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간경변 및 간암과 혈청 구리와 아연농도와의 관련성

        현명수,서석권,윤능기,이종영,이승훈,이무식,Hyun, Myung-Soo,Suh, Suk-Kwon,Yoon, Nung-Ki,Lee, Jong-Young,Lee, Seoung-Hoon,Lee, Mu-Sik 대한예방의학회 1992 예방의학회지 Vol.25 No.2

        현재까지도 완전히 규명되지 못한 간질환과 혈청 구리 및 아연농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 이들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1990년 10월에서 1991년 8월 사이에 대구시 소재 모 대학병원 내과와 건강진단센터에 내원한 사람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정상 63명, 간경변 60명 그리고 간암 3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체내 일일 변동을 고려하여 공복시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에 혈액을 채취하여 간기능검사의 생화학적 표지자와 혈청 구리 및 아연농도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청 구리의 평균농도는 대조군 $91.97{\pm}4.76{\mu}g/dl$, 간경화군 $106.21{\pm}2.73{\mu}g/dl$ 그리고 간암군 $127.05{\pm}0.77{\mu}g/dl$이었고, 대조군과 간경화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간경화군과 간암군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아연에 있어서는 대조군 $110.82{\pm}7.24{\mu}g/dl$,간경화군 $68.10{\pm}5.43{\mu}g/dl$ 그리고 간암군 $63.78{\pm}2.20{\mu}g/dl$로 나타났고, 간경화군과 간암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군과는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Cu/Zn비는 세 군 사이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간기능검사의 생화학적 표지자들 중에 총 단백, 알부민, ALP 그리고 총 빌리루빈은 세 군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ALT와 AST의 간경화군과 간암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직접 빌리루빈은 대조군에 대해 간암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헐청 구리와 아연농도 그리고 Cu/Zn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표지자는 세 군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간경화 및 간암에 대한 odds ratio는 혈청 아연농도만이 각각 0.951, 0.9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05), 혈 청 구리 농도와 Cu/Zn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세 군에 대한 판별분석에서 구분을 위한 주요변수로 선정된 것은 알부민, ALP, 혈청 아연농도, 나이 그리고 총 빌리루빈이었고, 이를 적용하여 판별한 결과 바른구분의 백분율은 대조군 95.4%, 간경변군 73.4%, 간암군 75.7%로 총 84.0% 였다. 본 연구는 아연이 간질환에 대해 독립적으로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며, 혈청 아연농도의 측정은 간질환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copper and zinc levels and the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HCC), and to evaluate its diagnostic value on liver diseases. Sixty-three healthy persons, 60 patients with cirrhosis and 33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were rendomly selected and investigated for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from October 1990 to August 1991. For analysis of the biochemical markers in liver function test and the serum copper and zinc levels, their fasting venous blood were sampled at 9:00 to 11:00 in the morning and centrifuged to separate the serum within one hour. All the samples were immediately analysed for biochemical markers and stored at $-20^{\circ}C$ in polypropylene tubes further copper and zinc analysis. Mean of serum coppper levels was $91.97{\pm}4.76{\mu}g/dl$ in control, $106.21{\pm}2.73{\mu}g/dl$ in cirrhosis and $127.05{\pm}0.77{\mu}g/dl$ in HCC. The value of HCC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cirrhosis(p<0.05). Serum zinc levels were $110.82{\pm}7.24{\mu}g/dl$ in control, $68.10{\pm}5.43{\mu}g/dl$ in cirrhosis and $63.78{\pm}2.20{\mu}g/dl$ in HCC. The values of cirrhosis and HC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p<0.05). The Cu/Zn ratio was statia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p<0.05). Test total protein, albumin, ALP and total bilirubin of biochemical markers of liver fun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p<0.05). Differences between cirrhosis and HCC for ALT and AST, and between the control and HCC for direct bilirubi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iochemical mark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rum copper and zinc levels and Cu/Zn ratio(p<0.05), were variable in three group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odds ratio of serum copper level and Cu/Zn ratio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cirrhosis and the HCC, but that of serum sinc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0.951 and 0.952(p<0.05). Serum copper and zinc levels and Cu/Zn ratio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irrhosis and HCC. H\Albumin, ALP, zinc, total bilirubin and age among all variables were selected as main variables for three-group discriminant analysis. Percentage of 'grouped' cases correctly classified by these five variables was 98.4 for control, 73.4 for cirrhosis, 75.7 for HCC and 84.0 for all subj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zinc level is considered to play a role as diagnostic marker on the hepatic disorders and be more useful than serum copper level and Cu/Zn ratio in diagnosis of the liver diseases.

      • KCI등재SCISCIESCOPUS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

        강태훈(Tae Hun Kang),이무식(Mu Sik Lee),배석환(Suk Hwan Bae),김용권(Yong Kwo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4

        본 연구는 일부 한국 대학생들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법(DEXA)을 이용하여 총 121명의 대학생들의 요추와 대퇴골두의 골밀도(BMD)를 측정하였고, 생활습관에 관련된 설문은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2014년 9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골밀도는 빈도분석을 통해 분포를 파악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식이습관, 운동습관,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T-Score)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퇴골과 요추의 골밀도는 평균 0.993±0.14g/㎠이었고, 골다공증은 없었으며, 골감소증은 30명(24.8%), 정상은 91명(75.2%)이었다.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여대생이, 주 150시간 이상 걷기를 시행한 군이, 청소년기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 경험이 있는 군이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일 기준 전자기기를 6시간 이상 사용한 군이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신체적인 특성과 식이·운동·생활습관, 특히 청소년기의 운동습관은 골건강과 관련성이 있다. 추후 청소년과 대학생에 대한 식이·운동·생활습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bone nineral density and life styles of some of Korean colleage students. A total of 121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through bone mineral density test on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The survey about their lifestyles with a self-rat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4 to November 2014.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 those research data analyses such as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 analysis. The percentage of the osteoporisis, osteopenia and normal groups were 0.0%, 24.8% and 75.2%. BMI, Regular menstrual cycle, Walking and Regular exercise in adolescence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score. But Using time of electronic devices was negative related with T-score. It can be concluded that desirable life style in time of college students and adolescence is important for their bone health. The necessity of preparing guideline for preventing bone disease in old age connect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recognized to the public and educational autho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