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의 접근성 및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 분석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1

        웹을 활용한 교육은 인터넷의 일부인 웹이 1990년대 이후 급속한 성장을 하면서 교육에 융합된 결과이다. 그러나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아직 웹 접근성과 콘텐츠 확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18개의 중앙 및 시ᆞ도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와 에듀에이블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웹 접근성과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사이트들의 전반적 현황, 웹 사이트 사용의 용이성, 탑재된 교육 자료의 유용성을 평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그 동안 소외되어있던 특수교육 웹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반적으로 제공하고 향후 국가 및 지역단위 차원에서 특수교육 웹 콘텐츠 제공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및 취업 실태와 과제

        육주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3 장애와 고용 Vol.13 No.1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Iogy(IT) industry has been decreased since the latter half of 2000. However, researchers predict that IT industry will gradually grow in the future. Moreover. IT jobs are spreading to almost all industry area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a)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IT and (b) to address future tasks from the data examin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 trainees with disabilities who finished in 2001 from IT programs of about 100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supported by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Ied(KEPAD) and (b) trainees with disabilities who completed in 2001 from IT programs of thre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ffiliated with KEPAD, Data were presented in frequency and percentage. Problems found were lack of basic data from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supported by KEPAD, gaps between job qualification in IT and status of trainees with disabilities, limitation of disability types in the IT training programs, and lack of data on basic academic skills of trainees with disabilities in theinstitutes affiliated with KEPAD. Finally, long-term plans and tasks of the above issues were suggested. 정보기술 산업은 2000년 후반기 이후 급성장을 멈춘고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으나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기술의 직업은 전 산업에 침투하여 그 직업영역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정보기술기술분야에 장애인의 직업훈련과 취업현황을 파악하고 보다 많은 장애인을 안정적이고 수익이 높은 직업으로의 취업연계를 위한 직업훈련에 시사점을 도줄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지원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기관과 공단 산하 직업훈련기관의 수료생을 대상으로 하여 빈도수와 백분율을 조사하였다. 문제점으로 체계적인 기초자료 축적의 부족, 정보기술분야에서의 요구인력 특성과 장애인 훈련생 특성과의 차이, 특정장애유형 집중화,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기초자료 미흡이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장기적 대책방안이 마지막으로 논의되었다.

      • 사례기록을 통한 맞춤형 보조기구 서비스 요구 분석

        육주혜,손병창,공진용,이준석,오도영,강인학 대한재활공학회 2008 보조공학저널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개개인의 맞춤형 보조기구 서비스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전 연령 장애인 대상으로 다양한 보조기구를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과정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의 3년간 122건의 사례기록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센터의 일반정보, 이용자 장애정보, 일상생활을 위한 보조기구 요구 사항, 이동기기 및 센터 이용 교통수단, 보조기구 서비스 과정이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한 보조기구 서비스 과정은 초기상담, 상담/평가, 영역별 기능평가, 기구 적용, 종합계획수립, 사례회의, 시험적용, 기구대여 또는 지원, 사용자 훈련/기능 향상 평가, 종결 및 사후관리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individu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s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122 cases from 2004 to 2007 of GyeongGi-Do Assistive Technology Research & Assistance Center (ATRAC) that provided individu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variou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of all ages. General information, disability, assistive technology needs in daily living, wheeled mobility & transportation,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ss of 122 case reco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dividu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ss consisted of intake, consultation & assessment, functional evaluation, applic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center, planning, case conference, application of recommended devices in the user's environment, device lease or provision, user training & evaluation of functional improvement, and completion & follow-up.

      • KCI등재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문항(AINC-MR&ASD)의 요인구조 확인 및 모형 적합도 검증

        육주혜,박경옥,백종남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의 요인구조 탐색ㆍ확인과정을 거쳐 평가문항의 요인구조와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5개 지역 정신지체, 정서장애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목적표집을 통해 23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 척도는 의사소통형태(동작형, 표정형, 성인 의존도형, 몸짓형), 의사소통기능, 담화기능의 3가지 영역의 38개 변수로 구성된 평가문항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 모형의 잠재변수와 관측변수 간의 유의한 인과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 모형의 신뢰도는 모든 영역에 대해 단일 차원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공통적인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 분석이 중요한 만큼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alidate assessment index on nonsymbolic communication for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INC-MR&AS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fit test with AMOS. To do so, 2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in 5 metropolitan areas were purposively selected.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a) AINC-MR&ASD has 38 items in all from Communicative Forms (Actions, Facial Expression, Dependance on Adults, Gestures), Communicative Functions, Discourse Functions. The-goodness-of-fit was verifi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 The lat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of a single model for AINC-MR&AS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c) AINC-MR&ASD had statistically solid reliabilities and validity. Lastly, future study on the differences of nonsymbolic communication behaviors between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suggested based on the common factors found in this study.

      • KCI등재

        미국의 특수교육공학 관련 제도 연구

        육주혜,전경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1

        The roles of assistive technology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to support equal access to informa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students' functional improvement and maintenance in various academic areas, and active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 to investigate American laws and regulations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to provi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assistive technology in education and transition services and (b) to elicit implication useful for establishing necessary policy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in Korea. U.S. federal laws affecting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support including Assistive Technology Ac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Rehabilitation Act, and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re analyzed. Also,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providing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throug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Medicai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sistance and Bill of Rights Act Amendments, 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private insurance are investigated. Recent court cases are introduced to view the effects of the laws and support system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on an individual level. 장애학생의 교육에서 보조공학의 역할은 평등한 정보접근, 다양한 학업 영역의 기능 증진 및 유지, 적극적인 자신의 표현과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교육과 전환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보조공학 관련 미국 법규와 지원 경로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특수교육공학 지원 정책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장애학생 교육에 필요한 보조공학 제공을 규정하는 미국의 보조공학법, 장애인교육법, 재활법, 미국장애인법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주요 경로인 장애인교육법, 국민의료보장제도, 발달장애 법규, 직업재활부, 개인보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별 장애학생에게 관련 규정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최근 미국의 특수교육공학 관련 판례를 통해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특수교육공학 관련 정책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