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민사령과 한국 근대 민사법

        鄭肯植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1 No.1

        본고에서는 1912년에 제정되어 1943년까지 17차례 개정된 ‘조선민사령’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제정 조선민사령에서는 일본법을 적용하면서도 조선의 사정을 고려하여 친족상속분야와 민사소송절차에서 예외를 인정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을 개정하여 친족상속법 분야에 일본법의 적용을 확대하였으며, 1939년에는 사실상 일본법을 강제하였다. 또 민사소송절차에서는 권리보호보다 소송촉진을 위한 예외를 인정하였는데, 1929년 일본민사소송법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를 더욱 강화하였다. 조선민사령의 제정취지는 한국의 관습을 존중하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일본제국이 식민지 조선을 효과적으로 통치하려는 것이었다. 이는 조선인에 대해 동화와 차별을 구현한 법정책이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nges in the General Governor`s Civil Decree for Joseon, which was enacted in 1912 and revised 17 times until 1943. Although the Civil Decree enacted the Japanese laws, the exception was recognized in the family law and the Civil Procedure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the Colonial Korea. The General Governor in the Colonial Korea revised the Civil Decree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Japanese laws to the field of Family Law, and in 1939 practically imposed Japanese laws in the family law. In addition, in the civil proceedings, exceptions were granted for promoting litigation rather than protection of rights. Despite the amendment of the Japanese Civil Procedure Act of 1929, it was further strengthened. remained same despite the amendment of the Japanese Civil Procedure Act of 1929. The purpose of the Civil Decree was to respect Korean customs, but in practice Imperial Japan was to effectively govern Colonial Korea. This was a legal policy to assimilate and discriminate against Korea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783년(정조 7) <雇工定制>의 성립과정

        정긍식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대학교 法學 Vol.59 No.1

        In this paper, the case of Jeong Daein’s killing of Gogong(雇工; a Wage Worker) Baekman in 1780 was started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ecree of Gogong which was published in 1783(King Jeongjo 7) was reviewed. There are many resources related to this legislative process, Sukyodeunglok(受敎謄錄; the Collection of official Records in Department of Justice)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the most abundant. I compared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and the Hongjae Jeonseo(弘齋全書; the Collection of King Jeongjo’s Works), etc. with it. And I introduced the process of the case and explained the legislative process. King Jeongjo defined Gogong as a worker who appointed his wage and term according to the Daminglufuli(大明律附例), and had notarization of the competent authorities and registered in official rosters. And King Jeongjo defined the punishment of Goju(雇主; Employer) murdering Gogong reduced the death penalty. This Decree was recorded in Daejeonhoetong(大典會通) compiled in 1865. Gogong, defined in this way, became virtually the same as Nobi. In this Decree, King Jeongjo’s conservative stance to establish social status and maintain social discipline was reflected. Total 43 higher government officials submitted comments on this issue in three times, and King Jeongjo decided this Decree considered them. It was ra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involve so many higher officials in legislation. However, King Jeongjo did not discuss with higher officials and presided all process and decided by his orders. This reveals the limits of Charisma or personal domin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Sukyodeungrok with Chujosamok(秋曹事目; the Collection of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Department of Justice), I explained how the king’s orders, after being listed in the Sukyodeunglok, were used as practically and then became legal provisions in codes. Sukyodeunglok contains all the remarks and procedures of all the officials involv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is shows that records management was thorough in the Late Joseon Dynasty. 본고에서는 1780년 정대인이 고공 백만을 때려죽인 사건이 발단이 되어 1783년(정조 7)에 정립된 <고공정제>의 성립과정을 검토하였다. 입법과정과 관련된 자료 중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수교등록≫이 가장 자세하다. 이와 ≪승정원일기≫와 ≪홍재전서≫ 등을 비교하여 사건처리과정을 소개하고 입법과정을 규명하였다. 정조는 ≪대명률부례≫에 따라 임금과 기한을 정하여 입안을 받아 호적에 등재된 자를 고공으로 정의하였고, 고주가 고공을 살해한 경우 형벌인 사형을 1등 감경하였다. 이 수교는 1865년에 편찬된 ≪대전회통≫ <형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이렇게 정의된 고공은 사실상 노비와 같은 처지로 전락하였다. 이 수교에는 신분제를 확립하여 사회기강을 유지하려는 정조의 보수적 입장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43명의 신하들이 세 차례에 걸쳐 의견을 제출하였고, 정조는 이를 바탕으로 결정하였다. 입법과정에 이렇게 많은 사람이 참여한 것은 조선후기에는 드물었다. 그러나 정조는 토론 없이 명령만으로 모든 절차를 진행하였다. 이는 인격적 지배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수교등록≫과 ≪추조사목≫ 등을 비교한 결과, 확정된 왕명이 ≪수교등록≫에 등재되어 ≪수교정례≫ 등으로 실무에서 활용되다가 법전에 수록되는 과정을 밝혔다. ≪수교등록≫에는 사건의 처리와 입법과정에 관여한 모든 신하들의 발언과 절차가 전부 수록되어 있다. 이로써 당시의 기록관리가 철저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宗中의 性格에 대한 批判的 檢討 -自然發生的 團體에 대한 歷史的 接近

        정긍식 민사판례연구회 2007 民事判例硏究 Vol.- No.29

        The clan, Chongjung(종중), is a Korean proper association. Its members are descendants whose ancestor is same, and its aims is to keep up ceremonies for him and to maintain friendship among same descendants. The Supreme Court is maintaining the attitudes that clans are associations which are created naturally not by intentional actions for establishment, and that women have no capability of clans because they are not carrying out ceremonies for ancestors. But in the “2002다(da)1178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at July 21 2005, the Supreme Court changed the long precedent attitudes and declared that women will have capabilities of clans. In this decision, theoretical manipulations are different. In the majority opinion, judges did not change character of clans as the theory of naturally created association, and only permitted that women will have rights to participate clans because precent decisions of clans violated the constitutional doctrine that men and women are equal in laws. But the minority opinion, judges denied that clans are naturally created association. And to become a member of a clan, expression of his will to enter a clan, is necessary in the base of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nd the freedom of association in constitutional law. In this paper, I agree with the minority opinion in a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Chosun(조선) Dynasty, clans were formed by descendants` contributions of properties like money, lands, nobi(노비) and etc to praise their ancestors and to live friendly among them. To manage contributed properties, people were using Kye(契) which is a type of traditional association in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they established autonomical covenants to maintain the properties and to keep up ceremonies for their ancestors and so on. So clans were Korean tradition corporations, not natural but artificial associations, and their character are near that of corporations. 종중은 공동조상의 후손들이 그의 제사를 모시고 아울러 친목을 도모하는 우리 고유의 단체이다. 판례는 종중을 자연발생적 단체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여성은 조상에 대한 제사를 지내지 않기 때문에 종중구성원의 자격을 인정하고 있지 않는다. 그런데 대법원 2005. 7. 21. 선고 2002다1178 판결에서는 헌법상의 남녀평등을 이유로 여성에 대해 종중구성원의 자격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다수의견은 종중의 성격에 대해 종전의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별개의견은 결사의 자유, 사적 자치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필자는 역사적으로 접근하여 종중의 자연발생적 단체라는 데 반대한다. 실제 조선시대의 경우 종중은 조상을 현양하기 위해 후손들이 재산을 출연한 것에 기인한다. 출연된 재산은 전통적인 단체인 契의 형태를 활용하였고, 그 재산을 관리하기 위하여 규약을 만들었다. 따라서 종중은 자연발생적 단체가 아닌 인위적 단체로, 전통적인 법인이다. 그 성질은 법인에 가까운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