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방형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이슬송이버섯의 저장 중 품질 변화

        윤영태,봉소정,강한솔,윤예지,김홍길,민경훈,이경행,Yoon, Young-Tae,Bong, So-Jung,Kang, Han-Sol,Yoon, Ye-Ji,Kim, Hong-Gil,Min, Kyung-Hun,Lee, Kyung-Hae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4

        To improve the shelf-life of mushrooms, Lentinula edodes GNA01 mushrooms were treated with gel packs containing slow-released chlorine dioxide ($ClO_2$) gas at 5~10 ppm for 5 days at $20^{\circ}C$ and the weight loss rate as well as the changes in pH,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of the treated samples were investigated. The weight of the control and $ClO_2$ gas treated samples were decreased slightl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during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weight of the control changed faster than those of the $ClO_2$ gas treated samples during storage period. The pH in the control and in the $ClO_2$ gas treated sample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but the samples treated with 5 and 7 ppm $ClO_2$ gas were the least changed. On the other hand, the samples treated with 10 ppm $ClO_2$ gas showed no difference from the other treatments during 4 days, but the pH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 the fifth day. The lightness of inside and outside in mushroom were decreased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However, color changes in the $ClO_2$ gas treated sampl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Especially, the samples treated with 5 and 7 ppm $ClO_2$ gas were the least changed. The texture of the mushroom were decreased consistently during storage period. The texture of the control changed faster than those of the $ClO_2$ gas treatments during 5 days. Especially, the samples treated 5 ppm $ClO_2$ gas were the least chang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미디어중독에 대한 미디어교육학적 접근

        윤영태(Young-Tae Yo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09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3 No.1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중독현상들이 사회의 변화와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독은 약물, 술, 담배 등과 같은 물질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정신적 의존과 함께 해당자는 더 이상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닌 행위중독이 새로운 사회의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일중독, 쇼핑중독, 도박중독, 스포츠중독, 그리고 미디어중독 등이 그 예이다. 이는 화학 약물 등의 물질중독과는 다른 형태의 비화학적 행위적 활동을 통해 정신적 쾌감에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미디어중독의 문제를 미디어교육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시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터넷중독, 컴퓨터게임중독, 휴대전화중독 그리고 텔레비전중독 둥과 같은 미디어중독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아울러 미디어와 능력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검토했다. 미디어중독이란 결국 미디어와 관련한 현대사회 개개인의 행위능력에 관한 문제일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디어중독과 관련하여 미디어교육은 실천적으로 이미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여러 부분에서 예방교육의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시행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술변화에 따른 미디어환경의 변화는 미디어리터리시 또는 미디어능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 그리고 그것의 확장이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미디어중독 예방교육의 프로그램 역시 새로운 인식에 기초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중독의 문제를 미디어능력 개념을 중심으로 대안적으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alternative approach to media addiction with media education. Media addiction is a disorder where the subject has a compulsion to use media. The compulsion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control in many cases. It has many parallels to other forms of addiction, such as addiction to drugs or gambling, which create an altered mental state in the subject. Media addiction becomes a problem when a subject does not want to use media, but experiences an uncontrollable compulsion to start or continue using. The subject may not accomplish tasks or goals that he or she feels are important. To illuminat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alternative approach to media addiction, this study began with a critical review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the various dimensions of the media competence for approaches to media addiction.

      • KCI등재후보

        미디어교육의 철학에 관한 연구

        윤영태(Young-Tae Yo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2

        최근 미디어교육의 영역에서 진행되는 미디어능력 중재에 관한 문제에서 발견되는 점은 미디어능력의 성찰적 부분에 대한 강조이다. 웹 2.0, SNS 등과 같은 미디어환경의 변화는 정보사회론 또는 지식사회론 논의와 연계하여 미디어교육 및 미디어정책 부분에서 미디어능력의 중재 및 증진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점차 미디어능력에 대한 접근은 초기의 비판적 성격은 상실되고 도구적 행위, 기능적 능력의 관점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미디어능력은 현재 미디어와 관련하여 비판적, 성찰적, 창조적, 그리고 사회적 책임을 동반한 의미 있는 주체의 능력을 뜻한다. 그러나 이는 매우 추상적이며 따라서 이론적 불명확성, 방법론적 문제 그리고 다양한 함의가 혼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미디어능력이 내포하고 있는 ‘비판’과 ‘성찰’의 의미를 사회철학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판적 교육학 그리고 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는 호르크하이머, 하버마스, 아도르노, 마르쿠제 등의 비판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이성과 합리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비판적 사회이론에서 논쟁이 되었던 현대 자본주의에서 비판과 성찰의 가능성에 대한 철학적 탐색을 위함이다. 현대 자본주의체제에서 성찰의 힘은 과연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힘은 어느 정도일까? 그렇지 않다면 왜 불가능한가?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미디어교육학적으로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고자 본 연구는 다소 시론적 한계를 지니지만 사회철학적 관점에서 비판이론의 합리성 개념을 살펴본 뒤 이것이 다시 미디어교육의 이론과 실천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했다. Education for media literacy often uses an inquiry-based pedagogic model that encourages people to ask questions about what they watch, hear, and read. By building knowledge and competencies in using media and technology, media literacy education provides tools to help people critically analyze messages, offer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broaden their experience of media, and helps them develop creative skills in making their own media messages. By transforming the process of media consumption into an active and critical process, people gain greater awareness of the potential for misrepresentation and manipulation, and understand the role of mass media and participatory media in constructing views of realit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edagogy of media literacy, integrating theoretical and critical frameworks from rationality theories. The term rationality is used differently in different disciplines. This study reviewed philosophical theories of rationality of Adorno, Horkheimer, Marcuse and Habermas. In philosophy, rationality is the exercise of reason. Communicative rationality, or communicative reason, is a theory or set of theories which describes human rationality as a necessary outcome of successful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t is tied to the philosophy of Jurgen Habermas, and his program of universal pragmatics, along with its related theories such as those on discourse ethics and rational reconstruction. The result of the theory is a conception of reason that Habermas sees as doing justice to the most important

      • Interntionale Struktur der Internet-Kommunikation

        윤영태(Yoon Young-Tae) 동의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5 정보통신연구지 Vol.6-2 No.-

        커뮤니케이션의 지속적인 증가와 가속화 그리고 세계화 등은 현대 사회의 커뮤니케이션과정과 현상을 더 이상 특정 국가의 경계 속에서 이해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구촌 속 인터넷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분석이 국제커뮤니케이션 및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터넷의 국제 커뮤니케이션적 또는 문화 커뮤니케이션적 성격을 밝혀내고자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다시 그 구조에 대한 경험적 분석의 바탕 위에서 시도되었다. 상대적으로 인터넷커뮤니케이션의 구조는 정체성의 혼돈으로 인해 구조의 영확함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여러 측면에서 그 구조적 특성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인터넷의 국제적 발전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무선 인터넷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불평등, 상업화의 국제화, 국간 간의 계층화, 세계적 또는 지역적 권력중심부의 존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터넷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동질화와 통합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질화 및 차별화현상 역시 목격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통합과 차별화의 상관관계 속에서 본 연구의 주제는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독일 지역미디어의 활성화 전략

        윤영태(Young-Tae Yo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08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2 No.1

        한국의 지역미디어에서 볼 수 있는 총체적 위기는 국면적인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것이라는 데에 그 심각성이 한층 더하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서울로 집중되어 있는 우리 사회의 중앙집권적 구조에서 지역미디어의 위기를 극복하고 또 지역미디어를 육성할 방안 역시 그리 간단해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미디어의 필요와 당위가 포기되지 않는 한 지역미디어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역미디어의 활성화, 그리고 동시에 공공성을 확보 할 수 맀는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사실 미디어시스템은 독특한 방식으로 두 가지 경쟁적인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다: 경제시스템과 저널리즘시스템, 두 시스템은 복지 대 다양성이라는 서로 다른 규범으로 인해 또한 다른 품질기준을 가지고 있다. 저널리즘의 품질은 따라서 경제적 품질과는 객관적으로, 내용적으로 다르다. 한편 경쟁은 현대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중요한 질서규칙으로 작용한다. 경쟁과 정의 내용과 결과에 커다란 영향은 미치는것은 바로 성공의 척도이다. 이러한 척도는 경제적 경쟁과 언론적 구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미디어의 활성화 방안을 저널리즘 경쟁의 측면에 제한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언론학의 관심은 저널리즘의 품질이 우선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독일의 사례를 조사 분석함하고자 한다. 독일의 경우, 우리와는 구분되는 역사적, 사회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지만, 미디어의 지역 분권적 구조는 상대적으로 발전되어 있는 세계적인 사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저널리즘 경쟁을 통한 지역미디어 활성화 방안, 그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Recognizing the contemporary critical situation of local media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trategies to overcome such a crisis from various aspects and explore the democratic possibility to vitalize the local media. The contradiction in local media system has never been adequately resolved in spite of regulation at all in practice, in that local journalism simply cannot account for local media marke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strategies for activation of local press and television in Germany. Results show that the issue of activating local media must be discussed basically in conjunction with the implecations of journalistic quality.

      • KCI등재후보

        지역방송의 지역성 구현에 관한 사례 연구

        윤영태(Young Tae Yo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4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지역성 개념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지역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의 제시 등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실현된 지역방송의 지역성을 파악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사례로서 부산/울산/경남MBC의 뉴스투데이, 그리고 해외사례로서 독일의 북부지역 공영방송인 NDR(Norddeutscher Rundfunk)의 지역정보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귀납적 접근을 통해 개별 사례에서 구현된 지역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이는 개별 사례들 간 비교에 앞서 개별 사례에 대한 기술에 우선을 두고 진행되었다. 독일 NDR과 부산/울산/경남 MBC 사례에서 지역성 구현의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내용 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014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로 정하고, 그 기간 동안 방송된 각 사례 프로그램들을 조사하였으며 내용분석의 대상은 단신보도를 제외한 주요 보도내용이었다. 이를 위해 주제, 주체, 공간, 기능이라는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오늘날 지역성 개념은 지역적 정체성을 근거로 한 자율적이고 독립체로서 지역이 가져야 할 의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지역이라는 공간에 대한 물리적, 정신적, 사회적 의미가 변증법적 상호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조사한 한국과 독일의 지역정보프로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역성은 각 사례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여전히 물리적, 정신적, 사회적 의미가 분리되어 표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여 그 동안 연구자들이 지역성 구현을 위한 전략으로 제시했던, 지역밀착형보도, 심층적 뉴스 접근, 뉴스 공신력 확보,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저널리즘의 실천, 시청자 참여유도 등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lization of the locality in local television - which locality of local broadcasting should be pursued and how it could be realized in the complicate networks of local-state-global. Focused on the information program, this exploratory study was aimed at finding trends in the locality in producing programs by the local broadcasting station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s, this study tried to analyse local television program cases - <News Today> by MBC Busan, Ulsan, Gyeongnam and <Hamburg Journal> and <Nordmagazin> by NDR in Germany. The conception of the locality has been changed from a geographical one to a social one which focuses on sharing the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e locality in local television has been multiplied and enlarged in order to adjust to changed time-space meaning by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 programs realized the locality. However, the geographical locality achieved dominance over others due to connecting by political and economical values. It is a point to be considered that local programs should be based on current concrete everyday lives of local residents.

      • 잡곡 수확용 소형 콤바인 2차 시작기 설계 제작

        윤영태 ( Young Tae Yoon ),이창훈 ( Chang Hoon Lee ),유수남 ( Soo Nam Yoo ),이범섭 ( Beom Seob Lee ),지금배 ( Keum Bae J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현재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잡곡류 수확기는 보행형 예취기, 탈곡기 위주의 저능률 기계화 수준으로 고능률의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잡곡류가 소규모 경작지의 영세농가 위주로 재배되어 저가격의 소형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가격의 자주식 소형 콤바인을 개발하고자 단동 축류식의 탈곡장치를 갖는 1차 시작기를 제작하였으나 성능이 미흡하여 복동 직류식의 탈곡장치를 갖춘 2차 시작기를 설계· 제작하고 기초성능을 분석하였다. 2차 시작기의 주요부로 엔진은 최대출력 22 kW/2600 rpm 3기통 디젤엔진을 탑재하였으며, 동력전달부는 주변속 3단, 부변속 2단의 선택맞물림 기어식의 변속장치를 이용하였다. 주행부는 궤도형으로 조향클러치와 습식 원판식 제동장치를 채용하였다. 전처리부는 선단거리 1200 mm의 디바이더와 상하 유압식, 좌우 수동식 조절되는 회전속도 약 45 rpm의 정사각형 릴로 구성하였으며, 전처리부의 최대 승강높이는 740 mm이었다. 예취부는 예취 폭 1200 mm 예취 날 피치 76 mm, 15개의 왕복동날로 구성하였다. 작물이 송부는 돌기부착 오거와 체인컨베이어로 구성하였고, 탈곡부는 복동형 직류·하급식으로 1차 급동 직경425 mm, 폭 485 mm, 2차 급동 직경 325 mm, 폭 485 mm의 급동, 높이 55 mm의 강선형 급치 각각 30, 20개, 격자형 수망으로 구성하였으며, 급동 회전속도는 약 500 rpm으로 작동토록 하였다. 선별·정선부는 요동·송풍선별식으로 송풍팬의 회전속도는 약 1540 rpm, 요동암 회전속도는 약 350 rpm으로 작동토록 하였다. 재처리부와 곡물이송부는 수평 이송장치로 스크류 컨베이어를, 수직이송장치로 버킷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였다. 곡물탱크의 용량은 200 l로 포대에 곡물을 담도록 하였다. 전체적인 기체크기는 길이x폭x높이가 4210×1860×2300 mm이며, 기체 중량은 약 1680 kg이였다. 유채 대상 기초 성능시험 결과 시작기의 작업속도는 약 0.32 m/s, 작업능률은 약 10.3 a/h로 나타났으며, 이 때 곡립 손실비율 약 8.96%, 곡립구 중 손상립 비율 0.00%, 이물질 비율 약 2.64%를 나타냈다.

      • 잡곡 수확용 소형 콤바인 2차 시작기의 메밀, 율무 수확성능

        윤영태 ( Young Tae Yoon ),이창훈 ( Chang Hoon Lee ),유수남 ( Soo Nam Yoo ),이범섭 ( Beom Seob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현재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잡곡류 수확기는 보행형 예취기, 탈곡기 위주의 저능률 기계화 수준으로 고능률의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메밀, 율무 등 잡곡류는 소규모 경지의 영세농가 위주로 재배되어 노약자 운전이 가능한 저가격의 소형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주식 잡곡 수확용 소형 콤바인을 개발하고자 2차 시작기를 설계·제작하여 메밀과 율무를 대상으로 수확시험을 수행하여 그 수확성능을 분석하였다. 메밀 수확 성능시험은 곡립 함수율 약 19.9%, 줄기 함수율 약 60.8%, 산파 재배된 메밀을 대상으로 시험하였으며, 율무 수확 성능시험은 곡립 함수율 약 21.4%, 줄기 함수율 약 34.9%, 작물 높이 약 140 cm, 점파 재배된 율무를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조사 및 분석 항목으로 작업 폭, 작업속도 등 운전조건과 그에 따른 곡립 손실비율, 곡립구 수확물의 곡립비율, 이물질비율 등 곡립구 조성 비율을 분석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메밀은 부 변속 저속, 주 변속 1단의 변속단수, 작업 폭 약 0.6~0.7 m에서만 작업 가능하였으며, 최대 작업속도는 약 0.36 m/s로 나타났다. 총 곡립손실비율은 18.9~24.5%, 곡립구의 곡립비율과 이물질비율은 각각 93.4~94.8%, 5.5~7.0%의 범위로 나타났다. 율무는 부 변속 저속, 주 변속 1, 2단의 변속단수, 작업 폭 약 1.2 m (2조 작업)까지 작업 가능하였으며, 최대 작업속도는 주 변속 2단에서 1, 2조 수확 시 각각 약 0.47, 0.46 m/s로 나타났다. 총 곡립 손실비율은 1조 수확 시 34.7~41.8%, 2조 수확 시 35.9~37.1%, 곡립구의 곡립비율과 이물질비율은 1조 수확 시 각각 92.3~96.6%, 3.4~7.7%, 2조 수확 시 각각 92.3~96.6%, 3.6~5.0%의 범위로 나타났다. 포장효율이 70%일 때 유효작업능률은 메밀 수확의 경우 약 5.9 a/h, 율무 수확의 경우 약 13.9 a/h로 예측되었다.

      • 코드 수정을 통한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 이동 코드 대응 기법

        윤영태(Yung-tae Yoon),예홍진(Hong-Jin Yeh),조은선(Eun-Sun Cho),고재영(Jae-Young Koh)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Ⅰ

        현재의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코드에 대한 대응 기법으로는 자바의 샌드박스(Sandbox) 모델과 흡사한 자원 제한 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 기법의 경우 악의가 없는 스크립트 또한 제한되어 있는 자원을 사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스크립트 본연의 취지인 전송된 스크립트를 통한 편의성 제공의 기능이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스크립트 코드의 유해 여부를 코드 수행 중에 결정하여 자원사용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기법이 절실이 요구되며 본 논문에서는 전송되어온 코드의 위험 요소 부위를 자체 면역성을 가지도록 코드를 수정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