with ritual masters’ recitation of mantras, making of mudras, and contemplation. The bokjang ritual concludes with installation of the empowered objects and offerings inside a Buddhist statue and it is usually followed by a rite of eye-dotting. Previous studies reveal that the formation of the bokjang ritual traces back to the 12th or 13th century during the Goryeo dynasty. However, there are divergent views on the scriptural basis or doctrinal background of the bokjang ritual. This paper traces the unfolding of consecration rituals across Buddhist Asia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place of the bokjang ritual within a larger context of Buddhist thought and ritual traditions. My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bokjang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middle and late phase esoteric Buddhist texts, while incorporating more traditional methods of enshrining a relic inside an image. 불교문화권에서는 인간이 만든 상(像)을 여법한 예경의 대상으로 변모시키기 위한신성화 의례가 각 지역의 문화적 토양과 결합하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됐다. 그중상 안에 사리(舍利)를 봉안하는 것은 역사가 가장 길며, 지역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행해졌던 방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상 내에 사리를 봉안하는 것과 차별되는 복장(腹藏) 혹은 불복장(佛腹藏)이란 복합적인 작법이 지금까지 이어진다. 현행 복장의례는 결계(結 界)로 시작되어 오방단(五方壇)의 건립, 100여 가지에 이르는 물목의 가지로 이어진다. 이들 물목은 직물로 만든 오보병(五寶甁) 내부에 안립(安立)된 후 후령통(喉鈴筒)에 최종적으로 안립된다. 각 의례 단계에는 아사리의 진언 염송, 결인, 관상 즉 삼밀가지(三密加持)가 수반된다. 복장은 완성된 후령통 및 여러 시주 물목을 상의 내부에 안립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며, 이후 점안(點眼)으로 이어져 전반적인 과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복장의 원형이 늦어도 고려 중기에는 성립됐으며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까지 이어졌다는 데는이견이 없다. 그러나 그 근거가 되는 소의경전이 무엇이며, 어떠한 불교 사상사적 흐름에서 지금과 같은 형태의 복장이 형성됐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이 글에서는 불교 조상사(造像史)의 흐름 속에서 복장의 형성 문제를 재고해봤다. 이를 통해 복장은 신사리와 법사리의 봉안으로 대표되는 보다 전통적인 상의 신성화 방식과 중기와후기밀교 경전에 담긴 사상과 형식이 복합적으로 결합돼 형성된 작법임을 밝혔다.

      • KCI우수등재

        高麗의 吳越板 『寶篋印經』 수용과 의미

        이승혜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3 No.-

        The Chongjisa edition of the Baoqieyin Dhāraṇī Sūtra 寶篋印陀羅尼經 (Kr. Bohyeobin gyeong), published in 1007, has received considerable scholarly attention as the oldest extant woodblock printed scripture with a frontispiece. The textual and material features of the Chongjisa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have been the subject of many previous studies. Scholars have also pointed out that the Chongjisa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bears close affinities with the three Wuyue editions of the same text, each published in the year 956, 965, and 975 under the patronage of Qian Hongchu. Qian Hongchu 錢弘俶 (r. 947-978) was the last king of Wuyue 吳越 (907-978), a kingdom that prospered in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of China during the political chaos of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However, little scholar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act that the frontispiece of the Chongjisa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is closest to the first Wuyue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in terms of visual composition and iconographical motifs. What do these visual affinities between the Chongjisa and the first Wuyue edition indicate in light of the circulation and reception of the Baoqieyin Dhāraṇī Sūtra in East Asia? The primary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of all, I examine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the three Wuyue editions of the dhāraṇī sūtra against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landscape of 10th century China and beyond. Secondly, I delve into the issue of Goryeo court’s reception of Wuyue court’s diplomatic gifts, namely the first Wuyue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d. 956) and the bronze miniature stūpa, by taking the political realities of the two countries' courts into consideration. To this end, I first closely compare the frontispieces of the three Wuyue and Chongjisa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and then proceed to analyze relevant textual and archaeological evidence in their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analysis, I showcase that only the first Wuyue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was transmitted to Goryeo, and was served as a model for the patron and carver of the Chongjisa edition. The Chongjisa edition of the dhāraṇī sūtra is, I argue, a historical product of an East Asia of the 10th-11th centuries characterized foremost by multi-state proliferation. 1007년에 개성 총지사에서 간행된 『보협인경(寶篋印經)』은 변상도가 있는 현존 최고의 목판인쇄경전으로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총지사본의 형태와 서지학적 특징, 인쇄사적 의의가 밝혀졌다. 또한 총지사판 『보협인경』과 오대십국시대 중국의 강남지역에서 번성했던 오월(吳越, 907-978)의 마지막 왕 전홍숙(錢弘俶, 재위 947-978)이 956년, 965년, 975년 세 차례에 걸쳐 간행했던 『보협인경』과의 밀접한 관련성도 익히 지적됐다. 반면 1007년에 간행된 총지사본 변상도의 도상이 3종의 오월본 중 956년에 간행된 판본과 유사하다는 점은 간과됐다. 그렇다면 동아시아에서 『보협인경』의 유통과 수용이란 문제에 있어서 양자 간의 유사성이 의미하는 바는 과연 무엇일까?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로, 오월판 『보협인경』의 간행과 유통을 10세기 동아시아라는 역사적 상황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둘째로, 고려의 오월판 『보협인경』 수용을 경전의 공여자인 오월의 입장과 수용자인 고려 조정의 입장을 고려하여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3종의 오월본과 총지사본 변상도를 종합적으로 비교하겠다. 나아가 현재까지 알려진 문헌사료와 고고학적으로 발견된 유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956년에 간행된 오월본만이 고려에 전래되어 수용됐을 가능성을 논증하고, 그 원인을 오월을 둘러싼 10세기 중국의 역사적 상황과 당시 고려의 내부적 상황에서 찾아보겠다. 마지막으로 총지사판 『보협인경』이 다원적 천하관으로 대표되는 10-11세기의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반영한 역사적 산물임을 밝혀 보겠다.

      • KCI등재

        농소고분(農所古墳) 다라니관(陀羅尼棺)과 고려시대 파지옥(破地獄) 신앙

        이승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42 No.2

        Inscriptions of Buddhist mantras and dhāraṇīs were put into Chinese tombs on behalf of the deceased from the Tang dynasty onward as the fear of postmortem judgment and punishment at ten courts of hell was firmly established. Such notion of the afterlife and the practice of putting dhāraṇī inscriptions in tombs seem to have been received by Korean Buddhist by the beginning of Goryeo (918‒1392).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use of dhāraṇīs on the funerary objects and structures during the Goryeo period through a close examination of a wooden coffin excavated in 2014 from a tomb located in Nongso‒myeon, Ullim‒ri, Sunchang‒gun, North Jeolla Province. The coffin bears inscriptions of the “Six‒Syllable Mantra of the Luminous King” (Oṃ maṇi padme hūṃ) and the “Mantra for Shattering Hell” (Oṃ karadeya svāhā) on its lacquered exterior walls. While defining the dhāraṇī coffin from Nongso Tomb as one form of funerary dhāraṇīs, this paper situates it in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such practice by comparing it with the Liao precedents. The dhāraṇī coffins from the Goryeo and Liao tombs attest that the Buddhist of the time practiced mantras and dhāraṇīs promising salvation of the deceased from hell during their lifetime and beyond. The dhāraṇī coffin from the Nongso Tomb further shows that the Goryeo Buddhist opted for the “Mantra for Shattering Hell” (Oṃ karadeya svāhā) that is seldom attested in the Liao funerary context. It proposes that the mantra may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s part of the food bestowal ritual and incorporated into funerary context. 불교가 사회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쳤던 고려시대에는 화장 이외의 불교적 요소도 상장례에 수용됐기 때문에 주목을 요한다. 이 논문은 2014년에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운림리 농소고분(農所古墳)에서 발굴된 목관의 검토를 통해 고려시대에 수용된 불교적 내세관과 다라니 신앙의 양상을 살펴봤다. 외면에 옻칠을 한 이 목관 위에는 범자(梵字)로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과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이 가득 서사돼 있어서 출토 직후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농소고분 출토 다라니관을 중국에서는 당대에 출현한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한 변형이라고 보고, 요대 묘장 다라니의 흐름과의 연결선상에서 살펴봤다. 요와 고려의 분묘에서 발견되는 다라니관(陀羅尼棺)은 당시 사람들이 지옥의 고통을 해소해준다고 약속하는 많은 진언 다라니를 생전에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 자신의 몸을 눕힐 분묘 속에도 활용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고려후기 목관에 서사된 파지옥진언의 계통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고려, 조선시대에 수용된 파지옥진언이 당과 요대에 유행했던 지거여래파지옥진언과는 다른 계통이었다는 점을 밝히고, 우리나라에서 선호됐던 파지옥진언은 시식의례와의 관련선상에서 전해졌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그간의 연구에서는 명확하게 논의되지 못 했던 한국 파지옥진언 신앙의 수용과 양상의 일면을 논구하고, 고려시대의 장의미술에 반영된 불교적 내세관과 묘장 다라니의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데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텐세그리티 구조물의 형상탐색 기법 비교

        이승혜,이재홍,Lee, Seunghye,Lee, Jaeho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7 No.4

        텐세그리티 구조물은 인장력을 받는 연속된 케이블 안에 압축력을 받는 스트럿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텐세그리티 구조물은 자기 응력 상태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핀 접합 구조물에 속한다. 텐세그리티 구조물 설계의 핵심은 평형 배열상태를 구하는 일명 형상탐색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의 효과적인 텐세그리티 구조물의 형상탐색 기법을 제안하였다. 형상탐색과정을 수행하면 평형상태의 내력 밀도와 그에 대응하는 위상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평형상태를 형성하는 적절한 내력밀도 값을 얻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결합한 내력밀도법이 사용되었다. 수치해석 예제를 통해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A tensegrity structure consists of a set of continuous cables in tension and a set of discontinuous struts in compression. The tensegrity structure can be classified into self-stressed and pre-stressed pin-jointed structure. A key step in the design of tensegrity structures is the determination of their equilibrium configuration, known as form-finding. In this paper, three effective methods are presented for form-finding of tensegrity structures. After performing form-finding process, a set of force density and corresponding topology results can be obtained. Then the force density method combined with a genetic algorithm is adopted to uniquely define a single integral feasible set of force densities.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that demonstrate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algorith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