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경부의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정책

        윤이(Y. Yoon),김학주(H. J. Kim),양희선(H. S. Yang),박춘화(C. H. Park),신성일(S. I. Shin),조문식(M. S. Cho),김성범(S. B. Kim),박연신(Y. S. Park),이문순(M. S.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화학물질 유통량 증가와 신규화학물질의 지속적인 도입 등으로 대형 화학사고 발생가능성이 증가되고 있고, 또한 유해화학물질을 이용한 화학테러에 대한 사회적인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화학물질은 제조,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인체와 환경에 노출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화학사고는 치명적 재난을 가져올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와 사고발생시 신속ㆍ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간 환경부는 화학물질 관리의 주체로서 화학물질 사고를 사전예방하고, 상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각종 사업을 추진해 왔다. 2004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을 통해 사고발생가능성이 높거나 사고발생시 그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을 사고대비물질로 지정ㆍ관리하고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 기준을 강화하는 등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제도를 발전시켜 왔으며, 사고발생에 대비하여 대응조직을 정비하고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개발과 대응에 필요한 기술 지원을 담당할 전담조직을 설치ㆍ운영 중에 있다. 또한, 사고현장에서의 임무수행을 위해 개인보호 및 탐지ㆍ측정 등의 대응장비를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소방ㆍ경찰ㆍ지자체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화학물질마다 위험ㆍ유해성이 다르므로 방제요령, 피해영향범위 등 종합적인 사고대응정보를 실시간 현장대응기관에 제공하는 화학뭉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전국의 대응기관에서 사용하고 있고, 잔류성 화학물질 사고의 경우, 사고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여 사고지역을 관리하기 위한 사고 후 영향조사 제도를 시행중에 있다. 또한,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의 이력관리와 실시간 사고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관리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으며, 화학사고 출동차량 확보, 사고대응 기술 및 각종지침을 개발하여 사고현장 대응 능력을 개선하고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정보를 일반국민까지 확대 제공할 예정이다. Due to increase of chemicals distribution amount and continuous introduction of new chemicals, the occurrence possibility of chemical accid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social caution on terrors using hazardous chemicals is growing heavier. Chemicals can exposure to human and environment through various pathways in their life cycle including production, use, discharge, etc. Especially chemical accidents has possibility to cause fa때 disaster, and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radically manage chemicals and to prepare for quick and correct countermeasures of chemical accidents. So fa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central managing body of chemical management, has been proceeding various projects for the preliminary prevention and the ordinary response. 1) Through revision of the Toxic Chemical Control Act, it has been developing various systems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including reinforcement of management standard of hazardous chemicals handling facilities and designation & management of Accident Precaution Chemical that have a high risk of accident or are likely to result in a disastrous damage in case of an accident. 2) It has promoted and expanded its organizations including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exclusive body which supplies technical supports that are necessary to develope policy and response system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3) It in stages expanded response equipments includ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s, detection and analysis instruments for better performance of on-site task. 4) It has been operating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early response agents including fire fighter, police, local government civil servants, etc. 5) It established the Chemic머 Accidents Response Information System(CARIS) and various response organization are using the system The CARIS supplies on-site response agents a comprehensive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including toxicity and hazard, decontamination method, impacted area, etc. and also 6) it has been enforcing the "Accident Impact Assessments system" which predicts and impact of the accident and through this manages the contaminated area. In addition, the MOE will continuously proceed the following efforts: 1) the establishment of the Toxic Chemicals Transport Vehicle Management System which traces the course of toxic chemical transport vehicle and monitors the accident in real time, 2) the extention of information supply on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to civilian, 3) the modification of on-site response capacity through developing accident response technologies and various guidelines, and 4) the purchase of the Special Vehicle for Chemical Accidents.

      • KCI등재

        염산수용액의 농도별 간이 영향 평가 방법 연구

        정유경 ( Y. -k. Jung ),김병훈 ( B. Kim ),허화진 ( H. Heo ),유병태 ( B. Yoo ),신창현 ( C. Sin ),윤이 ( Y. Yoon ),윤준헌 ( J. Yoon ),마병철 ( B. Ma )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2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management of chemical accident is threat zone estimation of fires, explosions and toxic gas dispersion based on chemical releases. The threat zone estimation is going to be standard of emergency response for the first defender and base line data of off-site risk asses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RA”) and risk management pl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MP”). Generally, ALOHA form EPA(U.S.) and Kora(from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used for the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in Korea. However it is hard to predict accurate consequences rapidly in case of emergency. Hydrochloric acid is a multipurpose raw material used in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chemical, metal and food industries . It is usually treated in concentrations from 10 ~ 35 %, and release accident have occurred frequently.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simplified estimating method and equation to calculate threat zone easily in case of emergency due to release accident of hydrochloric acid.

      • 부산지역의 위험ㆍ유해물질 유출사고 가상시나리오 개발

        이문진(M.-j. Lee),윤이(Y. Yoon),최종욱(J. W. Choi),이승환(S. H.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위험ㆍ유해물질 해상물동량이 전체 물동량의 18%이상 차지하고 있고, 매년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어 이로 인한 대형유출사고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위험ㆍ유해물질은 독성ㆍ유해성이 있어 사고 발생시는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부물질은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까지 오염이 확대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험ㆍ유해물질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고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마련하여 비상시 대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해역의 위험평가 및 취약성분석을 통해 위험ㆍ유해물질 유출사고를 가정한 사고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측한 다음, 해당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조치해야 할 사항을 단계별로 작성, 제시하였다. 위험ㆍ유해물질 가상사고 선정시에는 발생가능성과 피해영향범위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해역에서의 위험ㆍ유해물질 운송현황과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자일렌을 사고물질로 선정하였고, 부산 해역의 자일렌 물동량인 약 1,000톤을 사고발생시의 유출량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1982년부터 2007년까지 약 25년동안 부산해역에서 발생한 10톤 규모이상의 해양오염사고 현황을 분석하고, 사고발생시 예상되는 피해규모 등을 고려하여 감천항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해역의 해ㆍ기상조건은 사고가 발생한 시점인 2007년 10월 19일 오전의 해ㆍ기상상태를 적용하여 풍속은 4m/s, 풍향은 남서풍, 기온은 20℃로 하였다. 가상사고의 피해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기확산 및 해양확산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기확산 결과에서는 사고지점으로부터 영도대교 방향으로 약 2㎞~7㎞까지 인체에 유해한 정도의 자이렌 증기확산이 예상되었다. 한편, 해양확산 평가 결과 사고발생 1시간이 경과한 후부터는 유출된 자일렌이 해안에 부착하기 시작하였으며, 8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유출 자일렌의 대부분이 해안에 부착되었다. 따라서, 현장 대응시는 자일렌의 피해확산범위에 포함되는 감천항과 영도대교, 부산항 인근의 주민과 근로자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져야 하며, 감천항ㆍ부산항의 선박 입항을 통제하고 신속하게 확산방지용 펜스를 전장하여 자일렌의 해안부착을 최소화 해야 한다. 또한, 자일렌은 노출시 구토ㆍ구역 및 피부자극을 일으키는 유독성물질로 호흡기 피부 등을 통해 인체에 노출되므로 현장 대응요원과 방제요원은 개인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해수 및 대기모니터링을 통해 오염지역과 방제범위를 결정하고 자일렌의 회수ㆍ처리에 필요한 조치를 단계별로 시행해야 하며, 사고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지역의 사후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유해화학물질 대기확산 예측을 위한 RAMS 기상모델의 적용 및 평가 : CARIS의 바람장 모델 검증 Validation of the Operational Wind Field Generation System in CARIS

        김철희,나진균,박철진,박진호,임차순,윤이,김민섭,박춘화,김용준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19 No.5

        The statistical indexes such as RMSE(Root Mean Square Error), Mean Bias errer, and IOA(Index of agreement) are used to evaluate 3 Dimensional wind and temperature fields predicted by operational meteorological model RAMS(Regional Atmospheric Meteorological System) implemented in CARIS(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for the dispersion forecast of hazardous chemicals in case of the chemical accidents in Korea. The operational atmospheric model, RAMS in CARIS are designed to use GDAPS, GTS, and AWS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from KMA(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the generation of 3-dimensional initial meteorological field. The predicted meteorological variables such as wind speed, wind directi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mount, during 19~23, August 2002, are extracted at the nearest grid point to the meteorological monitoring sites, and validated against the observations located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show that Mean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 are 0.9(m/s), 1.85(m/s) for wind speed at 10m above the ground, respectively, and 1.45(℃), 2.82(℃) for surface temperature.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distribution of forecastion error predicted by RAMS with respect to the altitude; relatively smaller error is found in the near-surface atmosphere for wind and temperature fields, while it grows larger as the altitude increases. 0verall, some of the overpredictions in comparisons with the observations are detected for wind and temperature fields, whereas relatively small errors are found in the near surface atmosphere. This discrepancies are partly attributed to the oversimplified spacing of soil, soil contents and initial temperature fields, suggesting some improvement could probably be gained if the sub-grid scale nature of moisture and temperature fields was taken into account. However, IOA values for the wind field(0.62) as well as temperature field(0.78) is grater than the 'good' value criteria(>0.5) implied by other studies. The good value of IOA along with relatively small wind field error in the near surface atmosphere implies that, on the basis of current meteological data for initial fields, RAMS has good potentials to be used as a operational meteorogical model in predicting the urban or local scale 3-dimensional wind fields for the dispersion forecast in association with hazardous chemical releas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