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스포츠심리검사에 대한 유소년 학생선수의 응답왜곡 탐색

        윤대현 ( Dae-hyun Yun ),박세윤 ( Seyun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1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심리검사에서 응답왜곡의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응답왜곡은 의도적, 의식적 응답왜곡과 비의도적, 무의식적 응답왜곡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국내 프로축구팀이 운영하는 유소년 축구클럽 학생선수 92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심리기술관련 교육집단(비의도적, 무의식적 응답왜곡), 심리기술관련 교육+심리기술 결과노출 집단(의도적, 의식적 응답왜곡)으로 구분하였고, 스포츠 심리기술,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스포츠 정신력, 스포츠수행전략, 스포츠스트레스요인을 측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 Cohen의 d값을 계산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모든 질문지의 응답결과에서 사전측정에 비해 사후측정에서 측정시기에 대한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통제집단은 사전·사후측정에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며, 교육집단과 교육 및 사전검사 결과노출 집단의 사후측정결과는 사전측정에 비해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소년 학생선수의 심리검사에서 교육 혹은 교육 및 사전 심리검사결과 확인 여부에 대한 비의도적, 무의식 응답왜곡 및 의도적, 의식적 응답왜곡이 나타났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identify possibility of faking in self-report psychological questionnaires used in physical activity stud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re was faking in the sport psychological measurement of youth athlet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3 of youth student athletes at the youth soccer club operated by the Korean professional soccer team.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hich consisted of a control group, a group of being educated about sport psychological skill (unintentional), and a group of being educated about sport psychological skill as well as being exposed to result of the pretest (intentional). This study measured that sport psychological skills, athlete’s self-management, mental power,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TOPS), and sports stress.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Cohen’s d. Results: First, all response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f order (pre, post) in sport psychological skills, athlete’s self-management, mental power, TOPS. Second, there was barely a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pre-posttest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barely significant group and order*group effect on several sub-components.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possibilities of faking good tendency in youth athlete when lectured or lectured & recognizes their pretest results.

      • KCI등재

        주니어 골퍼의 상담 및 심리기술훈련 효과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윤대현 ( Dae Hyun Yu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주니어 골퍼에게 실시한 상담 및 심리기술훈련의 절차와 내용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주니어 골퍼의 심리기술 및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심리적 특성과 경기력을 다각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개인적 요구를 감안하여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진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에 따라 단일 피험자 설계를 통한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행동의 다차원적 기준선(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 방법을 사용하여 상담 및 심리기술훈련이 주니어 골퍼의 심리기술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상담 및 심리기술훈련의 결과, 6개의 심리기술 영역 모두에서 상담 및 심리기술훈련 진행과정과 종료 후에 점차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기력을 측정한 결과 핸디캡이 대폭 줄어들었으며 세부 수행력인 타수, 그린 적중시 퍼팅 수, 그린 적중률, 페어웨이 안착률, 스크램블링, 바운스 백 능력이 좋아져서 상담 및 심리기술훈련으로 심리기술 및 경기력이 기초선 단계보다 훈련단계와 훈련 후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a) to identify the program and protocol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o operate counselli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junior golfer; (b) to test the effects of counselli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psychological skills and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ogram of counselli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nclud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and was operated by personal needs. A single subject design and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 were used to know the effects of counselli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skills and performa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identified for exploration in this study: Firstly, Anxiety, self-challenge, imagery control, self-confidence, attentional focus, and arousal control were showed progressively improvement with introduction of counselli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Secondly, This study also reported that junior golfer`s handicap, scoring average, putt per greens in regulation, greens in regulation, fairway hitting accuracy, scrambling, bounce back were improved progressively in his game as measured by comparison of pre- and during-training period.

      • 탄소 동소체-황토 복합재료를 사용한 친환경 발열체 제작과 특성 분석

        김소연 ( So Yun Kim ),최예윤 ( Ye Yoon Choi ),윤대현 ( Dae Hyun Yoon ),김효권 ( Hyokwon Kim ),정규관 ( Kyukwan Zo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4 No.1

        본 연구는 친환경적 재료인 황토와 탄소 동소체인 탄소 나노튜브와 흑연을 혼합하여 발열체를 제작하고 발열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황토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 건축 재료이다. 최근 황토가 친환경적이고 전자파를 차단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한다고 해서 전통 가옥의 벽과 실내의 온돌 바닥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황토는 단열과 통풍성이 좋으며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와 같은 사계절을 가진 나라에서 매우 적합한 건축 재료이다. 황토의 이런 장점을 살리고 매우 안정하고 인체에 무해한 전도성이 뛰어난 탄소 동소체인 흑연과 탄소 나노튜브의 장점을 살려 이 두 물질의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복합체를 사용하여 발열체를 제작하고 저항과 발열 효과를 측정하였다. 황토에 흑연을 넣어 만든 혼합체의 저항 값 측정에서 흑연 0.1g이 섞인 시료의 경우 저항 값이 크게 나타났지만 0.2g ~ 0.5g 까지의 시료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저항 값을 보였다. 이들 시료는 평균 저항 값이 0.2kΩ ~ 4kΩ 까지의 매우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황토에 적정량의 흑연을 섞어 넣은 경우 매우 우수한 발열체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보다는 흑연이 황토와 잘 혼합되는 성질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동일 질량인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흑연보다 더 높은 발열 효율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황토와의 혼합성, 혼합 질량 비율, 경제성 등을 고려해 볼 때 흑연은 혼합성과 경제성에서 우수하고, 탄소나노튜브는 혼합 질량 비율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This study centers around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heating devices and characterization using the composites of carbon allotrope and loess. Loess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It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at loess is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and very helpful to stop electrical radiation, also known to emit long wave length of infra-red. It also is excellent in permeating air and insulating, therefore the houses made of loess enjoy cool in summer and warm in winter. Meanwhile, carbon allostopes including graphite and carbon nanotube are very stable and highly conductive. From a variety of merits for loess and carbon allostropes, we designed and evaluated a heating device consisted of a composite of loess and carbon allotropes such as carbon nanotubes and graphite. the composites including up to 0.1 g of graphite showed very big electrical resistance but they displayed relatively low resistance in the range of 0.2-0.5g. These samples showed average of 0.2-4kΩ resistance and thus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graphite showed superior miscibility with loess than carbon nanotube did. The composites including carbon nanotube displayed superior heating efficiencies than those including graphite did if the composites prepared from the same weight ratio between carbon allostrope and loess.

      • KCI등재

        만성 정신장애인의 요가 중심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적용 효과

        유소연(So Yeon Yu),윤대현(Dae Hyun Yun) 한국사회체육학회 200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Yoga programmed for therapeutic purpose on the Self-Esteem (S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R), and Social Skill (SS) of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PCMD). To solve the purpose, we selected 26 PCMDs as experimental subjects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half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in the control group with pre-test and post-test research design. In this schedule of the research program, PCMDs performed Yoga 24 times during 12 weeks. We observed all aspects of PCMD in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research program and surveyed about all variables with face-to-face interview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then analyzed these data with SPSS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ga program brought positive changes in SE of PCMDs. Second, PCMDs showed their changed IR degree by showing some positive changes. Lastly, PCDMs experienced some positive changes in SS or PCMDs.

      • KCI등재

        생활무용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권인선 ( In Seon Kwon ),윤대현 ( Dae Hyun Yun ),박세윤 ( Se Yun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무용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8명의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다각적 접근을 시도하여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단일 피험자 설계를 통한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다각적 접근을 통한 연구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과 신체적 활동 가능성을 감안하여 12주간의 생활무용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참여자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관찰, 심층면접, 질문지, 그리고 비디오 촬영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와 프로그램 적용 후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은 질적 접근과 양적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진 통합적 연구 방법으로 시도되었다. 질적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 전사(transcription)의 과정과 양적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를 활용하여 일원반복분산분석(one-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의 하위영역(신체화, 강박증, 대민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ocial dance program on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eight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e elderly women who has lived alone in D-city.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research methods such as observation,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participants`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participating in the social dance program for 12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video tapes recording and systematically analyzed by the SPSS for the quantitative data and the content analysis for the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hysical activities in social dance program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to make more positive on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women, and functioned as the motivating power to develop their constructive self-image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respects.

      • KCI등재

        청소년의 유산소 운동이 스트룹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박세윤 ( Seyun Park ),윤대현 ( Dae-hyun Yu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4

        목적: 유산소 운동이 실행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 16세 이상 고등학생 연령의 청소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적은 실정이며,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체력이나 학업성적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체력과 학업성적을 고려하여 선발된 청소년의 일회성 중강도 유산소 운동이 인지 및 실행기능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스트룹 과제 수행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체력과 학업성적이 유사한 15명의 고등학교 1, 2학년(남 6명, 여 9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은 집단 내 설계로 수행되어, 운동과제(5분 준비운동, 20분의 중강도 유산소 운동, 5분 정리운동)와 30분의 휴식과제를 모든 연구대상자가 수행하였다. 실행기능 측정을 위해 스트룹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자료는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스트룹 단어, 스트룹 색상, 스트룹 색상-단어검사에서 유산소 운동에 따른 주효과와 조건×측정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스트룹 색상-단어검사에서 운동에 따른 주효가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후기 청소년의 일회성 유산소 운동이 정보처리속도(스트룹 단어, 스트룹 색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으며, 작업의 억제나 전환 등 실행기능의 요소를 가진 스트룹간섭효과(스트룹 색상-단어)에서 유산소 운동의 효과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유산소 운동이 후기 청소년의 실행기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 보다 다양한 실행기능 측정도구를 활용한다면 보다 구체적이고 확증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Evidences are supported executive function affected by acute aerobic exercise, thus, very few researches are focused on age of adolescent especially high school level. This study aim to investigate effect of acute aerobic exercise on executive function based on Stroop task. Methods: 15 of 1st and 2nd year high school adolescent (6 boys, 9 girls)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ased on with-in subject design,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Stroop task on 2 days following exercise or rest condition. The conditions were assigned in random. Exercise condition was consisted of 5min worm up - 20min moderate aerobic exercise - 5min cool down. The date were analyzed with condition × time repeated measure two-way ANOVA. Results: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Stroop Word and Stroop Color, and Stroop Color-Word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f exercise on Stroop Color-Ward was larger then other tests. Conclusion: Result of Stroop Word and Stoop Color revealed that acute moderate aerobic exercise effect on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Stroop Color-Word results support that acute moderate aerobic exercise effect on Stroop interference effect which reflects executive function. It is necessary to add more executive function related measure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신체활동은 리더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탐색

        박세윤 ( Park Seyun ),윤대현 ( Yun Dae-hyu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활동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 두 변인 사이에 작용하는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식 신체활동 참여수준과 실측한 신체활동 능력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함께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조사 당시 고등학교 1학년 재학중인 267명의 청소년이다. 연구대상은 국제신체활동질문(IPAQ: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와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기개념, 리더십 질문지에 응답하고 20m 셔틀런 측정에 참여하였다. 질문지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병렬다중매개모형(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보고식 신체활동 참여수준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완전매개하여 리더십에 영향을 미쳤으며, 실측한 신체활동 능력은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자기개념을 완전매개하여 리더십에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아존중감보다 큰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두 매개효과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신체활동 참여수준과 실제 신체활동 능력 모두 신체적 자기개념을 높여 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과정을 규명하였고, 신체활동 능력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로써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아존중감에 비해 신체활동과 리더십의 관계를 매개하는데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self-esteem and physical self-concept in the process of adolescents’ physical activities (PA) affecting leadership. For doing this,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self-reported PA level and measured PA capacity on leadership.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267 freshmen year (male=129, female=138) in high school. They responded to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elf-esteem, physical self-concept, and leadership questionnaire. They also participated in the 20-m shuttle run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self-reported PA level influenced leadership by completely mediating physical self-concept. The measured PA capacity influenced leadership by completely mediating self-esteem and physical self-concept, in this path, Physical self-concept had a higher mediating effect than self-esteem,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direct effects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shed light on a critical process that the self-reported PA level and the actual PA capacity improved physical self-concept in adolescents and it ultimately had a positive impact on leadership. In addition, the actual PA capacity improved self-esteem it had a positive impact on leadership. The implication indicated that physical self-concept may had a more crucial role than self-esteem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 and leadership.

      • KCI등재

        체조선수 및 지도자의 체조경기 채점규정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점수에 대한 만족도 및 귀인성향

        이광연 ( Kwang Yeon Lee ),윤대현 ( Dae Hyun Yun ) 체육과학연구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체조경기 채점규정에 대한 체조선수와 지도자의 이해도와 실제점수에 대한 만족도 및 귀인성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조선수 132명과 지도자 5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교차분석,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 및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채점방식에 대한 선수의 이해도는 75%이상 이해하는 경우가 18.18%였고, 지도자의 이해도는 75%이상 이해하는 경우가 49.09%였으며, 선수와 지도자의 이해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습시 예상점수와 실제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지도자와 선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경기직후 예상점수와 실제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선수와 지도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실제점수에 대해 선수가 만족하는 경우는 61.36%, 지도자가 만족하는 경우는 52.73%으며, 선수와 지도자의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선수가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의 귀인요인으로는 `노력`이 가장 높았고 `새로운 규정`이 가장 낮았으며, 불만족하는 경우의 귀인요인으로는 `능력`이 가장 높았고 `타인의 도움`이 가장 낮았다. 귀인요인 중에서 `노력`과 `타인의 도움`에서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와 불만족하는 경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지도자가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와 불만족하는 경우 모두의 귀인요인으로는 `노력`이 가장 높았고 `운`이 가장 낮았다. 귀인요인 중에서 `능력`, `과제곤란도`, `타인의 도움`, `새로운 규정`은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와 불만족하는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oroughly gymnasts and their coaches have understood newly-designed gymnastics rules and how much they have been satisfied with scores they have obtained, and to inquire out what kinds of attribution can be traced.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on 132 gymnasts and 55 coaches. In this study, descriptives, crosstabs, paired samples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for analysing thos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over 75% understanding of the new-built scoring way is 49.09% of coaches and 18.18% of gymnasts; 2) differences between their expected scores during practice and actual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3) differences between their expected scores right after competition and actual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4) 52.73% of coaches and 61.38% of gymnasts were satisfied with the scores they obtain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m was not shown; and finally; 5) coaches were likely to emphasize their `efforts` about the score they obtained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ctual score. Gymnasts were likely to emphasize their `efforts` wh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ctual score, while they were likely to emphasize their `capability` when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actual sco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