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밀 추출물의 이상 침전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윤성준,조남지,나석환,김영호,김영모,Yoon, Seong-Jun,Cho, Nam-Ji,Na, Seog-Hwan,Kim, Young-Ho,Kim, Young-Mo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6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nuses of abnormal precipitation in buckwheat extracts and to suggest the preventive solutions. Abnormal precipitation was formed by the coagulations of small round droplets, and increased when poor quality or old buckwheat used. It was found that, unlike poor quality buckwheat, extracts made from fresh buckwheat showed almost no saccharifying enzyme activity and a lower number of microorganisms. The addition of branched starch to the extracts restricted the occurrence of abnormal precipitation and microorganisms and imparted stability to the extracts.

      • KCI등재

        쓴 메밀에서의 루틴 추출 최적 공정 개발

        윤성준,조남지,나석환,김영호,김영모,Yoon, Seong-Jun,Cho, Nam-Ji,Na, Seog-Hwan,Kim, Young-Ho,Kim, Young-Mo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6 No.5

        The rutin content of Fagopyrum tataricum is 100-fold higher than that of Fagopyrum esculentum. For the development of a rutin-containing beverage, a suitable method to extract rutin from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with high rutin yield was investigated. A roasting temperature range of $310/240^{\circ}C$ (Ed-confirm that this is indeed a range; otherwise perhaps, 'Roasting temperatures ranging from 310 to $240^{\circ}C$ were considered$\ldots$') was considered to be the best as the basic color reference. Rutin content varied according to the roasting time and heating temperature; i.e.,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roasting time and temperature. (Ed- this sentence is unnecessarily complicated and should be simplified to 'Rutin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roasting time and heating temperature.') The optimal extraction temperature and processing time were obtained as $80^{\circ}C$ and 10 minutes to maximize the rutin concentration in the extra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 윤리적 소비성향, 그리고 신뢰가 고객의 가치공동창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성준(Yoon Sung joon)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사회적 소비의 중요성이 커져가는 현시점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가치공동창출행동을 참여, 협조, 그리고 애호행동으로 구분하고 이들 행동의 예측요인으로써 기업 요인과 개인적 요인 두 요인을 중심으로 접근하려는 연구 목적을 가진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신뢰와 윤리적 소비성향을 예측변수로 하고 이들 두 개의 예측요인들과 소비자의 가치공동창출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시나리오 기법을 사용하여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신뢰 뿐만 아니라 윤리적 소비성향 모두 가치공동창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신뢰와 윤리적 소비성향이 가치공동창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기업인식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s we live in an age when the importance of social consumption grows fa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s of value co-creation behavior for social enterprises. For this purpose we classified value co-creation behaviorinto engagement, helping, and advocacy, and adopted corporate factor and personal factor as predictor variables. We introduced corporate trust and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 as predictors, and utilizing scenario method, verified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percep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i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redictors and value co-creation behavior. The result indicates that corporate trust as well as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alue co-creation behavior. In addition, we found that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 ha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redictors and value co-creation behavior.

      • DSMC 방법을 이용한 평판 주위의 희박류 해석

        윤성준(Yoon Sung Joon) 한국전산유체공학회 1995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95 No.-

        The paper describes hypersonic rarefied flow of helium and nitrogen over a flat plate by the direct simulation Monte Carlo (DSMC) method. The effect of incomplete accommodation and plate thickness are analyzed and the computational results are compared with wind tunnel test data. Also computational aspects of the method are outlined.

      • KCI등재후보

        중국내 한류의 유형별 문화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접근

        윤성준(Yoon, Sung-joon),양뤼(Yang, Rui),한희은(Han, Hee-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의 관계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한국문화를 세가지 유형(드라마,음식, K-pop)으로 분류하여 이들 문화별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제품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문화 후광효과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크게 세 개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문화적 거리감과 심리적 거리감)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직접적인 문화후광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를 통해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간접적 방식으로 문화후광효과를 야기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거리감이 문화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리적 거리감은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에 비해 문화적 거리감에서는 자국중심주의가 드라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세계시민주의는 음식에 대한 태도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음식에 대한 태도와 K-pop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라마에 대한 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문화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매개역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중에서 음식에 대한 태도와 제품구매 의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통한 문화후광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문화의 유형에 따라서 문화후광효과가 제품의 구매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국가이미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e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consumers’ cultur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ance had different impact on attitude toward culture and national image. Psychologic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s Korean food, K-pop, and drama and national image, whereas ethnocentricism, which operationally defined cultur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drama, while cosmopolitanism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food and national image. Also,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and K-pop were found to affect product purchase intention, but not Korean drama. Finally, th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Korean food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halo effects based o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impact of culture, national imag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due to the kind of national culture in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ulture-specific halo effect.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의 관계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한국문화를 세가지 유형(드라마,음식, K-pop)으로 분류하여 이들 문화별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제품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문화 후광효과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크게 세 개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문화적 거리감과 심리적 거리감)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직접적인 문화후광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를 통해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간접적 방식으로 문화후광효과를 야기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거리감이 문화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리적 거리감은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에 비해 문화적 거리감에서는 자국중심주의가 드라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세계시민주의는 음식에 대한 태도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음식에 대한 태도와 K-pop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라마에 대한 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문화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매개역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중에서 음식에 대한 태도와 제품구매 의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통한 문화후광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문화의 유형에 따라서 문화후광효과가 제품의 구매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국가이미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e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consumers’ cultur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ance had different impact on attitude toward culture and national image. Psychologic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s Korean food, K-pop, and drama and national image, whereas ethnocentricism, which operationally defined cultur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drama, while cosmopolitanism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food and national image. Also,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and K-pop were found to affect product purchase intention, but not Korean drama. Finally, th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Korean food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halo effects based o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impact of culture, national imag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due to the kind of national culture in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ulture-specific halo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유통점포별 충동구매의 결정요인에 대한 경험적 접근

        윤성준(Yoon Sung Joon),이동희(Lee Dong Hee) 한국유통학회 2008 流通硏究 Vol.13 No.3

        본 연구는 Schmitt (1999)가 제시한 전략적 경험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사전 쇼핑 경험, 점포 내에서의 선호경험 그리고 점포분위기에 대한 반응으로 구성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시간적인 관점에서 백화점, 대형마트, 인터넷점포의 3개 점포를 대상으로 점포별 쇼핑의 사전 경험의 정도와 이에 따른 선호 쇼핑경험에 대한 관계, 그리고 선호 쇼핑경험과 충동구매행위와의 관계를 검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쇼핑경험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명, 실내색상, 실내장식, 제품진열과 같은 점포내 분위기에 대한 감성적 반응과 충동구매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경험적 차원에서 선호경험과 충동구매간의 조절역할에 대해서 조사한다. 세부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마트에서는 사전쇼핑경험수준에 따라 인지적 쇼핑경험이 감성적 경험보다 더 선호되었으나, 백화점의 경우에는 사전 경험이 많을수록 감성적 경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고객이 선호하는 쇼핑경험과 충동구매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정결과 감성적 쇼팽경험은 충동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반면 인지적 쇼핑경험은 충동구매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감정반응이 감성적 (인지적) 쇼핑경험과 충동구매간 관계를 조절한다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는데 백화점에서는 제품진열이 감성적 경험과 충동구매와는 부(-)의 조절역할을 보였으며, 실내장식은 인지적 경험과 충동구매 간에 부(-)의 조절역할을 하였다. 대형마트에서는 실내색상이 감성적 경험과의 부(-)의 조절역할을 하였고, 제품진열은 정(+)의 조절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from a temporal standpoint, seeks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shopping experience, a pre-experiential construct, and impulsive/planned purchase intentions, a post-experience construct, based on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 advocated by Schmitt (1999) by focusing on three key variables-prior shopping experience, on-site experiences, and emotional response to store atmosphere. Also, from a spatial standpoint, the study aims to valia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sponse to store atmosphere and impulsive purchase intentions across three retail store types-department store, discount store, and internet store. Specific research purpose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gardless of the degree of prior shopping, discount store and internet shoppers preferred cognitive shopping experience to emotional experience. Second, emotional shopping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impulsive purchase intention, whereas cognitive shopping experience influenced planned purchase intention. Third, for discount store shoppers only did the interior colour serve as a positive moderator between emotional shopping experience and impulsive buying intention, while merchandise display served as a negative moder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