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 투자를 위한 주요 요인 분석:패션브랜드 기업 관점

        이소현,나미정,윤상혁 한국IT서비스학회 2024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3 No.2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metaverse has emerged as a transformative model across various sectors, offer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where activities mirroring the real world occur. This study delves into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fashion brand companies’ investments in the metaverse, an evolved concept from Virtual Reality (VR) that extends beyond gaming to include real-life activities through avatars. This study highlights the surge in virtual fashion engagements, as evidenced by increased avatar updates and purchases of digital fashion items on platforms like Roblox. Luxury brands are steadily entering the metaverse indicating a new revenue stream within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employs a mixed-methods approach, integrating text mining and interviews to identify key factors for fashion companies considering metaverse investments. By proposing strateg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not only enriches academic discourse in fashion, e-commerce, and information systems but also serves as a guideline for fashion companies aiming to navigate the burgeoning digital market, contributing to the generation of new revenue streams in the fashion sector.

      • KCI등재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실시간 차량 검출을 이용하는 스마트 교통 관리 시스템

        이소현,강희수,송유진,이미정,배창석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교차로 상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함으로써 차량의 정체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교통 신호등을 제어하는 스마트 교통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크 게 3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차량 검출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을 구축하였다. 학습 모델 구축 단 계에서는 교차로에서 차량 검출 성능을 제고하기 위해 15,083 개의 실험 영상을 수집하고 이들 영상에 포함된 104,719 대의 차량에 대해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YOLO 기반 의 실시간 차량 검출 모델을 구축하였다. 차량 검출 성능을 유지하면서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USB 형태의 독립형 GPU 모듈을 사용하고 YOLO V3 Tiny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 로는 교차로에서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대수를 바탕으로 신호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교통 관리 시스 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 교차로에서 차량이 일부 겹쳐진 경우에도 약 95% 이상의 차량 검출 성능을 보였으며 동일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차량의 흐름이 제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a smart traffic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small size embedded system. The proposed system can detect vehicles on a cross road in realtime, and adaptively control traffic light according to the traffic situ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3 stages. First, we construct a training mode based on deep learning for detecting vehicles. In training model construction stage, we collect 15,083 images for vehicle detection experiment. and construct a training dataset for 104,719 vehicle images in the collected images. Next, we implement a realtime vehicle detection model based on YOLO on a small embedded system. We employed YOLO V3 Tiny deep learning technology using a USB type independent GPU module. This GPU module supports realtime processing on a small size embedded system maintaining superior vehicle detection performance. In the last stage, we developed a noble smart traffic management system by adaptively control traffic light based on the number of vehicles waiting for the traffic light on a cross roa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system has about 95% vehicle detection performance even some parts of vehicles on a cross road are occluded. Further we can find the proposed system controls traffic flow effectively.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

        이소현,윤선아,안의정,허수연,나지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1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at experiences teacher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experiencing i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sinc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CSE teachers suppor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preschools implementing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ir needs for support accordingly.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ECSE teachers working in inclusive preschool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4 main-themes and 10 sub-themes were emerged. Main-themes were (1) revised Nuri Curriculum, the beginning of a change, (2) practice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3)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4) needs for support of ECSE teachers. The sub-themes were ‘child-centered curriculum’, ‘play-based curriculum’, ‘change in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teacher’s worries’, ‘teacher’s efforts’, ‘change of children’ ‘chang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romoting social integration’ ‘improving teacher competency’ and ‘nstitutional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role of ECSE teachers, and the needs for suppor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discussed. 「2019 개정 누리과정」시행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지원하는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경험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12명을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이에 따른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대주제는 (1) 개정 누리과정, 변화의 시작, (2)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 (3) 개정 누리과정의 성과, (4) 유아특수교사의 지원 요구이며, 하위주제는 ‘유아 중심 교육과정’, ‘놀이 중심교육과정’, ‘교사의 인식과 태도 변화’, ‘유아특수교사의 고민’, ‘유아특수교사의 노력’, ‘일반 유아의 변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변화’, ‘사회적 통합 증진’, ‘교사 역량 강화’, ‘제도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과 및 유아특수교사의 역할,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TV 속의 다문화가정 2세: 이산적 정체성의 포섭과 배제

        이소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9 No.1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foreign wives into Korean families given that the multicultural discourse focuses on the traditional unit of family and the idea of assimilation. However, it is quite a different story to includ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characterized by the visuality of Otherness within the definition of Korean citizen. Not only have the images of people of mixed-blood been almost negative and unchanged under the powerful notion of an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 but the centrality of patrilineal order to the multicultural discourse has also suppressed discussions on racial issues and diasporic identit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positioning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the discourse of Korean multiculturalism by looking at TV program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t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KBS <Love in Asia> 300th special program of “The Drea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e episode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Visit to Grandmother’s House” from JTV <Blooming Dandelion> and KBS <Oasis> feature on “Geon-Tae, the 1st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hares Hope.” Textual analysis focuses on the stereotyp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Other/lower-class, the inclusion and exclusion of diasporic identities, and the articulation of intersectional differences of race, class, gender, and ethnicity. The discussion on the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ituated on the site of discursive conflict between “Korean” and “mixed-blood,” testifies to the need for reexamination of the limits of Korean multiculturalism, and illustrates the fact that the issues of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constant changes and dynamic processes. 전지구화의 급물결 속에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사회로의 영입은 가족이라는 단위의 전통적 가치체계에 연결되면서 한국적 다문화 담론의 성공적인 안착을 이끌어냈지만, 이질적 시각성으로 구별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한국인의 범주 속에 통합시키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순혈주의적 민족주의의 지배 속에서 혼혈인에 대한 담론은 대부분 부정적이고 정체되어 있으며, 부계적 혈통주의의 고수라는현 다문화 담론의 지향성은 다문화가정 2세에 관한 논의에서 이산적 정체성의 발현을 저해하는 형국이다. 가족 단위 중심, 결혼이주여성 위주의 다문화 담론의 한계가 드러나는 시점에 다문화가정 2세를 향한 미디어의 관심은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문제는 다문화가정 2세의 관점과 경험을 얼마나 대변할 수 있는 지에 달려있다.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에관한 TV 교양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다문화 담론 속에 다문화가정 2세의 자리매김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사례로서 KBS <러브 人 아시아> 300회 특집, “다문화가정 2세의 꿈”, JTV <피우자 민들레> “다문화가정 자녀외갓집 방문 프로젝트”, 그리고 KBS <오아시스> “다문화청소년 1세대 건태의 희망대작전”을 분석하고 다문화가정 2세의 미디어 재현 양상을 살펴보려 한다. 텍스트 분석은 타자/하위주체로서 다문화가정의 전형화, 다문화가정 2세의 이산적 정체성의 포섭과 배제, 그리고 미디어 재현을 둘러싼 인종, 민족, 젠더, 계급 등 차이의교차성 및 접합의 양상에 초점을 두고 있다. “당당한 한국인”과 “혼혈인”이라는담론적 모순 속에 자리잡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재현에 관한 분석은 현 다문화 담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문화적 다양성의 개념을 실제적인 변화와 역동적인과정 속에서 재정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내연구 동향 및 발전 과제

        이소현,이수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2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에 대한 관심은 최근에 들어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출현율 상승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장애의 특성상 조기발견의 가능성 및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에 비해서 국내 연구는 그 양이나 질적인 측면에서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연구 현장에서 직면하고 있는 과제에 대하여 논의함으로써 앞으로 수행될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 동안 이루어진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으며, 그 결과 총 137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분석 대상 논문 중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중재를 실시하고 그 성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된 실험연구 57편에 대한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국내 연구의 양적 및 질적 동향과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향후 방향 및 발전 과제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of interest in research o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is may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prevalence being reported globally as well as the emphasis on possibilities of early detection and needs of early supports. However, compared to the research being conducted abroad, domestic research is still at an early stage in terms of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trends of research regarding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Korea, to discuss challenges faced by the field,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active and practical research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137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decade from 2001 to 2010 were analyzed. The overall research trends were recognized and an additional analysis was done with 57 target article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s and research outcom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related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부끄럽다’의 유의어 의미 변별의 기초 연구 및 지도방안 -‘부끄럽다, 창피하다, 쑥스럽다, 수줍다, 수치스럽다’를 중심으로-

        이소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1

        Lee, So-hyun. 2007. A Study on the Meaning of Synonym of ‘부끄럽다’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m. The Language and Culture 3-1: 121-142. This thesis aims to make clear the different meaning of five synonyms which are ‘부끄럽다(buggrubda), 창피하다(changpihada), 수줍다(sujubda), 쑥스럽다(sshukssrubda), 수치스럽다(suchisrubda).’ This study examines the sentences which the words ‘부끄럽다, 창피하다, 수줍다, 수치스럽다, 쑥스럽다.’ are used; that is, when and in which situation people use these words. ‘부끄럽다’ is widely us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tuations. ‘창피하다’ is mostly used in negative situations and expresses external shame. It is related to the thinking of others and negative behavior of a doer. Also ‘수치스럽다’ is used in negative situation but it expresses internal shame. It is related to the thinking of a doer and damage of one's personality, honor, and a social position. ‘수줍다’, ‘쑥스럽다’ are used in positive situations and they are related to the person’s attitude and behavior. ‘수줍다’ is used to reveal the person’s character and it needs durability(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쑥스럽다’ expresses the emotions of the moment. And it presupposes positive effects or results of a doer. But ‘수줍다’ is not. This thesis shows an effective order of those five words by stag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when teachers instruct those word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ant to know the differences of the words and use the words in proper situations. words and use words properly the situation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