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학자료 관리를 위한 메타소프트웨어 구성에 관한 연구

        윤현철(Yoon HyunChul),류성열(Rhew SungYul),정기원(Chong KiWon)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환경에서 다루어지며 공학적으로 취급되는 자료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 구조적 개발 방법론을 따르는 사용자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인 메티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 소프트웨어에서의 공학자료인 대상 도구들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메타데이타의 형태로 정의함으로써 소프트웨어를 개발에서 유지보수 단계까지 개발자와 사용자간에 공통적이 언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COMES이라는 메카니즘을 구성하고, 기존의 개발과정에서 시스템 관리 및 응용에 대한 문제점을 공학적인 자료 모델을 기초로 해결하여 공학자료의 정립과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지원하는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해체주의 디자인과 미셀 공드리 작품의 미학적 특성

        윤현철(Yoon, Hyunch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뮤직비디오는 시각과 청각적 요소를 결합하여 음반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광고형식의 비디오클립이며 그 자체로 상품성을 가진 하나의 작품이기도 하다. 뮤직비디오는 어원적으로 볼 때 보고 즐기는 음악, 즉 ‘감성의 시각화’라는 의미를 가지며 동시에 ‘시각적 유희성’을 내포한다. 따라서 표현된 내용뿐만 아니라 형식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의 시각적 표현형식으로서 해체주의 디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해체주의 디자인의 조형원리를 탐색하였다. 해체론은 기존의 구조를 불안정한 상태로 만들면서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는 작업이며, ‘서사구조의 파괴’, ‘새로운 시공간 창조’, ‘정보의 불연속성’ 등 전위적인 뉴미디어의 형식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데리다의 해체이론을 토대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해체주의 디자인의 조형원리는 산종(분리와 파편화), 이접(변형과 변위), 여백(탈그리드와 비정형), 흔적(반복과 복제), 중첩(콜라주와 레이어링)으로 파악되었다. 이 원리는 해체주의 이론의 내적의미를 디자인 형식으로 구체화하거나 분석 할 수 있는 실천적인 기준이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미셀 공드리의 뮤직비디오 작품을 분석하여 시간과 공간, 형식과 주제, 실존과 허구가 해체의 형식을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실증 분석할 수 있었다. Music video is a video clip in a type of advertisement format to promote sales of albums by combining visual and acoustic factors, which is a work that has marketability by itself. Music video has the meaning of a music to enjoy by visual, i.e. ‘visualization of sensitivity’, at the same time, includes ‘visual amusement’. Therefore, the matter of form, besides the expressed content, must be treated importantly. This study analyzed deconstruction design as a visual expression form of music video and investigated moulding principle of concrete deconstruction design on that basis on it. Because deconstruction is a work to build a new form by making the existing structure to be unstable state, and is a concept that can best explain avant-garde style, e.g. ‘destruction of narrative structure’, ‘creation of new space time’, ‘discontinuity of information’, etc. As the result of analyzing literature research and preceding research based on deconstruction, moulding principle of deconstruction design was apprehended as dissemination (separation, fragmentation), disjunction (transformation, displacement), blank (de-grid, atypical), trace (repetition, duplication), and overlapping (collage, layering). This study, based on this, could do analysis of actual proof that time and space, form and subject, and existence and fiction are expressed through the form of deconstruction by analyzing Gondry"s works.

      • 삼원법과 탈원근법을 통한 증강현실의 미학적 특성 연구

        윤현철(Yoon, Hyunch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증강현실은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계로 이분화 되었던 현실과 가상이미지를 결합시켜 정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3차원의 확장된 공감각적 몰입과 실재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자는 증강현실이 구조적으로는 산수화의 삼원법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조형적으로는 탈원근법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 이를 토대로 증강현실의 매체적 특성과 그 미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산수화의 삼원법과 와유사상, 그리고 근대 회화의 탈원근법에 관한 문헌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증강현실의 다중구조, 현존감 그리고 투명성에 관한 미학적 특성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증강현실의 미학적 특성은 구조적으로 삼원법의 고원, 심원, 평원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각각 웅장함, 깊음, 넓음의 시점을 현실이미지, 증강이미지, 통제이미지에 적절히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증강현실의 현존감은 현실과 가상,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의 경계에서 ‘진동 몰입’을 체험하게 하는 ‘잠재 현존감’이라고 정의할 수 있었다. 끝으로 탈원근법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모바일 증강현실은 근대 회화에 나타난 동시성과 투명성의 원리를 모두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시를 통한 ‘심리적 투명성’까지 포함하여 공간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augmented reality was said to combine not only reality but also virtual images by digital media that were divided into analog world and digital world, and to provide users with three dimensional synesthetic commitment and presence. The author thought that augmented reality had three not only distances of the landscape in structure but also de-perspective in form, and investigated not only media but also aesthetics of the augmented real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distances and Wayu though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tructure, presence and transparency of the augmented reality based on literature study on de-presence of modern painting. The findings wer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ugmented reality had high land, deep land and flat land of the three distances to reflect images of the reality, augment and control of grandness, depth and spacious. And, presence of the augmented reality was said to be "potential presence" that experienced "vibration commitment" at border between reality and virtual, and between non-media and hyper media. Mobile augmented reality made use of principle of simultaneousness and transparency of modern painting from point of view of de-perspective, and it included "psychological transparency" through optical illusion to expand scope of the space.

      • 인포트래픽의 스토리텔링과 수사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윤현철(Yoon, Hyunch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3 No.-

        인포그래픽(infographics)은 복작한 데이터를 의미 있는 정보로 형상화하고 이를 단순 명료하게 표현함으로써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정보의 시각화’라는 개념을 넘어 기억시간을 연장하고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감성적 시각화’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에서 감성적 측면을 강화하여 정보 이용자의 태도나 ‘수사학적 표현’에서 찾아보았다. 스토리텔링은 익숙한 비유의 이야기를 통해 정보 이용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수사학적 표현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정보의 효율성을 높이는 설득의 기술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정보의 조직화’에 적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방법에 관해 논하였으며. ‘정보의 시각화’에 사용된 수사학적 표현에 대해 사례분석 하였다. 또한 메시지 유형과 시각적 수사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정보형 메시지와 설득형 메시지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표현의 특징에 대해 실증연구를 하였다. 인포그래픽에서 스토리텔링은 이야기 진행을 위한 ‘시선의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면에 배치되는 정보의 조직화 정도에 따라 ‘선택적 스토리텔링’, ‘암시적 스토리텔링’, ‘명시적 스토리텔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강조법’, ‘비유법’, ‘변화법’으로 구분되는 수사학적 표현은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는 정보형 메시지보다 흥미적 표현이 요구되는 설득형 메시지에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특히 강조법은 메시지의 유형에 상관없이 두드러지게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fographic delivers complex data easily, quickly and accurately by embodying them as meaningful information and by expressing them in a clear and simple manner. Beyond the simpl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it includes the emotional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to lengthen the duration of memory and improve the communication effect. In this study, the methodology for inducing the changes in the information user’s attitude and behavior by strengthening the emotional aspect in the infographic was found from the ‘storytelling’ and ‘rhetoric expression’. Storytelling induces the information users to immersed in the contents via familiar figures of speech and stories, and rhetoric expression is a persuasive skill that arouses the user’s interest and improves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In the infographic, storytelling designs the ‘movement of the eye line’ to make the story progress. Therefore, the storytelling was divided into ‘selective’, ‘implicit’ and ‘explicit’ storytelling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formation systematization placed on the scre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hetoric expressions, which are devided into ‘emphasis’, ‘figure of speech’ and ‘transformation’, are more frequently used for persuasion-type messages that need interesting expressions than for information-type messages that deliver objective facts, and that the emphasis is used in many cases regardless of the messages type.

      • 색과 패턴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윤현철(Yoon, Hyunch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영화 속 색과 패턴문양은 심리적 감정뿐 만 아니라 영화의 문맥을 통해 상징적 의미를 전달한다. 색은 개개인의 경험과 소속된 집단에 따라 어느 정도 보편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감정적인 느낌과 상징적인 의미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반면 패턴문양은 기호의 형이상학적 틀 속에서 다른 기호와 함께 문맥을 통해 종합적으로 해석되어야하는 특성 때문에 심리적 상태와 근원적인 욕망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데 사용된다. 상충되는 색 감정의 중의적 사용은 〈복수 3부작〉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색을 통해 원인과 결과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스토리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복수 3부작〉은 녹색, 보라, 빨강, 흰색을 통해 복수의 이미지를 ‘착한 분노’, ‘슬픈 권력’. ‘유혹과 증오’ 그리고 ‘공허한 속죄’로 다양하게 변주하고 있다. 패턴문양의 경우 주로 크고 화려한 벽지디자인에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색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관적인 읽기가 어려운 문양기호의 속성을 고려하여 각 공간의 상징적 의미를 의도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조형기호로서 원, 점, 사각형, 육각형, 눈결정체, 방사형, 불꽃문양은 각 각 씨앗, 환각, 감금. 신성성, 희망, 트라우마라는 상징적 의미와 연결된다. The colors and patterns in movies transfer not only psychological emotion but also symbolism through the contexts of the movies. Because colors have some universality according to individual experiences and groups the individuals belong to, the colors are used to directly explain emotional feelings and symbolic meanings. On the other hand, because patterns have the characteristics to be generally interpreted through contexts along with other signs in the metaphysical frame of the signs, they are used to indirectly reveal physical conditions and original desires. Double use of contradictious color emotions is remarkably revealed specially in 〈Vengeance Trillogy〉 and intuitive recognition of reasons and results through colors help understand the structures of stories. 〈Vengeance Trillogy〉 variates the images of revenge into ‘good rage’, ‘sad power’, ‘temptation and hared’ and ‘empty atonement’ through green, violet. red and white. When it comes to patterns, they are mainly used for large and splendorous wallpaper design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has the intentional purpose to emphasize the symbolic meanings of each space considering the property of intuitively illegible pattern signs which are relatively difficult compared to colors. As formative signs, circle, dot. square, hexagon, snow crystal, radial type, flame patterns are connected to such as seed, illusion. confinement, divinity, hope and trauma respectively.

      • KCI등재

        영상통화 TV광고에 나타난 자아정체성 표현연구

        윤현철(Yoon Hyunchul)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라캉의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TV광고에 나타나는 주체의 자아정체성을 분석한 것이다. 즉 합리적이고 순수한 데카르트적'절대주체'로 상징되는 모더니즘의 주체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사회문화 속에서 어떻게 파편화되어'분열된 주체'로 나타나는지 파악한 것이다. 연구를 위한 담론적 사례로 SK텔레콤의 영상통화 TV광고 시리즈를 삼았다. 그것은 주체의 자아발달 핵심기제인'동일시'가 마치 거울단계의 유아처럼 새롭게 등장한 모바일 영상통화 사용행태에서 명백히 드러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라캉의'응 시' 이론을 토대로 영상통화 TV광고에서 주체가 어떻게 호명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주체의 내포적 의미를 바르트의'의미작용모델'과 까이와의'미미크리' 그리고 조안 리비에르의'마스커레이드'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13편의 TV광고는 나르시시즘 욕망 상징적 질서 시선과 응시 그리고 실재계 속에서 분열된 주체를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sed self-identity of subjects in TV commercials on the base of self-identity of Lacan. That is to say it consulted how the subjects of modernism which is the symbol of rational and pure Cartesian 'solitary self' are fragmented and appear as 'split self' in social culture of post modernism. I took 'video phone TV commercials series' of SK telecom as the discourse case for the study. Because I thought that 'identification' the subject's core mechanism of self-development is clearly manifested in the usage of newly developed mobile video phone as the infant in mirror stage. For this I analysed appellation of the subjects in video phone TV commercials on the base of the theory of Lacan's 'gaze'. And also I reviewed the connotation of subjects with the concepts of 'signification model' of Barth 'mimicry' of Roger Caillois and 'masquerade' of Joan Riviere. Through this research I could confirm that 13 TV commercials expressed 'split self' with 'narcissism' 'symbolic order' 'eye and gaze' and 'the real'.

      • KCI등재

        일반화접미사배열을 이용한 선형시간 최장공통비상위문자열 알고리즘

        조석현(Sukhyeun Cho),윤현철(Hyunchul Yoon),나중채(Joong Chae Na),심정섭(Jeong Seop S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8 No.5

        상수크기의 알파벳 Σ에 대해 정의된 문자열 집합 F가 주어질 때, 주어진 문자열 집합 F 내의 어떤 문자열도 포함하지 않는 문자열을 F에 대한 공통비상위문자열이라 하고 공통비상위문자열 중에서 가장 긴 유한길이의 문자열을 최장공통비상위문자열이라 한다. 접미사 그래프 모델 또는 접두사 그래프 모델을 이용하여 F 내의 모든 문자열들의 길이의 합에 대해 선형시간에 최장공통비상위문자열을 찾는 알고리즘들이 최근 제시되었다. 이중 접미사 그래프 모델을 이용하는 알고리즘은 일반화접미사트리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접미사배열을 이용하여 접미사 그래프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최장공통비상위문자열을 찾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기존의 두 알고리즘들과 새로이 제시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성능을 실험한 결과를 제시한다. Given a set F of strings over constant size alphabet Σ, the common nonsuperstring of F is a string that is not a superstring of any string in F. Among the common nonsuperstrings of F, the longest one with finite length is the longest common nonsuperstring of F. Recently, two O(??F??)-time algorithms for finding the longest common nonsuperstring were proposed where ??F??denotes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strings in F. One algorithm was based on the suffix graph model and the other was based on the prefix graph model. Especially, the former algorithm used generalized suffix trees to construct the suffix graph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nother linear-time algorithm based on suffix graph model. Our algorithm uses generalized suffix arrays to construct the suffix graph model. Also, we propose some experimental results to show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 알츠하이머 질환에서 뉴럴네트워크와 비음수 행렬 분해로 추출한 PET아밀로이드 침착패턴 비교 분석

        최명원(Myungwon Choi),정병창(ByeongChang Jeong),김지훈(Jeehoon Kim),노민규(Mingyu No),윤현철(HyunChul Yoon),정현강(Hyun-Ghang Jeong),한철(Cheol E. Han) 대한전자공학회 2019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6

        The deposition of amyloid β protein is a hallmark of the Alzheimer’s disease, which may lead neuronal cell death, resulting in cognitive deficit. In this study, using the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with non-negative weight constraints, we extracted regional patterns of the amyloid deposition in the spectrum of the Alzheimer’s disease. They are also quite consistent with the group comparison results of regional amyloid deposition pattern. By comparing them, we investigated how the patterns of regional amyloid deposition can be used as biomarkers for classification of the amyloid positiv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