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aptismal Controversy Between Anabaptists and City Reformers in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Reformed Tradition in Theology

        LEE Seung-Gap(이승갑)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16세기 종교개혁 초기 발생한 재세례파와 츠빙글리를 비롯한 시(市)개혁가들 사이의 세례 논쟁을 고찰함으로써 초기 개혁가들 사이의 일련의 세례논쟁이 스위스에서 출발한 개혁교회와 신학전통의 발전 과정에서 가지는 의의를 집중 조명하는 것이다. 종교개혁은 또한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전례(典禮)상의 혁명의 시기였다. 영적, 도덕적, 사회적 갱신 측면들에서 하나의 급진적 운동으로서 재세례파 그룹은 근대를 여는 사회/경제적, 정치적 사상의 발전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전통에 대립하는 개신교 신학사상의 발전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재세례파 지도자들이 동시대의 시(市)개혁가들을 도전하여 급진적 목소리들에 대항해 자신들의 입장들을 변호하기 위해 신학적 견해들과 해석들을 구체적이고 발전적으로 진술하게 했다는 맥락에서 그렇다. 사실상, “좌파” 또는 “급진주의자들”이라 불리지만, 재세례파 또한 자신들이 교회의 본질과 실제적 형태를 담고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서, 즉 신약성서가 보여주는 사도적 형식 위에 근본적으로 참된 교회를 세우고자 했다. 따라서 종교개혁 초기 개혁교회 전통의 뿌리를 내렸다고 볼 수 있는 시(市)개혁가들이 세례 문제와 관련 재세례파와 가진 논쟁들과 갈등들은 종교개혁의 예전 개혁의 과정에서 촉발된 신학적 이슈들을 성서와 고대교회 신학의 전통에서 바라보게 했으며, 한 걸음 나아가 츠빙글리와 불링거 등 개혁신학 전통의 기초자들에게 신학적으로 핵심이 되는 사항들이 무엇인가를 해석해 내는데 필요한 통찰들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독자들은 종교개혁 초기 개혁가들이 전례상의 개혁의 문제로 충돌했다는 사실과 그 과정에서 확립된 종교개혁의 원리들에 대한 개혁전통의 해석상의 특징적 측면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먼저 재세례파와 취리히 개혁가들 사이의 세례논쟁들의 전개를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후 브마이어와 츠빙글리의 글들을 중점적으로 사용하여 세례논쟁들의 신학적 이슈들을 조명한 후, 끝으로 개혁신학의 정체성의 발전에 있어서 그들 세례 논쟁들이 가진 의의를 성서해석의 방법, 구원론에 있어서 인간이해, 교회와 국가의 관계 등 주제들로 나눠 숙고함으로써 ‘오직 성서’(sola Scriptura), ‘오직 은총’(sola Gratia), ‘그리스도의 몸/기독교 국가’(corpus Christianum) 등 종교개혁의 핵심원리들에 대한 시(市)개혁가들의 특징적 접근들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baptismal controversies between the first Anabaptists and the major city reformers such as Ulrich Zwingli in the early phase of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and to explicate the significance that those conflicts impli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of Reformed Theology. The Reformation opened an era of the most remarkable liturgical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As a radical movement, including all the aspects of spiritual, moral, and social renewal, the Anabaptism group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thoughts, challenging the age of modern Europe, and, especially, as a religious movement, to the development of certain characteristic thoughts of Protestantism, in the sense that they challenged other mainline/magisterial reformers to concentrate their energies on articulating their own views and interpretations in the process of defending their developing positions against the radical voices. In fact, even though they have been called “leftists” of “radicals,” it was true that the Anabaptists tried to establish a radically “true church” upon the apostolic pattern shown in the New Testament as they realized the essence and the actual form of the Church. Accordingly, the controversial struggles that the early Reformed reformers had with the Anabaptists on baptism are to provide crucial resources and insights so that we can discern the essence of the theological issues erupted in the process of the Reformation liturgical reforms and the application of the leading principles such as sola Scriptura, sola Gratia, and corpus Christianum, affirming the sovereignty of God in salvation and the corporate character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Reformed Tradition in theology. The content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first, to tra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arly debates on infant baptism between the Anabaptists and the Zurich Reformers, to clarify the theological issues of the baptismal debates through using the conflicting writings of Hubmaier and Zwingli, and finally to reflect upon the controversies’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Reformed Tradition.

      • KCI등재

        「신앙과 직제」(Faith & Order), 그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의 역사와 미래 전망

        이승갑(Seung Gap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6 No.-

        As the Korean churches attempt a successful preparation for the 10th WCC Assembly in Pusan, South Korea (2013), it is very significant to make clear the identity, history, and future of the Faith and Order movement as a continuing theological dialogue. While Life and Work has focused on doing together, the identifying work of Faith and Order has been focused on discussing together. So to speak, the identity of Faith and Order is a continuing theological dialogue. While its outward developments have seen a departure from a comparative ecclesiology, and participations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nd Roman Catholic Church regarded as a new phenomenon, significant inner transitions of the Faith and Order movement as a unceasing theological conversation have focused on the unity of church, BEM, confession of the apostolic faith, and Koinonia. And its present and continuing boundary issues have been ecclesiology, baptism, hermeneutics, ethnic identity, national identity, and search for unity, and worship. Also, possible prospects show that the future tasks of Faith and Order should focus on these issues: first, Faith and Order should be a theological work, opening its boundaries and adapting itself to its surrounding cultures; the unity of church should be the center of the activity, related to human life itself; a common interpretation of the Christian faith should be sought; the concept koinonia should be a common tool for searching for Christian unity; ecclesiology is from beginning to end a central subject of ecumenical conversations; finally the subject pneumatology should be considered as a key for handling present issues. The future of our small cosmos depends upon one reconciled world, one united Christianity. The future of Christianity depends upon a sound ecumenism. And the future of ecumenism depends upon the works of a new, renewed Faith and Order as a continuing theological dialogue.

      • KCI등재
      • KCI등재

        Anticlericalism as a Context for Renewal of Worship in the Early 16th Century German Reformation

        이승갑(Seung Gap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4 No.-

        16세기 종교개혁은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혁명적인 예배 갱신의 시기였다. 이미 대중 가운데 들끓던 종교적 변화에 대한 요구들은 가시적이고 직접 적인 행동들로 발전했고, 제도화된 형식들뿐만 아니라 예배의 낡은 도구들을 도전하고 붕괴시켰다. 이때 대중 속에 종교적 열정들을 불러일으키는 데 중요 한 역할을 하면서 예배 갱신 운동에 크게 기여한 것이 반(反) 성직주의이다. 반 성직주의는 종교개혁이 진행되는 동안 교회를 개혁하는 자극제로서, 또한 대 중의 종교적 저항을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한 마디로, 종교개혁 의 성공은 전통적인 체제를 급속히 포기하려는 사람들의 열망을 기반으로 가능했던 것이다. 종교개혁 시대의 예배 갱신을 연구함에 있어서 사람들의 종교적 경건 (piety)의 변화들을 관찰하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인데, 왜냐하면 예전 개혁의 문 제는 단지 예전상의 제도와 형식의 문제가 아니라 예배는 신학과 함께 연결되기 때문이다. 즉, 성직체계 일반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과 공격 배후에 어떤 신학적 관념들이나 확신들이 있었는지 질문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러한 신학적 주장들은 대중의 경건의 새로운 흐름들에 어떻게 관계하는지 질문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질문들에 개혁자 루터와 뮌처의 사상에 나타난 반성직주의의 발전을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대답할 수 있다. 간략하게 말해서, 루터와 뮌처는 성직체계에 대한 그들의 공격들에서 아주 다른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서로 다른 형태의 반성직주의를 지원했다. 즉, 루터가 비교적 온건한 반성직 주의를 대표했다면, 뮌처는 급진적인 또는 혁명적인 형태를 대표했다. 그리고 루터의 반성직주의가 오직 믿음으로, 오직 성서로, 만인제사장직 등과 같은 복음적 확신들에 기초했다면, 뮌처는 그의 반성직주의 진술들을 반(反) 지성 주의적 주장들, 신비적 경건, 그리고 묵시적 비전들과 연결시켰다. 결국 이러 한 경건의 갱신에 나타난 차이들은 종교개혁후 개신교 종파들의 예배에 있어 서 다양한 개혁의 흐름들을 가져오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