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연령에 따른 혈압변화 양상과 고혈압 유병률

        Dae-Taek Lee(이대택),Yong-Soo Lee(이용수)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2

        한국인의 연령에 따른 혈압변화와 고혈압 유병률 그리고 수축기(SBP)와 이완기(DBP)혈압 및 맥압(PP)의 변화양상을 횡단적으로 평가하였다. 지역보건소 건강검진 및 건강증진프로그램을 통해 진료된 대상자 6,570명(남2,809, 여 3,761)을 5 연령군(30, 40, 50, 60대 그리고 70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SBP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60대 중반에서 역전되었다. DBP는 남자 30대부터 증가하여 40대에서 최고점을 이르렀다가 하강하였다. 여자는 4-50대까지 증가하다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PP는 50대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남자의 경우 특히 50대 이후의 연령과 관계한 혈압의 증가는 큰동맥의 굳어짐 현상이 가장 큰 공헌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여성의 경우는 큰동맥굳어짐, 일회심박출량 또는 심실박출율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PP의 증가는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며 특히 50대 이후 남녀 모두에서 가파른 위험성이 예견된다. 이 연구에서는 남녀 모두에서 고혈압 발병률이 이전의 연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높은정상혈압을 고혈압 위험군에 포함시킨다면 고혈압 관리를 위한 대상자의 범위는 상당히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blood pressure (BP) changes and the current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hypertension among age groups in Korea were conducted. Systolic (SBP), diastolic (DBP), and pulse (PP) pressures were evaluated. Residents visiting a local Community Health Center for a health check-up and/or participating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ere included for the analyses. A total of 6,570 subjects (2,809 men, 3,761 women) were divided into five age groups: 30-39, 40-49, 50-59, 60-69, and 70≤ years.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sex and among age groups. SBP and DBP were continuously elevated, while men showed higher levels than women until their mid-60s; then, the trend was reversed. DBP in men became elevated from their 30s, reaching the highest in the 40s then slowly decreasing. DBP in women increased up to their 40s and 50s, then reached a plateau. PP increased rapidly from the 50s in both sexes. The major contributor of age-related BP elevation may be large artery stiffness in men, particularly from their 50s, while the blood pressure elevation of women may relate to diverse factors including large artery stiffness, stroke volume, and ventricular ejection rate. The rapid elevation of PP after the 50s in both men and women could represent a risk of cardiovascular or coronary mortality, particularly with increasing age. The current data showed a higher rate of hypertension in both sexes compared to previous reports. When those with both high-normal BP and hypertension are looked at in combination, BP management of the target population should be drastically elevated.

      • KCI등재

        점진부하 운동에서 중고교 엘리트 사이클 선수들의 유산소능력과 폐환기 반응

        Dae Taek Lee(이대택),Yoon Jung Bae(배윤정)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3

        국내 중고교 엘리트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점진부하 운동 시 유산소반응과 폐환기 반응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남자 사이클 선수(17±1 세, 175±5 ㎝, 70±9 ㎏) 12명이 신체계측, 점진부하 운동 검사, 폐기능 검사에 참여하였다.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점진부하 운동 중 이들의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과 최대파워(Wmax), 환기량, 산소 및 이산화탄소호흡당량(VE/VO₂, VE/VCO₂), 호흡율, 일회호흡량 등이 측정되었다. 호흡반응의 시간변인으로 흡기시간(Ti), 호기시간(Te), 일회호흡시간(Tb), 흡기의무사이클(Ti/Tb), 흡기율(VT/Ti)이 분석되었다. 폐기능으로는 폐활량, 일초호기량, 일초율, 최대호기량 등이 측정되었다. 선수들은 최대운동시 57.5±3.9㎖ㆍ㎏<SUP>-1</SUP>·min<SUP>-1</SUP>의 VO₂max, 194.1±8.6 beat·min<SUP>-1</SUP> 의 최대심박수를 보였으며, Wmax 는 평균 452 W에 도달하였다. VO₂max은 신체계측 변인들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환기반응은 운동강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동반 증가하였다. 운동강도의 증가와 함께 Ti, Te, Tb는 감소하였으며, Ti/Tb는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250 W 이하에서 신장, 체중, 신체질량지수, 체표면적은 VT/Ti 그리고 Ti/Tb 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결과적으로, 엘리트 사이클 선수들의 최대유산소능력은 성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성인과 호흡조절 양상이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신체계측 변인은 VO₂max와 상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호흡반응의 시간 변인은 운동강도 250 W 이하에서만 체격과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흡기율은 어린 선수들의 운동지속시간과 연관 있어 보이지만, 흡기의무사이클은 성인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aerobic capacity and ventilatory response during an incremental exercise in elite high school cyclists. Twelve boys (17±1 yr, 175±5 ㎝, 70±9 ㎏) participated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cremental exercise testing,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During incremental exercise testing using a cycle ergometer, their maximal oxygen uptake (VO₂max), maximal power output, ventilation, ventilatory equivalents for oxygen (VE/VO₂) and carbon dioxide (VE/VCO₂), respiratory rate, and tidal volume were measured. Time variables such as inspiratory time (Ti), expiratory time (Te), breathing time (Tb), and inspiratory duty cycle (Ti/Tb), as well as inspiratory flow rate (VT/Ti) were assessed. Pulmonary function of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₁), FEV₁/FVC, and peak expiratory flow were evaluated. Their VO₂max, maximal heart rate, and Wmax were 57.5±3.9 ㎖ㆍ㎏<SUP>-1</SUP>·min<SUP>-1</SUP>, 194.1±8.6 beat·min<SUP>-1</SUP>, and 452 W, respectively. VO₂max was not related to any anthropometric parameters. Most ventilatory variables progressively increased with exercise intensity. As intensity increased, Ti, Tb, Tb decreased while Ti/Tb was maintained. Below an intensity of 250 W,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surfac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VT/Ti and Ti/Tb (p<0.05). Collectively, VO₂max appeared to be lower than adult cyclists, suggesting a different pattern of ventilatory control as age advanc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related to VO2max in the population. Time variables of ventilatory response seemed to be related only at an exercise intensity level of less than 250 W. VT/Ti may be related to exercise endurance capacity, but Ti/Tb was similar to adult cyclists.

      • KCI등재

        남녀 중고생의 체중인지도가 체중조절과 운동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대택 ( Dae Taek Lee ),이명천 ( Myung Chun Lee ),김재호 ( Jae Ho Kim ),차광석 ( Kwang Suk Cha ),조정호 ( Jung Ho Ch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3

        청소년의 체중에 대한 인지도가 체중변화를 위한 욕구와 노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체중조절을 위해 적정한 방법이 사용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1246명(남자 284명, 여자 962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네 영역의 질문단위로 나뉘어: 1) 인구사회적특성. 2) 체형 및 체중. 3) 신체활동 및 운동습관. 4) 다이어트 및 식습관으로 구성되었다. 설문대상자들의 자기기입에 의한 체중과 키를 기준으로 이상체중을 산출하였고(남; (신장-100)×0.9, 여; (신장-100)×0.85), 저체중군(이상체중의 <80%, 40.9 ±6.6, 51.4±3.1, 40.3±4.4, 44.9±3.5kg, 각각 남중, 남고, 여중, 여고), 이상체중군(이상체중의 80%≤와 120%(사이, 53.3±10.4, 62.4±7.9, 49.4±6.4, 52.4±5.6kg), 그리고 과체중군(이상체중의 120%≤, 74.5±13.1, 84.8±7.1, 74.9±10.7, 68.5±13.8kg)의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원하는 체중에 대한 질문에, 남학생들은 집단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여학생들은 저체중일수록 낮은 체중을 원했다. (Chi-square, p<.05). 또한 이상체중군의 남학생들은 체중은 늘이기를 원하는 반면, 이상체중군의 여학생들은 체중을 줄이기를 원했다. 남학생 과체중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신체불만족도(BDI)가 높았고(p<.05), 여학생은 체중이 증가할수록 BDI가 높았다(p<.05). 체형만족도와 체형등급인지도는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불만족의 사례가 많았다. 대부분의 설문대상자들은 운동과 다이어트가 체중조절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고 있었다. 집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제로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는 여학생의 비율은 낮았다. 다이어트를 경험한 과체중의 여학생은 76%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학생들은 자신의 체중에 대해 적절한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여중고생들은 자신의 체중이 평균이상이라고 느끼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여학생들은 체중감량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체중조절을 다이어트에만 의존하고 있었으며, 적절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의 병행과 같은 건강한 체중조절을 실행하고 있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body weight perception on desire for weight changes, weight management, and exercise behavior in high school adolescen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1) demographic data, 2) weight perception and body image, 3)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behavior, and 4) diet and eating behavior, was obtained from a total of 1246 (284 boys, 962 girls)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ideal body weight (IBW); under-weight group (UWG, IBW<80%; 40.9±6.6, 51.4±3.1, 40.3±4.4, 44.9±3.5 kg, junior-boy, senior-boy, junior-girl, and senior-girl, respectively), ideal-weight group (IWG, 80%≤IBW<120%; 53.3±l0.4, 62.4±7.9, 49.4±6.4, 52.4±5.6 kg), and over-weight group (OWG, 120%≤IBW; 74.5±13.1, 84.8±7.1, 74.9±10.7, 68.5±13.8 kg). A desired weight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in boys, but it was gradually decreased as weight reduction in girls (Chi-square, p<0.05). While boys in IWG wanted to gain weight, girls in IWG did to lose weight. Boys in OWG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compared to both UWG and IWG, but the more heavier, the more dissatisfied in girls (p<0.05). The self-ratings for their body was diminished as the weight increased. Most respondent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iet and exercise for weight management. The prevalence of participation in a regular exercise was low, especially in girls. The prevalence of diet experience in girls of OWG was 76%. Based on the results, while the high school boys felt reasonably regarding their body weight, most of girls felt they were heavier than the average, subsequently desiring to lose weight. However, they relied on diet to manage weight instead practicing proper strategies such as combination of both diet and exercise.

      • KCI등재

        국제신체활동량질문지(IPAQ)를 이용한 과체중 중년 주부들의 신체활동량 추정 및 신뢰도 평가

        이대택(Dae-Taek Lee),서용석(Yong-Seok Seo),손윤선(Youn-Sun Son),문은미(Eun-Mi Moon),진유정(You-Jung Jin) 한국생활환경학회 2007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4 No.1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was evaluated to confirm whether the instrument could be adapted to Korean middle aged women. 203 women (48.l±10.5 yrs, 154.5±16.2 ㎝, 59.3±9.6 ㎏) responded to IPAQ translated as guided and it was re-administered I week after the first test. The test-retest physical activity level of this population were 4,599±6,161 and 4,444±5,825 MET-min/week, respectively (P>0.05).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ly significant as Kappa, 0.462; Spearman, 0.566; and Pearson, 0.562 (P<0.05). When thre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pattern (inactive, minimally active, 'HEPA active' was analyzed, those who 'minimally active' and 'HEPA active' were heavily relied on the activity intensities of both 'walking' and 'vigorous intensity'. In conclusion, IPAQ was reliable for this population. However, the average physical activity level was higher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was also higher than previous reports. It may have to be careful to administer IPAQ for this particular population.

      • KCI등재

        더위에서 지구성 운동 후 척추 부위의 부분 냉각이 체온, 심박수 변이 및 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이대택(Dae-Taek Lee),이기광(Ki-kwang Lee),황봉연(Bong-Yeon Hwang) 한국생활환경학회 2013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0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inal cord partial surface cooling on body temperature, heart rate variability and peripheral blood flow following endurance exercise in the heat and to examine whether this influence was the change of blood fatigue factors. Eleven healthy men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both normal recovery(NR) and cooling recovery(CR) following bicycle exercise. After 10 min of rest at supine position they exercised on a bicycle ergometer at 50 ~ 55% VO2max for 48(± 6) min in a hot environment(36 ~ 37℃). We measured core (Tc) and mean skin (Tsk) temperature, the heart rate variability indices[very low frequency (VLF),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and LF/HF] and skin blood flow of toe at 10 min prior to bicycle exercise and every 5 min during 30 min of recovery. Two-way repeated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main effect (time, condition) and interactions (time × condition) for all dependent variables. Analysis of varian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 Tsk, and HRV indices between NR and CR. Blood flow increased until 30 min recovery in NR, and 15 min recovery afterward it was not increased anymore in C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nly observed for lactate between NR and CR (p < .01). Prolact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R and CR. The spinal cord partial surface cooling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body temperature and skin blood flow during recovery. There are no interaction in heart rate variability indices between conditions. It seems that changes of VLF power are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than thermoregulation and skin blood flow during recovery.

      • 환경조건 변화와 경기력영양학

        이대택 ( Lee¸ Dae-taek ) 대한운동사협회 2011 대한운동사협회 운동사대회자료집 Vol.2011 No.-

        이 총론은 선수들이 훈련과 시합에게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자연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영양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특히 더위와 추위 고지와 시차변화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생리적 현상에 근거하여, 육체적 컨디션과 경기력이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그에 따라 위축되는 선수들의 기량과 경기력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지를 영양학적 측면에서 모색하고 있다. 더위에서 체수분의 감소와 에너지원의 고갈 그리고 육체적 노력의 시간이 지속되면서 수분과 탄수화물을 어떻게 공급할 것인가에 대해 기술한다. 추위에서 추가적인 에너지소비 그리고 체수분의 감소에 대응한 전략을 제시한다. 고지와 시차변화에서도 체수분의 변화는 주요한 생리적 현상으로 이해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The study reviews nutritional strategies for those who frequently encount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the training sessions and competitions and suggests strategies against the challenges. Based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during the exposure of heat, cold, altitude and/or time zone differences,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physical conditions and athlete's performance. And nutritional aspect to maintain against reduced physical capacity and performance was also evaluated. Hypohydration and energy depletion during the exercise in heat were described and the interventions for supplying body fluid and carbohydrate during a prolonged exertion were introduced. Additional energy cost and dehydration to cold exposure was explained and appropriate strategies were suggested. Changes of body fluid balance during altitude exposure and time zone differences were comm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trategies for maintaining physical capacity were provided.

      • KCI등재

        한 팔의 등척성 운동 시 신체자세 변위에 따른 혈류동태의 반응

        이대택 ( Dae Taek Lee ),이운용 ( Woon Yong Lee ),배윤정 ( Yoon Jung Ba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2

        세 유형(않은자세, SE; 누운자세, SU, 머리 6° 하향자세, HD)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한 팔만이 등척성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하는 팔과 운동하지 않는 팔의 혈류동태가 각각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12명(27±2 yrs, 173.6±5.0 cm, 72.6±11.7 kg)의 피험자가 각각 세 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들은 각 실험에서 세 자세 중의 한 자세를 유지하였고, 각 자세마다의 실험은 세(안정 10분, 운동 9분, 회복 5분)단계로 구성되었다. 운동 단계에서 피험자들은 세 단계의 점진적 부하(1RM; 16.5±1.7 kg의 20%, 30%, 40%에 해당하는)를 오른손으로 잡고 오른팔로 등척성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왼팔은 충분한 안정을 취하였다. 실험시간 동안 심박수(HR)와 산소섭취량은 계속적으로 측정되었고, 혈액샘플은 모두 5회에 거쳐(안정단계, 각 운동부하단계, 그리고 회복단계의 마지막 30초 동안) 두 팔의 전완정맥에서 동시에 수집되었다. 혈액샘플은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젖산, 글루코스, 총단백질량, 그리고 삼투압농도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안정과 회복단계에서 HR은 SU와 HD에서보다 SE에서 높게 유지되었다(P < 0.05). 안정시에 비해 운동 중에 HR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지만, SE에서는 40% 1RM에서 그리고 SU와 HD에서는 30% 1RM 이상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산소섭취량은 SU와 HD에 비해 SE에서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40% 1RM으로 운동할 때만이 모든 자세에서 안정시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05). 오른팔의 젖산수치는 HD 자세에서 40% 1RM으로 운동할 때와 회복할 때, 안정 시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으며, 이는 SE와 비교하여서도 높은 수치였다(P < 0.05). 왼팔의 글루코스와 젖산수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른팔의 혈장량(PV)은 40% 1RM으로 운동할 때, SE(-5.0±3.5%)와 HD(-4.8±4.0%)에서 각각 안정시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왼팔에 비해서도 낮은 수치였다(P < 0.05). 왼팔에서는 PV나 어떠한 혈액변인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자세와 등척성운동 강도가 운동하는 근육과 그렇지 않은 근육군의 혈류동태반응을 수정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아마도, 양팔간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근육내의 혈관공간과 피부혈류관 사이에 혈류배분배가 일어나기 때문일 것이다. To examine whether hemodynamic responses in exercising and non-exercising arms may vary during single arm isometric contraction while maintaining three body postures (seated: SE, supine: Su, or 6˚ head down tilt: HD), 12 healthy normotensive men (27±2 yrs, 173.6±5.0 cm, 72.6±11.7 kg) underwent three testing sessions. During each session, subjects maintained one of the three body postures. Each session consisted of three phases; resting, exercise, and recovery for 10, 9, and 5 min, respectively. During exercise, subjects held an incremental weight load of 20, 30, and 40% of their pre-determined 1 repetition maximum (1RM; 16.5±1.7 kg) for 3 min each using their right arm, while the left arm was comfortably relaxed. Heart rate (HR) and oxygen consumption (VO2) were continuously monitored throughout the session. Blood samples were drawn at five time points from an antecubital vein in each arm simultaneously: during the final 30 sec of resting, of the three exercise workloads, and of recovery, and analyzed for hematocrit, hemoglobin, lactate, glucose, total protein, and serum osmolarity. During resting and recovery, HR in SE was higher than SU and HD (p < .05). From resting, HR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exercise, but it was only significant at 40% 1RM in SE and from 30% 1RM in SU and HD. VO2 in SE was higher than in SU and HD throughout the session (p < .05). VO2 during 40% 1RM was higher than resting in all postures (p < .05). For the right arm, lactate levels at 40% 1RM and recovery in HD were higher compared to resting (p < .05) and SE (p < .05). No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left arm for glucose and lactate levels. Plasma volume (PV)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40% 1RM in SE (-5.0±3.5%) and HD (-4.8±4.0%) compared with resting and the left arm (p < .05). No differences for PV change in the left arm, and for other blood parameters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posture and isometric work intensity modified hemodynamic responses in exercising and non-exercising arm muscles, possibly indicating redistribution of blood flow between not only the two arms but also between the intramuscular vascular space and the cutaneous cir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