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valuation of Embolization Effec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by Hepatic Arterial Flow Study with $^{99m}Tc$-MAA SPECT

        이병희,유형식,이종두,정진일,박창윤,이종태,Lee, Byung-Hee,Yoo, Hyung-Sik,Lee, Jong-Doo,Chung, Jin-Ill,Park, Chang-Yun,Lee, Jong-Tae The Korea Society of Nuclear Medicine 1994 핵의학 분자영상 Vol.28 No.1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density of the functional microcircul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with normal liv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patic-arterial oily chemoembolization (HAE) by radionuclide examination. Methods : Eight patients with HCC proven by biopsy in five, an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n three were included. The mixture of 2 cc normal saline with three to four mCi of $^{99m}Tc$-MAA was infused through a hepatic-arterial catheter for a minute. Dynamic images were obtained at a rate of 4 sec per frame for a minute, and static images and SPECT were followed. Results : In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hepatic arterial angiography (HAA) alone, radioactivity was markedly increased in tumors compared to the adjacent liver immediately after infusion of $^{99m}Tc$-MAA. The ratios of tumoral and extratumoral up-take (T/E ratio) were above 6.5 (range; $6.5{\sim}l9$, mean; 12.5). In four of the five patients who under-went superselective HAE, T/E ratio were remark-ably decreased ($0.5{\sim}1.3$). The areas of embolization were better delineated in radionuclide study than in postembolization HAA. In the other one who was considered to be embolized completely on HAA, strong radiouptake in the tumor was disclosed (T/E ratio; 7.0). Conclusions : Therefore hepatic-arterial flow study with radionuclide imaging using $^{99m}Tc$-MAA can be a valuable method to assess the accurate embolization effect in HCC. 본 저자들은 $^{99m}Tc$-MAA를 이용하여 정상 간조직에 대한 간암의 상대적인 미세 혈류량을 조사하고 간암 환자에서 간동맥 색전술을 시행 후 상대적인 혈류량의 변화를 검사함으로써 간동맥 색전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덟명의 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중 다섯 명은 조직 생검으로, 그리고 나머지 세 명은 임상적, 그리고 방사선학적으로 진단되었다. 3내지 4mCi의 $^{99m}Tc$-MAA를 2cc의 생리식염수에 혼합하여 간동맥내에 위치된 카테터(catheter)를 통하여 1분간에 걸쳐 서서히 주입한 후 바로 동적영상을 4초 간격으로 1분 동안 얻었으며, 이어서 정적 영상과 SPECT를 시행하였다. 간동맥 혈관 조영술만을 시행한 세명의 환자에서 $^{99m}Tc$-MAA를 주입하자마자 주변 간 조직에서 비해 간암내에 강한 방사능 섭취를 보였으며, 주변 간조직에 대한 간암의 방사능 섭취율은 6.5 이상이었고, 그 범위는 6.5에서 19였으며 평균은 12.5였다. 간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5명 중 4명에서 주변 간조직에 대한 간암의 방사능 섭취율이 심하게 감소하였다($0.5{\sim}1.3$). 또한 색전된 부위는 색전술 후 시행한 추적 간동맥 혈관 촬영상에서 보다 동위원소 검사에서 잘 관찰되었다. 간동맥혈관 촬영상에서 완전히 색전된 것으로 생각된 한 환자에서 동위원소 검사상 간암에 강한 방사능 섭취를 보였다(주변 간조직에 대한 간암의 방사능 섭취율 7.0). 따라서 본 저자들은 $^{99m}Tc$-MAA를 이용한 간 동맥 혈류 검사는 간암에서 색전술의 효과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약으로 관해가 유도된 극심한 설사의 궤양성대장염 환자 증례보고

        이병희,원지윤,이향숙,Lee, Byung-Hee,Won, Jiyoon,Lee, Hyangsook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21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9 No.3

        Ulcerative colitis (UC) is on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 with unknown etiopathogenesis. This case report details remission of UC induced by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A 31-year-old male patient diagnosed as UC after a series of examinations including endoscopy and fecal calprotectin (FC) test. He had severe bloody diarrhea over 10-20 times a day despite taking 5-aminosalicylic acid and steroid. He was given individualized Korean herbal medicine Dowha-tang according to pattern identification. After taking Dowha-tang for 7 months, clinical remission was achieved. The symptoms disappeared and FC level went down to normal level. No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This case report shows that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may have the potential for clinical remission of UC. Further investigation is warranted.

      • KCI등재

        高麗時期 不殺生과 不食肉

        이병희(Lee, Byung-hee)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5

        고려 사회는 불교의 영향을 크게 받아 不殺生과 不食肉이 생활문화로서 널리 자리하고 있었다. 승려들은 불살생과 불식육의 실천에 힘쓰는 한편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한 동물을 살려주는 放生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속인 가운데에도 불살생과 불식육을 적극 실천에 옮기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官人이 된 독실한 信佛者들은 살생을 피하기도 하고, 살생을 금하도록 건의하기도 했다. 국가 차원에서도 살생을 금하고 식육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好佛의 군주가 왕위에 있을 때 그런 조치를 여러 차례 취했다. 동물을 죽음에서 구해주거나 고통을 해소해주는 경우, 報應이 따른다는 관념이 널리 유포되어 있었다. 반면 동물에게 고통을 안겨준 경우에는 되갚음이 있다는 관념도 있었다. 이 때문에 살생에 종사하는 이들은 마음의 부담을 지고 있던 것 같다. 불살생과 불식육이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주로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 살생에 종사했다. 楊水尺, 禾尺과 豚市의 상인이 그러했다. 無賴之徒와 惡小로 불리는 이 가운데 우마의 도축에 종사한 자, 또 鷹坊 소속으로 우의 도축에 종사한 이들도 낮은 신분 출신이었다. 국가의 제례나 각종 연회에서 육류가 소비되고, 개인의 식생활에서도 동물성 단백질이 필요했으므로, 살생과 식육은 불가피했다. 그렇지만 불살생과 불식육이 강조되고 있었기 때문에 가축의 도축과 야생 동물의 사냥은 어느 정도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고려말 조선초 불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줄어들고 人本主義를 강조하는 성리학이 확산되면서 불살생・불식육의 분위기는 크게 퇴조할 수밖에 없었다. In Goryeo, no killing and no meat consumption were broadly established as part of living cultu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Buddhism. Buddhist monks were devoted to the practice of no killing and no meat consumption and took profound interest in the releasing of animals at the verge of losing life. There were also many vulgar people that practiced no killing and no meat consumption actively. Devout Buddhists that held office as government officials avoided killing and proposed to ban killing. There were many cases of banning killing and meat consumption at the national level. Such cases happened a lot especially when monarchs in the throne were favorable to Buddhism. The idea was widely spread that one would receive rewards for saving animals from death or relieving them from pain. There was also an idea that one would get nemesis for the pain he or she caused in animals. Individuals whose line of work involved killing might thus have suffered a psychological burden. In the social atmosphere that emphasized no killing and no meat consumption, people of lower ranks were usually engaged in the work of killing. Good examples include Yangsucheok, Hwacheok and merchants of pork market. Those called Muroijido and Akso, who engaged in the slaughter of cows and horses, and the members of Eungbang engaged in the butcher of cows were also from low status. Meat was consumed at national sacrificial services and all kinds of banquets. People also needed animal protein in their dietary life. It was inevitable to kill animals and eat meat. As there was an emphasis on no killing and no meat consumption, however, there were some restrictions to the butchery of livestock and the hunting of wild animals. The atmosphere of emphasizing no killing and no meat consumption had to decline sharply and inevitably betwee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when the social influences of Buddhism were reduced with the spread of Neo-Confucianism that highlighted humanism.

      • KCI등재
      • KCI등재

        노동시장 불안정이 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이병희(Byung-Hee Lee) 한국경제발전학회 2007 經濟發展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 소득분배의 변화를 고용 변동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성장의 과실이 저소득 계층에까지 파급되지 않음에 따라 소득불평등과 상대적 빈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일하고 있거나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층이 전체 빈곤층의 59.9%에 이르고 있으며, 근로빈곤층은 고용ㆍ소득의 불안정으로 인해 반복적인 빈곤으로 이어지고 있다. 소득 불평등을 가구주의 고용형태별로 요인분해한 결과는 비정규직의 증가와 자영업 부문의 구조조정이 소득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구 단위의 노동공급 요인별로 분해한 결과에서도 최근 불평등의 증가는 저소득계층의 임금근로 취업률 및 사업소득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노동시장 악화에 따라 불평등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재분배정책의 강화, 사회안전망의 확대와 함께 고용구조 개선 및 저임금ㆍ저소득계층의 상향 이동을 지원하는 노동시장정책의 활성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Korea had been held up as a model for shared growth, in that economic growth led to more jobs and better welfare even without accompanying special social policies. However the outbreak of the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7 changed the scene. The income inequality and relative poverty rate has been increased sharply since the financial crisis and records now high among the OECD countries. The increase in inequality of market income is associated with the market-driven flexibility. The market-driven flexibility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flexibility at the margin. The increasing non-regular workers and the shrinking low-paid self-employed are vulnerable to the risks of flexibility, which leads to the segment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weakening trickle-down effect of economic growth. Enlarging social safety net and effective labor market policies are needed for tackling with the labor market inst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기 사냥의 방법과 尙武性

        이병희(Lee, Byung-hee)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 동국사학 Vol.72 No.-

        이 글에서는 사냥문화에 보이는 尙武的 성향을 추출하고자 했다. 사냥은 야생동물을 대상으로 인간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포획하는 행위였는데, 가장 고전적인 사냥의 방법은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포유류나 조류 등 대부분의 야생동물은 이 도구를 사용해 포획했다. 그물을 설치하거나 함정을 파서 사냥하기도 했다. 그리고 매 사냥 역시 크게 성행했다. 사납고 기민한 동물을 포획하는 사냥은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어서 사냥하는 과정에서 사고를 당하는 수가 많았다. 가장 흔한 사고는 落馬였다. 위험한 사냥을 능숙하게 하려면 탁월한 활쏘기와 말타기 능력을 보유해야 했다. 또한 상당한 용감성과 민첩성을 갖추어야 했으며, 동물을 주저없이 살상할 수 있는 마음을 갖지 않으면 안 되었다. 사냥에 유능한 이는 실제의 전투에서도 실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마음이 여리거나 담력이 약한 사람, 그리고 자비심이 많은 사람은 사냥을 즐기지 않았다. 好佛·信佛의 성향을 갖는 사람 역시 사냥에 비판적이었다. 고려시기에는 사냥이 보편적인 활동이었으므로 상무적 성향 역시 상하 모든 계층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많은 전쟁을 맞아 나름대로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은 상무적 사회가 뒷받침했기 때문이다. 성리학 수용 이후 상무적 분위기는 점차 퇴색해 갔다. 武藝보다는 文藝 혹은 禮治를 중시하게 되면서, 지배층의 문화에서 사냥은 점차 멀어져갔다. This study set out to extract the martial tendency in the hunting culture of Goryeo. Hunting was an act of capturing wild animals in various ways. The most classical type of hunting used the bow and arrow, which were used to capture most wild animals including mammals and birds. They would also install a net and dig a pit to trap animals. Hawking was hugely prevalent, as well. It was very dangerous and hard to capture violent and quick animals in hunting, and many had an accident in the hunting process. The most common accident was to be thrown from a horse. One needed to be armed with superb archery and riding skills to be adept at dangerous hunting. One also needed considerable bravery and agility and had to be ready to kill animals without any hesitation. Those who were capable of hunting were able to demonstrate their skills in actual battle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d a tender heart, weak nerves, and lots of mercy did not enjoy hunting. Those who had a tendency of being friendly to Buddhism or believing in Buddha were critical of hunting. In Goryeo, hunting was a universal activity, which means that the martial tendency was found both in the upper and lower class. Goryeo was able to fight well in many wars in its own way because it was a martial society. The martial atmosphere gradually deteriorated after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As literature and art or governance by courtesy gained more and more importance than martial arts, hunting gradually disappeared in the culture of the ruling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