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litical Psychology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윤광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revious works of political culture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in order to establish why we need to introduce such cultural constructs as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the scientific study of cultural influences on citizens’ political preference and behavior. First, this article will advance that the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implications of political culture for the individual level has been largely missing. Second, it will examine previous works about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order to make a case for how we can enrich the study of political culture by taking advantage of interdisciplinary efforts. Third, this paper will propose some of the solutions for the political psychological study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KCI등재

        좌업 생활 노인의 걷기 운동량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대사 관련 요인 관계 분석

        윤광한(Yun, kwang-han),박종석(Park, Jong-Suk),김상호(Kim, Sang-ho) 한국사회체육학회 202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8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walking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sm-related factors for the elderly with sedentary life using KNHNES data. Metho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NHNES Ⅶ conducted in 2016~2108. The subjects, a total of 4,288 elderly aged 65 years and older,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habitual sedentary life time and three groups based on total walking exercise amount. The dta processor for this study was used as a percentage and standard error (SE) or mean (M) of all measured values, used chi-square test, generalized linear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of the sedentary lif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ehnormal group (p<.001). 2)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dentary lief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p<.001). 3) The difference of metabolism-related factors between the walking exercise amount groups in sedentary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eight, weight, total calorie intake (p<.001), and HDL-C (p<.01). 4)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walking exercise groups was significant (p<.05). Conclusion: In summary,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nfirm that people with a sedentary life are more likely to have metabolic syndrome. The amount of high-intensity walking exercise and the amount of moderate-intensity walking exercise in a sedentary life can prevent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후보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유권자 기본 심리특성의 영향 : 가치와 정치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윤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7 『選擧硏究』 Vol.1 No.8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choices in order to understand voters’ political preference formation process in an integrated approach.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set collected after the 19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it attemp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wartz’ basic personal values and ideological selfplacement and the influence of those bas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party and candidate choices. The study finds that basic personal values, which have been suggested to predict one’s ideological self-placement, turned out not to influence his or her party identification or candidate choice directly while there was a stark ideological contrast among different party and candidate supporters. Specifically, there was even stronger ideological contrast between the supporters of Moon Jae-in and those of Hong Jun-pyo as well as between the supporters of Democratic Party and those of Liberty Korea Party. Moon and Democratic Party have been perceived as progressive while Hong and Liberty Korea Party as conservative. The study also finds that party identification influenced one’s candidate choice while basic personal values did not, according to McFadden conditional logit model estimation. There was no distinct contrast of such basic values as openness to change, conservatism, self-transcendence, and self-enhancement among different party and candidate supporters. Yet, it finds that older generations seem to perceive themselves as more conservative and subscribe conservatism more as basic personal values than younger generations do. 본 연구는 유권자 정치선호 형성과 선택의 심리 과정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 제19대 대통령선거 후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정치적 사고와 행동을 예측하는 기본 심리특성변인으로 슈워츠 개인 기본가치와 정치이데올로기의 관계와 정당과 후보 선택에 미치는 두 변인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후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첫째, 이론적으로 정치이데올로기 정향에 선행하는 것으로 상정되어 온 개인 기본가치는 정당일체감과 후보 선택에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기 어려운 반면에 후보 선택 집단과 정당선호 집단에 따른 정치이데올로기 정향 차이는 뚜렷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진보 후보와 정당으로 인식되고 있는문재인과 더불어민주당 선호집단과 보수 후보와 정당으로 알려진 홍준표와 자유한국당 선호집단의 진보-보수 성향차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지난 제18대 대통령선거 후보 지지집단 간에도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이번 선거에서 정치이데올로기 정향과 이와 밀접한 관련이있는 정당일체감은 사회경제변수와 출신지역을 통제한 McFadden 조건부 로짓 모형에서 후보선택에 독립적 영향을 미친 반면에 기본가치는 대체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변화에 대한 개방, 보수, 자기초월, 자기고양 등의 상위차원 기본가치는 대체로 정당과후보 선택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사회경제 변수 중 세대는 정치이데올로기는 물론이고 가치와도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났다. 나이가 든 세대일수록 자신을 보수 정치성향으로 평가하고 있고, 보수 성향과 관련이 있는 보수 가치에 대한 지지도 높은 반면에 진보성향과 관련이 있는 변화에 대한 개방 가치에 대해서는 그 지지가 낮았다. 관찰 결과의 함의와한계를 논의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 KCI등재

        6 · 4 지방선거와 분할투표

        윤광일(Kwang-Il Yoon) 한국정당학회 2014 한국정당학회보 Vol.13 No.3

        이 글은 「2014 지방선거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분할투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독립변수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광역단체장과 의회 지역구 선거에서 정당 선택 대안이 없어 필수 분할투표를 할 수밖에 없는 사례를 포함한 경우와 선택 대안이 있어 의도적 분할투표가 가능한 사례에 한정한 경우로 나누어 정당일체감, 정당호감도, 투표 결정시기, 정치지식, 비례선거에서 군소정당 투표 여부 등의 상대적, 독립적 효과를 추정한 이 같은 작업은 주로 2004년 1인 2표 병립제 도입 이후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해 온 지금까지의 한국 분할투표 관련 연구의 지평을 광역선거 분석에 확장시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분할투표 행위에 영향을 주는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동기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유권자의 투표 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추구했다. 연구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일체감은 일관되게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낮추며, 통합진보당 또는 정의당에 대한 일체감의 이 같은 영향력은 필수 분할투표 사례를 제외한 후 비례선거에서 진보 정당에 대한 투표 여부를 통제한 모델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집권여당에 대한 극단적인 호감과 반감은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지식과 투표 결정시기, 정당균형 선호도의 영향력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군소정당에 대한 비례선거에서의 투표는 군소정당 대안 유무와 상관없이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independent effects of party identification and favorability, timing of vote decision, political sophistication, PR voting for small parties, and party balancing preference, on split-ticket voting in provincial elections, taking account of necessary split-ticket voting.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after the 2014 Nationwide Local Elections, the study extends previous findings on split-ticket vot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o provincial elections. The analysis controls for the effects of the electoral system as well as voter’s motiv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voting behavior. It finds, among others, that the identification with major parties consistently lowers the possibility of split-ticket voting while the identification with small, progressive parties shows such effect only when controlling for voting for small parties in the PR tier of the provincial assembly election and excluding necessary split-ticket voting cases. Second, extreme attitude toward the ruling party consistently decreases the chance of such voting behavior. In general, the independent effects of political sophistication, decision timing, and party balancing preference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inally, voting for small parties in the PR tier of the provincial assembly elect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plit-ticket, with or without small party alternatives.

      • KCI등재

        제20대 총선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제언

        윤광일 ( Kwang Il Yoo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6 의정연구 Vol.22 No.1

        이 글은 향후 제20대 총선의 실증적 연구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주제에 대해 현재 가용한 집합자료에 의존하여 탐색한다. 그 결과 투표 결정과 정당 및 후보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쳐온 구조적 핵심 원인(遠因)인 지역과 이에 근거한 전략적 투표, 그리고 최종 단계에서 총선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근인(近因)으로 알려진 대통령 직무평가와 현직효과 등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통적으로 영남과 호남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온 정당들이 열세 지역에서 적지 않은 의석을 획득하는 변화가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는 영·호남 지역정당의 배타적 의석분할구도가 재현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선두 후보 간의 경합도가 높은 경우 전국 차원에서, 특히 두 야권 후보가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 호남 지역에서 투표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신생 정당으로 정당일체감이 아직 형성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국민의당이 대부분 지역에서 분할투표로 인해 상대적인 이익을 본 것으로, 유력 정당인 새누리당과 더민주당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본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이번 총선에서도 집권당이 직전 대통령 선거보다 득표율이 떨어지는 중간선거 실패 현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총선에서 유권자의 선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온 현직효과는 이번에도, 특히 호남에서, 대체로 재현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관찰 결과의 시사점과 함께 향후 분석에서 다뤄야 할 쟁점을 소개하며 마친다. This paper explores research agendas that the empirical study of voting behavior in the 20th General Election of South Korea should address. Drawing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funnel of causality,” previous works on Korean voting behavior, and the available aggregate election data, it makes the following observations on regional, strategic, split-ticket voting, midterm loss, and incumbency effect: First, regional parties have largely maintained their grip on their regional bases in terms of winning seats despite the fact that Saenuri Party and Minjoo Party have successfully won seats in Honam and Youngnam regions, respectively. Second, the higher the turnout was, the more competitive the race was on the national level. It was especially the case in Honam, where two opposition parties with a similar support base fiercely vied for regional dominance. Third, the People’s Party, with which voters’ identification has yet to be developed, seems to benefit from split-ticket voting while Saenuri and Minjoo incur loss. Fourth, midterm loss, where the presidential party suffers an electoral decline, has repeated. Finally, incumbents fared well, especially in Honam.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lic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The Individual-level Implications of Social Capital for Democracy in East Asia

        윤광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24 No.1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social capital in East Asia for the citizens’ attitudes toward political engagement and the quality of governance using the fourth wave of the Asian Barometer Survey. Using multilevel analysis, it attempts to disentangle individual level and country level factors in explaining generalized trust and other political involvement variables. In doing so, it aims to enrich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experience and evidence from East Asia. The analysis finds that formal membership tends to decrease generalized trust, which independently increases political involvement. It also finds that Confucianism at the country level tends to dampen political engagement. It suggests that most formal group in this region might be characterized as bonding and the citizens in Confucian culture might still be characterized as allegiant rather than assertive citizens.

      • KCI등재

        대북 및 통일 정책 선호의 개인 성향과 가치 기반

        윤광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9 국방연구 Vol.62 No.4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of progressive-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that has been found to shape political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focusing on its such motivational bases as values and ideological predispositions. It made the following observations based o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analysis: First, the analysis confirms that Schwartz’s basic values such as self-direction and stimulation are related to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while tradition to conservative orientation. It also finds that postmaterialism is negatively related to most conservative values except for benevolent sexism, which suggests that postmaterialism is a more valid motivation basis of political orientation than Schwartz’s basic values. Second, right-wing authoritarianism,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ystem justification are found to be motivational bases for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These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age while negatively to income and education. Thir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s that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is found to increase preferences for reunification and conciliatory policy toward North Korea while to reduce hawkish policy preferences toward North Korea. Lastly, women are more likely to show negative attitudes about reunification while older generations are more likely to favor both appeasement policies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as recent studies have found. 이 연구는 대북 및 통일 정책 선호와 이의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진보-보수 정치이념 성향의 심리적 기반을 파악하기 위해서 가치와 개인 성향이라는 동기 기반에 초점을 맞추어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보-보수 정치이념 성향의 동기적 기반으로 상정된 가치의 경우 선행연구 결과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슈워츠의 기본가치중 자기주도와 자극은 진보 정치이념 성향과 전통은 보수 성향과 예측대로 각각 관련이 있었으며, 탈물질주의도 예측대로 진보 성향과 관계가 있었다. 탈물질주의는 진보적 가치인 개방과 자기초월 가치와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고,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제외하고 대부분 보수적 이데올로기 성향과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슈워츠의 기본가치보다 진보 정치이념 성향의 동기적 기반으로 더 타당한 가치로 보인다. 둘째, 보수 정치이념 성향을 동기적으로 뒷받침하는 개인 이데올로기 성향은 사회문화적(우익권위주의), 경제적(사회지배지향), 현상유지 선호(체제정당화 동기), 젠더위계체제 정당화(양가적 성차별주의)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잠재적 개인차 변인들은 대체로 정적 상관이 있으며, 보수 이념성향 자기평가와도 관련이 있다. 또한, 이들 보수적 이데올로기 성향은 나이가 들수록 강화되는 것으로 보이며, 사회경제적 자원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높은 경향도 확인되었다. 셋째, 진보 정치이념 성향은 가치와 이데올로기 성향과 사회경제변수 그리고 정당지지 변수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도 대체로 일관되게 대북강경 정책 선호를 낮추는 반면 대북유화 정책과 통일 선호를 높이는 독립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한국의 경우 정치이념 성향이 대북 및 통일 정책 선호에 뚜렷하게 투영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재확인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에서도 최근 일련의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는 것처럼 나이가 많을수록 북한에 대한 강경정책을 반대하고 유화정책 선호가 높아지며 통일 또한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여성은 남성보다 통일에 대한 선호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구논문 : 6,4 지방선거와 분할투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회 선거 사례 분석

        윤광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4 의정연구 Vol.20 No.3

        이 글은 「2014 지방선거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할투표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독립변수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기초선거에서 필수 분할투표 사례를 고려하여, 정당일체감과 호감도, 투표결정시기, 정치지식, 선거구 크기, 비례선거에서 군소정당 투표, 정당균형 선호 등의 상대적, 독립적 효과를 추정한 이 같은 작업은 주로 2004년 1인 2표 병립제 도입 이후의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해 온 지금까지의 분할투표 관련연구의 지평을 기초선거 분석에 확장시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동기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투표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결과 밝혀낸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소정당에 대한 일체감은 필수 분할투표 사례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 분할투표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집권여당에 대한 극단적인 호감과 반감은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정치지식과 투표결정시기, 선거구 크기의 영향력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군소정당에 대한 비례선거에서의 투표는 군소정당 대안 유무와 상관없이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