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종합병원 입원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증상의 시점 유병률 : 암 환자 디스트레스 중재 전략을 위한 예비 연구

        이민아,허휴정,민정아,이창욱,이철,김태석,Lee, Min-A,Huh, Hyu-Jung,Min, Jung-Ah,Lee, Chang-Uk,Lee, Chul,Kim, Tae-Su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3 정신신체의학 Vol.21 No.2

        목 적 암환자의 불안 및 우울증상 유병률이 높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이에 대한 선별과 개입의 노력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암환자의 불안, 우울증상의 선별 및 중재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암환자의 불안, 우울증상의 시점 유병률을 조사하고 위험인자를 규명하였다. 방 법 일 종합병원 암센터에 입원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병원불안우울척도를 시행했으며, 사회인구학적 및 암 관련 임상 자료를 조사하였다. 결 과 불안,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각각 10.5%, 34.2%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전이가 있을 시 불안증상 위험이 더 높았고, 항암치료 경험과 중등도 미만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우울증상과 관련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36.8%의 입원 암환자가 불안 혹은 우울증상을 겪고 있었으며 전이, 항암치료 경험, 중등도 미만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불안 및 우울증상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안, 우울증상을 보이는 암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선별검사와 관리 시스템 체계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int prevalence of anxiety, depression and the associated risk factors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Methods: A total of 114 patients with cancer who admitted to the Cancer Center in St. Mary's Hospital were enrolled for a day. The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Sociodemographic and cancer related clinical variable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point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was 10.5% and 34.2%, respectively, as assessed with HADS.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vealed that distant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xiety in patients with cancer and previous chemotherapy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more than one third of patients with cancer suffer from either anxiety or depression. In addition, previous chemotherapy as well as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distant metastasis were associated risk fa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screening and systematized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distress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 변화예측 및 변이성

        이민아,이우균,송철철,이준학,최현아,김태민,Lee, Min-A,Lee, Woo-Kyun,Song, Chul-Chul,Lee, Jun-Hak,Choi, Hyun-Ah,Kim, Tae-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현상의 징후가 발생함에 따라 이의 영향 예측을 위해 많은 모델들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분야의 기후 영향모델 활용이 증가하면서 모델의 입력자료 중 특히 기후자료의 구축 방법 및 한반도 기후의 특성 파악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간을 위하여 공간통계학방법 중 IDSW(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거리자승역산가중)를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미관측지점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주변 관측지점들을 고려하며, 그 영향은 거리에 반비례함을 반영한다. 여기서 주변 관측지점 선정시 반경 100km내의 가장 인접한 순으로 최대 3개의 관측지점을 선택하게 제약을 두었다. 그 결과 한국의 기온과 강수량 모두 과거 30년 동안에 연평균 약 $0.4^{\circ}C$, 412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도 2007년에 비해 2100년의 기온이 $3.96^{\circ}C$, 강수량이 319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이성의 특성은 과거 30년 동안 기온의 경우 강원도 일부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강수량의 경우 남부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변화 경향은 기온의 경우 강원도 지역이 변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수량의 경우 남동부부지역이 변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래 30년간의 변이성 분석결과 기온은 중서부 지역에서, 강수량은 동부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변화경향은 기온의 경우 남서부로 갈수록 변이의 정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수량의 경우 중서부와 남부 일부가 변이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Internationally many model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climate change, as occurring a lot of symptoms by climate change. Also, in Korea, according to increasing the application of the climate effect model in many research fields, it is required to study the method for preparing climate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mate. In this study IDSW (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 one of the spatial statistic methods, is applied to interpolate. This method estimates a point of interest by assigning more weight to closer points, which are limited to be select by 3 in 100 km radius. As a result, annual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ad increased by $0.4^{\circ}C$ and 412 mm during 1977 to 2006. They are also predicted to increase by $3.96^{\circ}C$, 319 mm in the 2100 compared to 2007. High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or last 30 years shows in some part of the Gangwon-do a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Besides in the study of the variable trend, the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s inclined to increase in Gangwon-do and southern east part, respectively. However, during 2071 to 2100 variability of temperature is predicted to be high in midwest of Korea and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in the east. In the trend of variability, variability of temperature is apt to increase into west south, and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increase in midwest and a part of south.

      • KCI등재

        노인시설 내 공간영역의 통합과 분리측면에서 본 환경적 프라이버시

        이민아,Lee, Min-Ah 한국주거학회 201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privacy on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segregation of spatial area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rough investigating required environmental privacy at each hierarchical space, the contextual situation and counterplan for the privacy. For the study, a content analysis for 35 foreign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August of 2013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hierarchical spaces had somewhat integrated characteristics as being required various types of privacy beyond the original features of each space. Especially semi-public and public spaces were needed the privacy similar to in private or semi-private areas. Second, the contextual situation for the privacy was mainly from undesirable access and psychological pressure of other residents, staff and etc. to the residents' personal space, stuff, and behaviors. The other was from no space (no sitting) or no equipments for privacy. Third, the counterplan for privacy was categorized as improvements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making defensible space or keeping physical distance of the elderly. It is suggested that welfare of the aged act in Korea about the room capacity for the elderly facilities needs to be reconsidered for the privacy in their individual rooms and the privacy in semi-public and public area must be considered to make the behavior scope of the elderly extended.

      • KCI등재

        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민아(Min-Ah Lee),김석호(Seokho Kim),박재현(Jae Hyun Park),심은정(Eun-Jung Sim)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까운 사회적 관계의 자살경험이 자살생각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자살의 위험요인이자 보호요인으로서의 가족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된 2009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사회적 관계 내의 자살경험이 응답자의 자살생각과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가까운 사람 중 자살을 생각하거나 자살한 사람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자살을 생각하거나 계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가족요인이 응답자의 자살생각 및 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 자해충동,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를 할 확률이 높았으며, 반면 가족지지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의 확률은 감소하였다. 본 결과는 사회적 관계를 통한 자살확산의 가능성과 자살에 대한 가족의 이중적 효과를 보여준다. 이는 현재 한국사회의 자살률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족 등 가까운 사회적 관계의 건강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사회적 관계 내 자살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자살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러한 취약집단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The goal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if and how exposure to suicidal factors in social relationships affects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s and also analyze how family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Data drawn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collected in 2009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exposure to the suicidal facto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s. In the findings,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s of which socially close persons have suicidal ideation or completed suicide a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plan even in the models for which demographic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are controlled. Also, family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s. Family stress increases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s whereas expectation on family support reduces the likelihood of having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might be possibility of behavioral contagion in terms of suicide through social connections and family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n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s. Our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people who were exposure to suicide.

      • KCI등재

        <기획논문 1 | 조선시대 풍양 조씨 가문과 도봉구> 신정왕후 도봉 별서(‘조대비 별서’)의 연원과 역사적 의미

        이민아 ( Lee Min-ah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7 No.-

        현재 도봉서원으로 가는 초입에 위치한 광륜사는 과거 ‘조대비 별서’, 즉 신정왕후의 별서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봉 별서는 본래 안동 김씨인 김보근 소유였다가 매매 또는 양도 등의 절차를 통해 그 소유권이 신정왕후에게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신정왕후는 아버지 조만영의 선영지인 춘천지역에 별서를 마련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에, 비교적 자신이 거처하는 궁궐과 가까우면서 풍양 조씨 묘역과 세거지가 있는 도봉산 자락에 별서를 마련했던 것이다. 이후 도봉 별서는 고종의 부인인 엄비가 머무르는 등 왕실 여성의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식민지기 이후 별서로서의 기능이 완전히 사라졌다. 철종 재위 후반기까지 김보근 소유였던 도봉 별서가 고종대에 신정왕후의 별서로 활용되는 과정은, 당시 정치적 역학관계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신정왕후의 세자빈 간택으로 외척이 된 이래 풍양 조씨는 안동 김씨의 독단적인 권력 농단을 견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리청정을 하던 남편 효명세자의 죽음으로 신정왕후와 풍양 조씨는 큰 좌절을 맛봐야 했다. 이후 신정왕후의 아들 헌종의 집권으로 풍양 조씨는 다시 안동 김씨를 견제할 수 있는 힘을 얻었으나, 헌종이 후사 없이 요절하는 바람에 결국 안동 김씨에게 권력을 완전히 빼앗겼다. 신정왕후는 철종 사후 흥선대원군과 함께 고종을 즉위시키고 수렴청정을 통해 정치의 중심에 설 수 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흥선대원군의 권력 독점으로 정치 일선에서 배제되고 말았다. 도봉 별서는 이러한 정치적 격변을 거치면서 신정왕후의 공간이 되었고 또 활용되었다. 신정왕후의 도봉 별서, 즉 ‘조대비 별서’는 19세기 정치적 격변 속에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신정왕후가 권력에서 배제된 뒤 본격적으로 활용했던 ‘아픔’의 공간이자, 치열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비로소 한발 물러나 휴식을 즐기던 ‘안식’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신정왕후의 죽음 이후 도봉 별서를 이용했던 엄비 역시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는 격변의 시기, 아들 영친왕이 대한제국의 황태자가 되는 영광을 누렸으나 곧이어 영친왕이 일본에 볼모로 끌려가는 모습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엄비에게도 도봉 별서는 아들 영친왕과 나라를 일본에 빼앗기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머물던 ‘아픔’의 공간이자, 말년에 쉼을 얻었던 ‘안식’의 공간이었다. 다시 말해 아름다운 도봉산의 풍광을 품고 있는 도봉 별서는 신정왕후와 엄비 등 고종대 왕실 여인들의 영광과 아픔, 그리고 안식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Gwangryunsa Temple located at an entrance to Dobongseowon is known as a vacation home of Empress Sinjeong long ago. Although Empress Sinjeong who conducted Sooryeomcheongjeong as soon as King Kojong acceded to the throne attempted to continue the reform politics initiated by Crown Prince Hyomyung, she was drastically isolated from the political authority, as she withdrew Sooryeomcheongjeong, in 1866. King Kojong just tried to treat Empress Sinjeong as the Grandmother of the King, by giving an honorific title and the Jinchan ceremony to her who did not have a distinct effect on politics, except that she supported his direct government system. It is supposed that Empress Sinjeong spent her lone later years, while sometimes having a rest in the vacation home built on Mt.Dobong, until 1890, when she died after withdrawal of Sooryeomcheongjeong. The Dobong vacation home was originally owned by Kim Bo-geun belong to the Kims'family of Andong. The ownership of it might be transferred to Empress Sinjeong through a procedure such as sales or a transfer. She seemed to establish the vacation home on Mt.Dobong foot on which the living of generations and the graveyard of the Johs’ family of Pungyang, and which was also relatively close to the palace in which she lived, since it was actually difficult for her to build it in Chuncheon areas, the family burial ground of Joh Man-yeong, her father. Then, the Dobong vacation home was used as a space for royal women: King Kojong’s wife, Empress Um also stayed there. However, it completely lost its function of a vacation home, as the temple was built in it after 1980s.

      • KCI등재

        한국 사회 자살률의 변동과 원인

        이민아(Min-Ah Lee),강정한(Jeong-han Kang)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 자살률의 변동과 그 원인을 지역단위 지표를 이용, 분석함으로써 지역의 특성과 자살률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e-지방지표와 사회과학자료원이 제공하는 시군구 통계자료를 결합하여 2005-2011년도의 자살률 및 다양한 지역단위 지표를 포함하는 분석자료를 구축하였고, 주요 분석방법으로 확률효과 패널회귀분석(random effect panel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자살률의 지역 간 차이뿐 아니라 2011년까지 이전 3년 간 일어난 자살률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지역 내 변화도 상당한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16개 광역시 및 도 단위보다 구·군 단위로 내려와 분석하였을 때 더 뚜렷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의 고용률과 복지예산 비중이 높을수록 다음 해의 자살률은 감소하였고, 지역의 고령화 수준과 이혼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지역 내 자살률 변화보다는 지역 간 자살률 차이를 설명하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거주지역의 복지와 통합의 수준이 자살과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음을 함의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 자살률의 감소를 위한 향후 연구 및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suicide rate and its causes in Korea by analyzing community-level longitudinal data. The data drawn from regional statistics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and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http://www.kossda.or.kr) were used. The data set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various community-level indicators as well as suicide rates from 2005 to 2001. We used random effect panel regression techniques. Findings showed that differences in suicide rate within communities, caused by dramatic increases of suicide rate within communities for the last 3 years, as well as differences in suicide rate between communities substantially exi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andom effect panel regression analyses, as employment rate and the percent of welfare spending at community-level (t1) increased, suicide rate at community-level (t2) decreased. In contrast, as the percent of older adult population and divorce rate at community-level (t1) increased, suicide rate at community-level (t2) increa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welfare system and the quality of life would be associated with suicide. Finally, we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to reduce suicide rate in Korea.

      • KCI등재

        소득, 물질주의와 행복의 관계

        이민아(Min-Ah Lee),송리라(Ri-Ra Song)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소득수준과 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한 2009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지만 물질주의 가치관은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물질주의 가치관을 가진 응답자, 즉 인생을 살아가는데 중요한 요소로 돈을 선택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를 가졌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물질주의 가치관이 응답자의 소득수준에 따라 차별적 효과를 갖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즉, 소득이 상승하더라도 물질주의 가치관이 갖는 부정적 효과는 감소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성장과 이윤획득을 최우선으로 하는 한국사회에서 과연 돈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가 행복에 긍정적인가에 대한 사회적 성찰과 논의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if and how household income and attitude toward money (materialism) affect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collected in 2009 was used for the study. The findings show that materialism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s while household incom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outcomes. Interestingly, in contrast to existing studies, household income does not have an interaction effect with materialism, which means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materialism on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do not decrease even as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increa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reflective discussion and social debate on Korean society, in which economic achievements and development have been the most valued, are required.

      • KCI등재

        폭력피해와 범죄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인신뢰의 조절효과

        이민아 ( Min-Ah Lee ),김경민 ( Kyungmin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에 기초하여 폭력피해경험과 범죄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대인신뢰가 폭력피해경험과 범죄불안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집한 「사회문제와 사회통합실태조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소벨(Sobel) 검증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폭력피해경험과 범죄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우울을 높였으며, 폭력피해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 범죄불안이 10% 수준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범죄불안과 대인신뢰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폭력피해경험과 대인신뢰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폭력피해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대인신뢰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피해경험이 가진 부정적 효과가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폭력피해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우울은 대인신뢰에 따른 변화폭이 크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신뢰가 폭력피해경험자의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심리사회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Based on general strain theo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violent victimization, fear of crime and depressive symptoms using an integrative approach, and to analyze if and how interpersonal trust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victimization, fear of crime and depressive symptoms.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he findings showed that victimization and fear of crime were positively and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fear of crime marginal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ictimiz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dit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victimization and interpersonal trust was detected. The depressive symptoms of victims substantially decreased as the level of interpersonal trust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interpersonal trus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ictimiz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terpersonal trust can reduce the harmful effect of victimization on mental health.

      • KCI등재

        사별과 우울에 대한 종단분석

        이민아(Min-Ah Lee)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1

        이 연구는 배우자 사망이 한국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사별효과의 차이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사별 이전 시점에 측정된 배우자와의 관계만족도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사별효과가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 기준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06년과 2008년도 ‘한국고령화패널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사별이 우울의 수준을 높이지만 그 효과는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먼저, 사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남성노인의 우울을 높였으나 여성노인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사별 이전에 측정된 배우자와의 관계만족도의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남성노인의 우울은 배우자와의 관계만족도에 관계없이 사별 후 증가하나 여성노인의 우울은 배우자 사망 전 배우자와의 관계만족도가 긍정적일 경우에 한해 사별 후 우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성별에 따른 성역할규범 및 사회적 역할의 차이에서 기인한 노년기 부부관계에 기반해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nd how spousal loss i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of Korean older adults and has differential effects across men and women by analyzing a longitudinal data set. Also, it is analyzed if marital quality before spousal loss(t1) and spousal loss(t2) have an interaction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e data used ar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collected in 2006 and 2008. The findings show that spousal loss has differential effects across men and women. Spousal los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of men while it is not significant for women. Also, a significant and differential effect between spousal loss and marital satisfaction across men and women is detected. Spousal loss is associated with eleva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women who had a high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not for widowers who had a lower level of martial satisfaction before spousal loss. In contrast, spousal loss increases the depressive symptoms of men regardless of marital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explained by differences in marital relationships across older adult men and women, which is associated with gendered norm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