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연방헌법의 수직(연방주의)과 수평(권력분립)의 원칙

        이금옥(Lee Keum-Ok) 한국비교공법학회 2007 공법학연구 Vol.8 No.4

        미연방헌법은 통치권력의 조직원리로서 연방주의와 권력분립의 원칙에 입각하고 있다. 이로써 통치권력을 한편으로는 연방정부와 주정부 사이에 ‘수직’적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입법권ㆍ행정권ㆍ사법권 등으로 ‘수평’적으로 분리시켰다. 이렇듯 미연헌법상 수직과 수평의 원칙은 연방국가의 특성에서 유래하는 연방정부와 주정부 사이에 수직적으로 분할ㆍ견제케 하는 동시에 연방 3부 간 즉, 입법권ㆍ행정권ㆍ사법권 등으로 수평적으로 분리시켜 국가기관 상호간에 권력을 분산ㆍ견제케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연방헌법은 수직과 수평의 원칙의 교차를 통한 견제와 균형이라는 이중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엄격한 입법ㆍ행정ㆍ사법의 분리와 독립에 의한 균형정부의 형성을 지향하고 있다. 오늘날 입헌주의는 ‘강력하지만 제한된’ 정부를 요구하고 있는데 미연방헌법상 수직과 수평의 원칙은 상호 교차를 통해 이 상반된 요구-강력성과 제한성-를 동시에 충족시키고 있다. 더욱이 현대적 과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당초 수직과 수평의 원칙은 정당간의 권력분산, 공직자간의 효과적인 경쟁, 강력한 언론과 여론의 존재, 권력균형의 정치적 기술, 연방대법원의 위헌심사제 등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미국적 민주주의를 개화케 하고 있다. Being the results of the extension of experiences of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ism features the core of vertical separation of powers through division and check of the governmental power between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state governments and of inability of change of the power only with either ends. It is interpreted as a principle of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for decentralization of the governmental power between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state governments and achievement of the control of the power between the both parties. Recently, the strict organizational and the functional division has incrementally been transformed to the cooperative federalism (neo federalism). The separation of powers in America employs decentralization and check of powers between the institutions of the country to restrict the use and prevention of abuse of the powers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rights, the utmost goal of constitutionalism, through 'vertical' division and check between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state government as well as those of 'horizontal' between the legislature, the executive and judicial power. Sometimes the Constitution's vertical (federalism) and horizontal (separation of Powers) architectural principles intersect.

      • KCI등재

        탈 농촌화 지역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사회적 자본

        이금옥(Geum Ok Lee) 한국농촌지도학회 2001 농촌지도와 개발 Vol.8 No.2

        The community consciousness used to be the core of the social capital in rural Korea, and there used to be a long tradition of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in rural village community in Korea. However, recent trends in rapid urbanization or de-ruralization may affecte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ocial capital in rural society in Korea. The social capital has been existed in terms of mutual trust, commonly shared norms, and cooperative behavior in farm work and daily life of rural people. Commonly shared norms and networks have accelerated social effectiveness and promoted cooperative work as well as moral and spirirual aspects of rural society. Social capital in terms of community consciousness, participation of village work, visit and invitation of the neighborhood, and participation in various village group and networkd were suveyed in JanggogRi, Jori Myu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ed from 65 persons, an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de-rural area decreased in general with a few exception in the groups of alumni, family, religion and voluntary socisty. Social cpital in terms of participation of village work, visiting the neighbors and voting increased slightly. Further research on social capital should be conducted to strenth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various measures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should be adopted for livable community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인권침해로서 가정폭력에 대한 미국에서의 논의

        이금옥(Lee Keum-Ok) 한국헌법학회 2006 憲法學硏究 Vol.12 No.5

          최근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정폭력은 그 사회의 폭력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폭력학습의 장이 되어 폭력의 재생산과 악순환을 낳고 있다. 그리고 가정폭력은 개인의 인권을 유린하는 여러 가지의 개인적·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는 가정 및 사회의 병리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BR>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인권침해"로서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 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그 실태 및 원인의 규명과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안 마련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우리와 비교하여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가정폭력의 문제를 인권침해로서 사회적·법적으로 다루어 온 미국에서의 논의를 비교법적 견지에서 검토해 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BR>  이를 토대로 가정폭력의 근절과 피해자의 인권보호의 구현을 위해 가족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인권 중심의 개인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에 대한 법률지원 체계로서 보호명령, 경찰의 최우선적 대응절차, 대체주소 등 가정폭력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입가능한 방안이라고 본다. 특히 가정폭력을 인권침해로서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와 의식의 전환이 필수적인 만큼, 우리사회의 올바른 인식전환과 가치관 확산에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Recently domestic violence has increased drastically and it is not only reflecting violence of the society but also causing reproduction and a vicious circle as an education ground of force at home. However, compared with its seriousness, the policy countermeasures which have been taken to find out realities and causes and to deal with problems are still unsatisfactory. Therefore, through comparative review, needs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in relation to realities and measures against domestic violence as a human right have been raised.<BR>  This research is conducted this way as follows. First, compare the actual condi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dynamic structure with social characteristic. Second, weigh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against domestic abuse comprehensively. Third, from these, dra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amily violence and explore legal and systematic measures for its prevention in multilateral ways tailored to our society"s culture and peculiarities.<BR>  Through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reflect by both making right perceptional changes toward domestic violence and diagnosing prevalence of values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hich cause domestic abuse related crimes for fostering equal family culture and policymaking.<BR>  As a human right it is also possible to activate legal, institutional approach and discussion about domestic abuse while using and making long-term preventive strategies, as a result we can fully guarante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victim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탄력성 -(유아,가족,지역사회)에 관한 인식 연구

        이금옥 ( Geum Ok Lee ),송연숙 ( Yeon Sook Song ),김영주 ( Yeong Ju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탄력성, 가족의 탄력성, 지역사회의 탄력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나아가 이 세 가지 탄력성(유아, 가족, 지역사회) 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U와 B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 어머니들이 유아의 탄력성, 가족의 탄력성, 지역사회의 탄력성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유아의 탄력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와 어려울 때 기꺼이 도우려는 자기 주도적인 특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둘째 가족의 탄력성에 대해서는 가족원의 지지와 사랑, 가족원간의 믿음과 부모자녀간의 돈독한 애정 즉 가족의 응집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사회의 탄력성으로는 어려움에 처한 지역주민을 위한 지원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어 필요시 언제든지 지원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일반적 변인 중 학력만이 공통적으로 유아의 탄력성, 가족의 탄력성, 지역사회의 탄력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가져왔으며 다섯째, 이 세 가지 탄력성(유아, 가족, 지역사회)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상호 유기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s resilience, family`s resilience and community`s resilience and there are any differences,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resilience of family and resilience of community. In this study, 25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located in Ulsan and Busan area were subjected to questionnaire survey. To measure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family, community, The questionnaires(2010) survey developed by researchers in this study were used.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multiple answer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factor analysis by using SPS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with young children recognized optimism and positiveness as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Second, mothers recognized family cohesion and role stability as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family. Third, mothers recognized community service and support system as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family and community in only mother`s education level. Fifth, mothers recognized illustrates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among them,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resilience of family.

      • 생명과 인권 그리고 사형제도

        이금옥(Lee, Keum-Ok) 한국국가법학회 2009 공법논총 Vol.5 No.1

        Discusses a capital punishment system to be, the life and human rights change are one value which is not. And today direction of a ceremony the which time the proper recognition is demanded more about value of dignity and life of the human being. Also this writing is developed until now and with attitude of essence and judicial precedent criticizing leads tries about capital punishment system and right to life to investigate the whether to be unconstitutionality, the reporter to present the plan which is concrete for the abolition of capital punishment system does. From this cause as the punishment system the capital punishment will be able to respect a life and a human rights the reporter the ideal and the real to grope the harmonize junction does. Abolishes a capital punishment immediately, some day must be abolished necessary because difficult to adopt the plan which is phased with aim. Sentences the absolute life imprisonment which is not parole to between capital punishment and life sentence, the duration when is fixed elapses and regrets and according to degree to operate a relative life imprisonment elastically. When and the social atmosphere matures more, special legal establishment by law to lead and is a strategy whose is actual to go out with the direction of perfection abolition.

      • KCI등재

        현행 헌법의 제왕적 대통령제와 권력구조 개편 방안

        이금옥(Keum-Ok Lee) 한국헌법학회 2018 憲法學硏究 Vol.24 No.3

        우리나라 대통령제는 지속적으로 그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우리 정치 문화적 토양에 적응하며 진화하고 발전해 왔다. 그러나 대통령 1인에게 과도한 권력의 집중으로 ‘제왕적 대통령제’로 변질되어 그 폐해가 드러난 바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통령의 권한을 합리적으로 축소조종하고 실질적인 민주적 통제를 강화시키는데 방점을 두면서, 우리 정치문화에 부합하는 권력구조로의 개편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향후 개헌 논의에 있어서 주요 기준점이 될 대통령 개헌안 중 권력구조와 관련된 구체적인 쟁점사항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검토해 보았다. 우리 헌정사에서는 단 한번도 순수한 형태의 대통령제를 시행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미국의 대통령제를 통하여 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국민이 직접 정부선택권을 갖는 현행 대통령제를 유지하면서 보다 엄격한 권력분립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고 우리 현실에 적합한 내용을 담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방안으로 대통령 4년 중임제, 정 부통령 러닝메이트제 도입, 국무총리제 폐지, 국회의원의 장관겸직 금지, 정부의 법률안제출권 폐지, 국회의 재정통 제권의 강화, 헌법개정 국민발안제 도입 등을 제시해 보았다. 그러나 어느 권력구조나 정치제도이든 모두 그 제도적 장단점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본 바와 같다. 따라서 ‘제도’ 그 자체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이를 운영하는 ‘사람’의 문제가 더 중요할 수 있다. 우리의 정치적 현실에서 “모든 문제의 출발은 대통령이고, 그 귀결도 대통령”이라는 함의를 결코 간과할 수 없다고 본다. 이제 헌법규범을 대통령 중심의 우월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서 민주적 권력구조로의 개편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할 때이다. The Korean presidential system continuously evolves and adapts to our political and cultural soil while improving the problem.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excessive power to the president has been transformed turned into a ‘imperial presidential system’ and the harmful effects has been reveal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we discussed ways to restructure the power structure in line with our political culture, focusing on rational curtailment of the president s powers and strengthening actual democratic control. In this context, we compared specific issues related to the power structure among the presidential constitutional amendment, which will be the main reference in the discussing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future. Since we have never experienced a pure form of presidential system in our constitutional history, we wanted to get that suggestion through the U.S. presidential system.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urrent presidential system in which the people have the right to choose the government, to reduce the power of the president through a more strict separation of powers, and to provide contents suitable for our reality. These reforms included the adoption of the four-year presidential term-limitation, the adoption of the president and vice-president’s running mate system, the abolition of the prime minister’s system, the abolition of the right to submit a bill to the government, the strengthening of the fiscal control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constitutional amendment bill. However, we have seen that any power structure or political system has its institutional strengths and weaknesses. Therefore, improvement of the ‘system’ itself is important, but more importantly, the problem of ‘people’ who operate it may be more important. In our political reality, we can never overlook the implications of “the beginning of every problem is the President, and the consequences are the President.” Now it is time to seriously seek ways to revolve the constitutional norm into a democratic power structure by escaping the framework of presidential-centered think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국에 있어서 대통령 사면권의 운용실태

        이금옥(Lee Keum-Ok) 한국헌법학회 2006 憲法學硏究 Vol.12 No.1

          미연방헌법상 사면권은 보통법에서 연원하여 헌법제정회의를 통해 배타적이고 광범위한 재량권으로 명문화되었다. 그러나 사면권에 관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기준, 대상, 범위 등은 판례법을 통하여 형성되고 확립된 경험적 유산으로서 오늘날 미국의 법체계에 확고히 자리 잡아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면은 고도로 집중된 권력작용에서 비롯된 본질적 특성상 미국에서도 그 남용으로 인해 종종 논란의 여지가 있어왔다. 그러나 무분별 무원칙적인 사면보다는 사회이익과 공공이익을 반영한 사면이 더 많았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치적 의식에 따른 자기통제가 이루어온 점, 자유로운 언론에 의한 "권력통제적 기능"의 수행, 국민들의 헌법의식과 자유와 인권에 대한 자각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그리고 전제정치를 방지하기 위해 권력을 창조해 온 것이 아니라 "견제와 균형"으로서 권력을 한정하고 제한해 온 역사적 체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입헌민주주의 국가에서 대통령의 사면권은 더 이상 무제한적인 국가원수의 특권으로서 공정하고 공평한 법 적용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사면법에 대한 입법적 정비가 시도되고 있어, 그 제도개선을 위해 "한국에의 수용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미연방헌법의 사면조항처럼 우리 헌법 개정시에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사면배제조항"과 "국회의 동의"를 요하는 조항을 두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그리고 사면법개정방안에 "사면심사위원회제도", "사면청원제도", "사면경과기간제한제도" 등의 도입도 절실히 요구된다. 그리고 헌법재판소가 판례의 적극적인 해석을 통해 사면권 행사와 합리적 제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견제하는 전통을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제 우리 정부(법무부)는 사면법 개정을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국회는 이를 공론화하고 국민의 중지를 모아, 합헌적 차원에서 견제와 제한의 제도적 장치를 입법화하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본다.   Today, The pardoning power of the president cannot be escaped from the unbiased and righteous applications of law as a limitless prestige of a ruler in constitutional democratic nation. However, the pardoning system of this country has not been under control, which has been administered by neither consideration nor principle at the mercy of the needs of precedented regimes of this country. Due to the problems of law realities that current pardoning system is holding.   Therefore, as we are following the presidential system of US, we accordingly indispensably feel the need to research into the current operation of the pardoning power of the president, in the middle of carrying out the legislative reformation of the current pardoning law. Via the case of the federal supreme court we look into the rational barometer in order to check and constrain the pardoning right, provide the fundamental fram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ardoning right in this country so we can anticipate the theoretical base and the possible adoption for the authentic system reformation at the time of correction.   The needs for the legislation such as institutionalization of amnesty commission, pardon object restriction based on a pardon elimination regulation, opinion hearing and an opinion statement of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a progress period restriction and notice system of pardon, an advance notice system and a formal objection system of pardon etc, have been proposed to restrict a pardoning power. Through discussion of this view point, the rightfulness of its revision should be drawn meaning a reflection and I want to urge prompt revision within the constitutionalism and from the point of a valid system which the people can be sympathetic with.

      • KCI등재

        혼인과 가족에 관한 권리와 가정폭력

        이금옥(Lee Keum-Ok) 한국비교공법학회 2010 공법학연구 Vol.11 No.2

        우리 헌법은 사회통합의 기초적인 단위로서의 혼인 내지 가족생활과 같은 사적인 영역에서부터 사회통합의 문명적인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혼인과 가족에 관한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폭력으로 인해 우리 헌법이 추구하는 사회통합의 기초적 단위인 가정에서부터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자신의 신체와 생명을 지킬 권리 등 인간의 기본적 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다. 따라서 가정폭력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도 가정사도 아닌 사회문제라는 인식을 갖기에 이르렀고, 이제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기본권 침해의 문제로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럼에도 우리 헌법은 혼인과 가족생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정폭력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제대로 반영하지도 못하고, 헌법적 차원의 논의에서 비켜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사회통합의 질서를 강조하는 헌법적 견지에서 혼인과 가족에 관한 권리와 가정폭력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해 보고(Ⅰ), 가정폭력은 혼인과 가족생활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헌법상 혼인?가족제도와 가정폭력’의 문제를 검토해본다(Ⅱ). 그리고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가정폭력의 실태와 그에 대응한 기본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Ⅲ), 가족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상충하며 상존하는 ‘가정폭력과 국가 그리고 기본권보호방안’을 도출해 본다(Ⅳ). 이를 통하여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한 인식전환과 ‘인간다운 삶을 살 권리로’의 가치관을 환기시킨다(Ⅴ). Our constitution, as fundamental unit of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prepare civilizational crux of social integration from the same private domain as marriage or family life is guaranteeing the right on marriage and family. But by domestic violence and from the family which is a social integrated fundamental unit which our constitution pursues equality of both sexes and individual dignity, the right to free from violence, the rights etc. to defend the body and a life of oneself, the basic right of the human being seriously, infringement is receiving Consequently, the domestic violence reaches any more to having the recognition which is a social problem where also the problem of the individual is not the family problem, as problem of the fundamental right infringement any more will not be able to look away recently the necessity which will approach is proposed. And yet, our constitution occurs frequently from marriage and family life, does not reflect well the social problem which is a domestic violence, was stepping aside from discussion of constitutional level. From this critical mind, this paper trie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discussion on the right on the marriage and family and domestic violence from constitutional aspect which emphasizes a social integrated order(Ⅰ). The domestic violence occurs mainly from marriage and family life, try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constitutional marriage?family system and domestic violence'(Ⅱ). And tries to observe 'the actual condi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contents of the fundamental right which confronts in it' which occurs universally concretely(Ⅲ). Caused by with the peculiarity which is a family and which conflicts and coexists 'domestic violence and the nation and a fundamental right protective plan' leads(Ⅳ). This leads and prevent a domestic violence and exterminates awakening makes, the sense of value of the recognition conversion for and with the right which will live worthy life of human beings(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