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미지와 언어 : 영화 '페르조나'에서 자유간접 화법의 의미에 관한 연구

        이병창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1

        베르히만의 영화 ‘페르조나’는 그 실험적 성격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으로 되어왔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페르조나’를 들뢰즈의 관점에서 해석하려 한다. ‘페르조나’의 특징은 영화의 물질적 공간, 담론적 공간, 스토리적 공간이 변증법 적으로 상호관련을 맺는 자기반영성과 특히 스토리 공간의 후반부에서 전개되는 비사실주의적 화면에 있다. 이 후반부 화면의 특징을 개념적으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필자는 이를 자유간접화법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유간접 화법은 형식적으로 직접 화법과 간접 화법의 혼합인데, 최근 자유간접 화법은 화자와 인물 의 다음성의 개념을 통해 규정된다. 그런데 ‘페르조나’의 후반부에 전개되는 화면에 서 두 인물의 목소리 및 이미지가 중첩하는데, 이런 중첩 때문에 담론 공간에 있는 화자가 스토리 공간에서 전개되는 인물들에 침투하게 되며, 여기서 자유간접화법의 개념인 다음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베르히만은 60년대 사회에서 예술의 위기 문제에 부딪혔다. 그는 이 위기를 해 결하고자, 언어의 타락을 벗어난, ‘영혼에서 영혼으로 전달되는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그는 마침내 ‘페르조나’에서 자유간접화법을 통해 이런 이미지를 발견하였다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베르히만의 ‘페르조나’는 들뢰즈의 영화이론을 상기시킨다. 들뢰즈 는 60년대 뉴웨이브 영화의 특징을 들면서, 무리수적 커트, 자유간접 화법, 이미지의 성층화 등을 들고 있다. 그중 중심적 개념으로서 자유간접 화법은 들뢰즈에서 동일화의 사유를 넘어서서 차이의 사유 즉 이미지의 생성에 이르는 길이다. 베르히만의 영화가 들뢰즈의 이런 차이의 사유, 생성하는 이미지를 가장 탁월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 KCI등재

        헤겔에서 개념 운동과 의식 경험의 관계

        이병창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 시대와 철학 Vol.34 No.2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Preface」 and 「Introduction」 deal with the path to the truth in common, but the pa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reface」, as a movement of 'concept', this movement is developed through the medium of objectification and self-introspection. Through this movement, a system of Science is formed. On the other hand, in 「Introduction」, the way of the experience of the Consciousnessness is presented, and the cognitive frame premised on this path develops into a new cognitive frame as it encounters the thing itself, that is, self-contradiction. 『Phenomenology of Spirit』 develops through such the experience of the Consciousnessness. So far, the discussion has mostly centered on the conceptual movement in 「Introduction」, and reduces the experience of the Consciousnessness in 「Introduction」 to the conceptual movement. Then, the difference between 『Phenomenology of Spirit』 and Science disappears, and there is no need to describe 『Phenomenology of Spirit』 as a preliminary study to reach Science. Therefore, we cannot help but acknowledge the uniqueness of the two paths, and since both paths lead to the truth, we cannot help but po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these two different paths climbing to the summit of truth? Or are they complementary paths that form the same path?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these two paths into one. In the midst of this, the author pays attention to Hegel's unique concept of form and moment. Hegel relates the two concepts of form and moment through the concept of internalization (Errinnerung: memory) or time as the existence of a 'concept'. This reveals that the conceptual movement and the experience of the Consciousnessness are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movement.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in the conceptual movement takes place by encountering a contradiction with the object itself. Likewise, the thing itself that emerges from the experience of the Consciousnessness is only the reverse side of the object established through the concept. Therefore, it is the experience of the Consciousnessness that enables the movement of the moment of concept, and the movement of the concept that enables the transitional movement of the form of consciousness. Therefore, both are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movement, and the two movements complement each other and form a unified movement. If we understand the two paths as complementary paths, it seems possible to understand Hegel's thought more completely and comprehensively.

      • KCI등재후보

        마당극적 영화와 타자의 문제

        이병창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4 No.-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마당극에서 보는 것과 같은 관객과 배우의 교감이 영화에서도 가능한가를 묻는다. 이 물음은 카메라를 관객이 동일시함으로써 관객의 자아가 작가에 의해 구성된다는 보드리나 메츠의 주장에 대한 비판의식과 연결되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서 이 논문은 우선 나와 타자 사이의 상호주관성이 가능한가 하는 철학적 문제로부터 시작한다. 현상학적 인식론에 기반을 둔 사르트르는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지만, 동일한 현상학적 지반에 서지만 신체적 지각론을 제시하는 퐁티는 오히려 이에 대해 긍정적이다. 이 긍정에 대한 퐁티의 근거는 역사적 삶 속에 형성되는 신체들 사이의 호응이라 할 수 있다. 퐁티가 제시한 이런 가능성을 영화에 적용하자면, 우선 물질적 장치로서 카메라가 인간의 시선과 같은 지향적 의식성을 지닌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솝착의 이론에 따라 이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에 서서, 이어서 그렇다면 카메라와 관객의 두 시선이 어떻게 융합가능한가를 묻는다. 이 논문은 이런 융합의 가능성을 솝착의 이론에 따라 보여주려 했다. 이런 가능성은 결국 관객과 인물 사이의 마당극적 교감을 인정하게 할 것이다. 이런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카메라와 관객의 두 시선의 융합을 통해 영화적 지각에서 현실감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파악한다. 이때 연관된 개념이 곧 퐁티의 지각 세계의 깊이 개념이다. In this paper, I will question the possibility of sympathy between the character and spectator in a film as be shown in the korean yard theater. This question takes some critical consciousness to such theories of J L Baudry and C Metz as the passive constitution of spectator's self by the film maker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film camera by spectator. To resolve this question I will proceed from the question of inter-subjectivity between I and the other in philosophy. Base on the phenomenological epistemology Sartre have denied this possibility, but though on the same tradition M Ponty confirms to this question. His ground for this confirmation can be said to b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wo bodies which has been constituted in the historical lives. If we apply this possibility to films, we must understand the premiss that an material apparatus like film camera can have any intentional consciousness like human eyes. Through the theories of V Sobchak I will show camera's intentional consciousness and the possibilitiy of correspondence between camera and spectator . And then we can feel justified to affirm the sympathy of the yard theater between character and spectator in a film . As conclusion I will say the feelings of reality in film scenes will be possible by the correspondence of two addresses of spectaor and camera following the concept of the depth of the perceptional world.

      • KCI등재

        사변철학 : 실체에서 주체로

        이병창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99 시대와 철학 Vol.10 No.1

        본 논문은 헤겔 「논리학」에서 전개된 실체에서 주체로의 전환이라는 문제를 다룬다. 이를 통하여 그의 사변철학의 원리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의 사변철학의 원리는 칸트의 선험철학과의 관계에서 찾아질 수 있다 헤겔은 자기의식에 관한 칸트의 주장을 가장 심원하고 가장 올바른 것으로 찬양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그는 칸트가 자기의 입장을 철저하게 밀고 나가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그의 비판은 칸트의 물자체 관념과 연관된다. 칸트에게서 물자체라는 관념은 경험의 전제이다. 선험적 통각의 범주를 통한 선험적 구성은 직관 형식에서 주어지는 경험을 전제로 한다. 우리에게 경험이 주어지기 위해서는 경험하기 전에 무엇인가가 있는 것이 아닐까? 칸트는 경험 이전에 경험의 전제로서 물자체를 상정하였다. 그러나 헤겔은 칸트의 생각은 선험철학의 입장을 벗어난다고 본다. 선험철학의 입장에서 본다면 직관은 오성의 범주와 마찬가지로 사유의 형식이며, 따라서 그것 역시 대상을 구성한다 다만 그것은 직관의 형식이므로, 여기서 구성된 대상은 마치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그것은 사유에 대립하는 대상(Gegen-Stand)으로 된다. 이는 마치 감정이 사실은 우리의 자발적인 행위인데도 불구하고, 그것이 우리에게 외부에서 수동적으로 주어지는 것, 즉 격정(激情)인 것처럼 나타난다는 철학자들의 주장과 유사하다 헤겔에 따르면, 칸트는 바로 여기서 그만 발을 헛디뎌서 결과적으로 경험 이전에 실재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생각에 빠지게 되고, 물자체라는 개념을 상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자체라는 개념을 제거함으로써 헤겔은 칸트의 선험철학을 떠나서 그의 고유한 입장인 사변철학의 영역으로 넘어 들어오게 된다 그런데 경험은 주어진다는 즉 전제(voraussetzen)된다는 의미를 가지지 않을까? 의식 밖의 물자체가 없다면, 어떻게 이런 주어짐과 전제가 가능한가? 하지만 물자체가 아니더라도, 현상적 실재라고(그러므로 물자체나 의식초월적 실재라는 의미는 아니다) 할지라도 경험 속에서 주어지거나 전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망상이나 환상과 경험은 구별된다. 적어도 후자는 현상적 실재로부터 주어지고 이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원자의 구조는 물자체는 아니다. 그것은 현상하지만, 그것은 경험에서 그 자체(an sich)로서 주어지지 않는다. 일단 이런 것을 현상적 실재라고 하자. 그런데 경험은 원자의 구조에 관해 그 어떤 징후만을 포착한다. 우리는 전자총을 쏘았을 때, 그로부터 이슬이나 안개의 궤적을 찾을 수 있다. 이런 궤적은 경험으로서, 원자의 구조에 대한 우리의 망상이 나 환상과는 구별된다. 헤겔은 일단 경험을 직접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출발한다. 그러나 경험은 그 속에 모순과 대립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모순과 대립은 어떤 현상적 실재를 전제로 한다. 하지만 현상적 실재 자체가 모순과 대림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사유 형식으로서 경험적 형식의 구성 방식 에 의해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우리는 전체적인 경험 속에서의 모순과 대립을 해소해야 한다. 비로소 우리는 현상적 실재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그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모든 대상은 사유에 의해 구성되는데, 우리가 적절한 사유의 형식을 가진다면 경험에서의 모순과 대립 이 사라질 수 있다. 우리는 경험의 모순과 대립이 사라질 때까지 새로운 사유 형식들을 실험하면서, 다시금 대상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마침내 모순과 대립이 사라진 다면, 사유에 의해 구성된 대상은 바로 포착하고자 하는 현상적 실재와 일치 할 것이다. 그것은 헤겔에게서는 즉 더 이상 사유할 수 없다는 점에서 궁극적 실재이다. 헤겔의 사변철학은 그러므로 경험에서 개념으로 이 행하는 사유의 운동이다. 그럼으로써 그는 주관적 인식에서 객관적 인식으로, 즉 모순과 대립의 경험에서 내적으로 통일된 필연적 지식으로 이행한다.

      • KCI등재

        90년대 한국사회와 탈근대적 ‘주체’ 개념

        이병창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2 No.-

        This report treats the discourse of the concept of the historical subject which has been unfolded from 7,80 period to 90 period in Korean society. The discourse of the 7,80 period primarily discussed who may be the historical holder of the modern universal autonomical subject and had the basic foundation at Marxist's theory of history. Here after intensive discussion had been established the Idee of People's Democratic which set People(Minjung) as the historical subject. But after the 87 struggles for the democracy of Korea, instead of the basic People's movements there developed the citizen's movements. Here has been presupposed a philosophical reflexion that any historical social class could be transformed to the universal autonomical subject through the resonable discussions by the reason of discourse. At 90 period when the postmodernism has appeared in Korean society, the concept of the historical subject has been negated. Postmodernism has abolished this concept and has found the actors which have been captured by the structures of society and has have moved passively. This concept has been explained by Baudrialld's being of impulse and Zizeck's maternal superego. But this actor theories have many dilemma therefore has appeared the new postmodern concept of the subject by Deleuze and Lacan. Deleuze has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autonomous subject without aim through the concept of desire and Lacan the concept of the intentional subject without autonomy through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These concepts do not agree with the modern concept of the subject but retain some features of the concept. These subject will take more attentions by the spreads of the new laborers as technicions and specialists. This report hope to suggest the problems of the perspectives said above and the coordinates of this symposium ' People, Citizen and Multitude' 이 논문은 7,80년대와 90년대에 전개된 역사적 주체 개념에 대한 논쟁을 다루고 있다. 7,80년대 논쟁은 주로 자율적인 보편적 주체의 구체적 역사적 담지자가 누구인가 하는 논쟁이었다. 이는 주로 마르크스의 역사이론에 토대를 두고 전개되었다. 여기서 치열한 논쟁 끝에 80년대 중반 민중이 주체라는 민중민주주의 이념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87년 민주화 이후 기층 민중운동을 대신해서 시민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여기서는 담화적 이성의 합리적 토론을 통해 어떤 역사적 존재도 보편적이며 자율적인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철학적 반성이 깔려 있다. 90년대 들어 한국사회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하자, 역사적 주체라는 개념이 부정되기에 이르렀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런 주체를 폐기하고 사회의 구조에 포박되어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행위자를 발견하였다. 그것이 보드리야르의 충동적 존재이며 또 지젝의 모성적 초자아 개념이다. 그런데 이런 행위자 이론이 가진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들뢰즈나 라캉 등이 탈근대적 주체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들뢰즈는 욕망 개념을 통해 목적 없는 자율성으로서 주체 개념을, 반면 라캉은 무의식 개념을 통해 자율성 없는 목적성으로서 주체 개념을 제시한다. 이런 주체 개념은 근대적 주체 개념에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 부분적 흔적을 보존하고 있다. 이런 주체 개념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신흥 전문기술 노동자 층이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상 제기된 각 입장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민중, 시민, 다중이라는 심포지엄의 논의가 전개되는 좌표를 그려내려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