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의 면역화학수술요법

        김진복,유항종,서병조,이주호,Kim Jin-Pok,Yu Hang-Jong,Suh Byoung-Jo,Joo-Ho Lee 대한위암학회 2001 대한위암학회지 Vol.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and effect of immunochemosurgery for gastric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12,277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for gastric cancer from 1970 to 1999. We also evaluated the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for 9,262 consecutive patients from 1981 to 1996.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reatment modality [surgery alone, surgery+chemotherapy, surgery+immunotherapy+chemotherapy (immunochemosurgery)] were evaluated in stage III gastric cancer. Results: The 5-year survival rate (5-YSR) of overall patients was $55.8\%$, and that of patients who received curative resection was $64.8\%$. The 5-YSRs according to TNM stage were $92.9\%$ for Ia, $84.2\%$ for Ib, $69.3\%$ for II, $45.8\%$ for IIIa, $29.6\%$ for IIIb and $9.2\%$ for IV. Regarding adjuvant treatment modality,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age III patients. The 5-year survival rates were $44.8\%$ for immunochemosurgery group, $36.8\%$ for surgery+chemotherapy group and $27.2\%$ for surgery alone group. Curative resection, depth of inva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 gastric cancer. Conclusion: Consequently, early detection and curative resection with radical lymph node dissection, followed by immunochemotherapy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tage III gastric cancer should be recommended as a standard treatment principle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위암 수술 1,435에의 예후 인자 분석

        서원홍,서병조,유항종,이우용,이혜경,Seo, Won-Hong,Seo, Byoung-Jo,Yu, Hang-Jong,Lee, Woo-Yong,Lee, Hea-Kyo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3

        목적: 위암은 한국에서 제일 흔한 암으로 저자들은 단일 술자에 의해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5년 생존율과 이에 따른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만 5년간 위암으로 진단되어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에서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환자 1,43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 종양의 위치 및 크기, 육안적 분류 및 조직학적 분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혈관, 신경초, 림프관 침윤 및 수술 방법 등의 인자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2.29 : 1이었고 평균 연령은 56.7세였으며 UICC TNM Stage IA 35.4%, Stage IB 14.1%, Stage II 12.6%, Stage IIIA 12.3%, Stage IIIB 8.3%, Stage IV 17.3%였고 전체 5년 생존율은 69.6%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 연령, 종양의 위치, 종양의 크기, Borrmann type, 분화도, Lauren 분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UICC TNM 변기, 신경초 침윤, 혈관 침윤, 림프관 침윤, 수술방법에 따라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변량 분석결과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만0|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 결론: 다양한 임상병리학적 특성들이 위암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지만 이들 인자들 중 결국 위벽 침윤도와 림프절 전이, 즉 병기가 예후에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위암환자 생존을 향상을 위해서 조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과 예후 영향인자에 대한 다각적인 치료 방법이 연구, 개발되어야 하겠다. Purpose: Gastric cancer is prevalent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5-year survival rate, and prognostic factors for gastric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by a single surge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435 patients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gastrectom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Gastric Cancer Center at Seoul Paik Hospital between September 1998 and August 2003, and the gender, age, location and size of the tumor, visual and histologic analysis,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invasion (perineural, venous, and lymphatic), and surgical method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ratio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2.29 : 1, and the average age was 56.7 years. Based on the UICC TNM classification, the patient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IA 35.4%, IB 14.1%, II 12.6%, IIIA 12.3%, IIIB 8.3% and IV 17.3%. The 5-year survival rate was 69.6%.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ival rate by age, location and size of tumor, Borrmann type, level of differentiation, Lauren's classification, depth of invasion, metastasis in lymph nodes, UICC TNM stage, invasion (perineural, venous, and lymphatic), and surgical method.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only the depth of inva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 Although various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ffect the prognostic factors of the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age of disease, such as depth of invasion and metastasis in lymph nodes, are the most critical factor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diagnosis of gastric cancer early and to study and develop various treatment methods based on the diagnostic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위전절제술 후 Kim 's Tie 부근 공장에 국소 재발한 위암환자 1예

        배병구,서병조,유항종,강윤경,김진복,Bae Byung-Gu,Suh Byoung-Jo,Yu Hang-Jong,Kang Yun-Kyung,Kim Jin-Pok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1

        위암은 국내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암으로서 근치적 절제술 및 확대 영역 림프절 절제술의 도입과 더불어 술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및 면역요법 등의 이용으로 최근 치료성적의 향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의 재발을 경험하게 되고, 대부분의 재발은 3년 이내에 일어난다. 재발양상으로는 크게 국소재발, 원격재발, 복막재발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재발양상이 한꺼번에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 중 국소재발의 호발 부위로는 림프절($48\%$), 문합부($32\%$, 잔존 위($20\%$)의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례: 51세의 여자 환자로 1999년 10월 진행성 위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당시 병기는 T3N1M0(IIIa,AJCC 1997)이었다. 수술 후 10회의 보조적 정맥 주사용 항암화학요법 및 경구용 항암화학요법을 2년간 실시하였고, 외래를 통한 추적검사상 약 5년간 재발을 보이지 않았으나 2004년 9월 시행한 내시경상 Kim's tie 부근공장에서 궤양성 병변을 발견하고 조직검사를 시행, 병리학적으로 낮은 분화도를 보이는 인환 세포암종 형태의 위선암 재발로 진단하고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방법은 Kim's tie 위치를 포함해 근위부 6.5 cm, 원위부 4 cm의 절제연을 두고 공장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당시 다른 복부장기로 전이는 없었으며 전이성 복수도 없었다. 수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회복하였으며 보조 항암화학요법 제제로써 TS-1을 사용하며 외래 통한 추적검사 중이다. Despite improvement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adenocarcinomas, the recurrence rates remain high in patients with advanced-stage disease. Most of the recurrence occurs within 3 years of the surgical resection, and nearly $90\%$ of the patients with recurrence die within 2 years of the diagnosis of recurrence. A recent study analyzed recurrence patterns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potentially curative gastrectomy. For those patients, $33\%$ of the recurrences involved locoregional sites, $44\%$ the peritoneum, and $38\%$ distant sites. A 51-year-old fe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tomach cancer and underwent a to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during Oct. 1999. The pathologic report indicated a T3N1M0 tumor. We performed immunochemotherapy for 2 years with regular follow up. A gastrofiberscopic examination done during sep. 2004, cancer recurrence was found at the Kim's tie site of the jejunual loop. We did an abdominal exploration and a segmental resection of cancer site with pathologically negative resection margins. After the operation, we started secondary chemotherapy with TS-1.

      • 선행화학요법으로 원격전이의 관해 후 위절제를 시행한 원격전이를 동반한 위암 1예

        김두원,서병조,유항종,김준희,이혜경,김진복,Kim Doo-Won,Suh Byoung-Jo,Yu Hang-Jong,Kim Jun-Hee,Lee Hye-Kyung,Kim Jin-Pok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전 세계적으로 위암의 발생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암르로 중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진행성 위암의 경우에는 아직도 예후가 불랴하며 예후에 dudgiddf 미치는 인자로는 원격전이, 림프절 전이, 불완전한 수술절제 등이 있다. 선행화학요법은 수술 전에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종양의 크기를 줄인 다음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이는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위암에서 병소의 국소적인 종양을 감소시켜 절제율이 증가하는 경우는 많이 있었다. 그러나 혈행성 및 복막파종 등 가종 원격전이를 동반한 위암에서의 선행화학요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원에서 폐전이 및 좌측 쇄골상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선행화학요법 시행 후 원격전이 부위의 완전 관해 후 위전절제술을 시행 후 원격전이 부위의 완전 관해 후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47세 여자환자로 이학적 검사상 좌측 쇄골상부 림프절이 만져지고 흉부 방산선 소견 상 다발성 폐전이를 동반한 진행성 위암으로 진단 받았다. 술 전 항암요법으로서 Taxotere, CDDP와 5-FU를 투여하였다. 항암화학요범 4회 실시 후 좌측 쇄골상부 림프절과 흉부 방산선 소견 상 보이던 다발성 폐전이가 사라졌고, 복부 CT 소견 상 위병 변의 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위전절제술과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였다. 병리조직검사상 위암은 위근육층까지 도달했으며 62개의 절제된 림프절 중 42개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 2회의 항암요법을 추가로 시행 받은 후 퇴원하였다. We report a case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Virchow's node and lung metastasis that responded remarkably to preoperative chemotherapy. A 47-year-old femal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incurable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Virchow's node and multiple lung metastasis. Preoperative chemotherapy with Taxotere, CDDP and 5FU was carried out. After four courses of the regimen, the Virchow's node and the lung metastasis had disappeared, and a marked reduction of the gastric lesion was observed on the CT scan. Consequently, the patient underwent a to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cancer cells were found to have infiltrated up to the muscle layer of the gastric wall, and 42 out of 60 resected lymph nodes were found to be metastatic. The patient received another two courses of chemotherapy after the operation.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4;4:282-285)

      • Borrmann 4형 진행위암과 같은 형태를 보인 호산구성 위염(Eosinophilic Gastritis) 1예

        신현욱,서병조,유항종,이혜경,김진복,Shin Hyun-Wook,Suh Byoung-Jo,Yu Hang-Jong,Lee Hye-Kyung,Kim Jin-Pok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1

        호산구성 위장관염은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드문 질환으로 1937년 Kaij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 1961년 Ureles 등은 광범위한 장관 내의 호산구 침윤으로 인한 장관의 비후, 부종 등을 보이는 미만형과 가성종양이나 용종의 형태로 장폐쇄를 흔히 일으키는 국한형으로 분류하였다. 1970년에 Klein 등은 미만형을 호산구가 주로 침윤한 장관병의 층에 따라서 점막하층형, 근육층형, 장막하층형 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호산구성 위장관염에 대하여 Talley가 제시한 진단기준에 의하면 첫째, 위장관 증상이 있고 둘째, 식도에서 대장까지의 위장관에 대한 조직 생검에서 한 곳 이상의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셋째, 소화기 외에 여러 장기에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넷째, 기생충 감염의 증거가 배제되어야 한다. 식도와 직장까지 소화관 어디든지 발병할 수 있으나 위장과 근위부 소장이 호발 부위이다. 호산구성 위장관업의 증상은 종종 급성 복증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급성 충수돌기염, 폐쇄성 맹장병변, 치료에 반응을 않는 거대한 십이지장 궤양, 또는 장중첩증, 출혈 등의 급성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진단이 확실치 않는 경우, 악성종양과의 감별을 요할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증례: 59세 남자 환자로서 내원 3주 전부터 시작된 식후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3회에 걸친 위내시경 조직검사 상 섬유소성 괴사와 육아조직, 섬유성 반흔형성을 동반한 만성궤양성위염 및 호산구 침윤 소견을 보여서, 위장의 수출부 폐쇄를 동반한 Borrmann 4형 위암으로 의심하고 위전절제술 및 D2 림프절 과청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병리 조직 검사상 고유근층의 저명한 비후성 반흔을 동반한 호산구성 위염, mural type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이상 소견 없이 퇴원 하였다.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s a rare clinicopathologic entity of unknown etiology with a variety of digestive symptoms. The pathogenesis is poorly understood. Diagnostic criteria include demonstration of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the affected bowel wall, lack of evidence of extraintestinal disease, and exclusion of various disorders that could mimic similar conditions. The disease might involve any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from the esophagus to the rectum, but the stomach and the proximal small bowel are most commonly affected. The clinical features depend on which layer and site are involved. We report the case of a 59-year-old male patient with a 3-week history of post-prandial vomiting with malnutrition and weight loss. An abdominopelvic CT showed a gastric outlet obstruction with diffuse wall thickening, as with linitis plastica. Three gastrofiberscopic biopsies showed chronic gastritis. We carried out a radical to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The pathologic report revealed a mural type eosinophilic gastritis with a marked hypertrophic scar formation at the proper muscle layer.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5;5:47-51)

      • 위전절제술에서 자동단단문합기 사용 후 문합부 협착에 대한 고찰

        구도훈,서병조,한원선,유항종,김진복,Ku, Do-Hoon,Suh, Byoung-Jo,Han, Won-Sun,Yu, Hang-Jong,Kim, Jin-Pok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최근 자동단단문합기를 이용한 위전절제술의 비율이 높아가고 있으나 술 후 식도공장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자동단단문합기 사용과 식도공장문합부 협착 발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만 2년 3개월 동안 인제의대 서울 백병원 한국위암센터에서 자동단단문합기를 사용하여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228예를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 수술방법, 자동 단단 문합기의 지경과 그에 따른 수술 후 협착의 발생여부, 그리고 역류성 식도엽의 동반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228예의 환자의 연령은 60대가 64예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0대와 40대 순이었다. 남녀성비는 2.3:1로 남자에서 많았다. 문합부 협착이 있었던 32예 모두는 looptlr 문합술을 시행한 경우에 발생하였고 Roux-en-Y 문합술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전체 228예 중 32예($14\%$)서 협착이 발생하였으며 자동단단문합기 25mm에서는 69예 중 11예($15.9\%$), 28 mm에서는 159예 중 21예($13.2\%$)에서 발생하여 두 군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역류성 식도염은 228예 중 56예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7예($12.5\%$)에서 협착이 발생하였고, 역류성 식도염이 없었던 172예 중 25예($14.5\%$)에서 협착이 발생해,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협착의 발생시기는 6개월까지 16예, 이중 역류성 식도염이 동반된 경우는 4예($25\%$)이었으며 7개월에서 18개월까지는 14예, 역류성 식도염이 동반된 경우는 3예($21.4\%$), 19개월 이후에는 2예가 발생하여 위-식도 문합부 협착과 발생시기 또는 역류성 식도염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결론: 위전절제술후에 발생하는 식도공장문합부 협착의 발생은 식도공장문합술식, 자동단단문합기의 크기, 그리고 역류성 식고염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도 공장문합부는 협착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 저자들은 적절한 크기의 자동단단문합기를 사용하여 문합부 긴장의 감소와 충분한 혈류의 공급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Anastomosis site stricture is a common complication after a total gastrectomy. End-to-end anastomosis (EEA) stapler devices are preferred to a hand-sewn esophagojejunostomy these days. However, stapling devices have been reported not to reduce the incidence of esophagojejunostomy site stricture considerably.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 1998 to Dec. 2000, at Korea Gastic Cancer Center,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we experienced 228 total gastrectomies in which EEA stapling devices had been used.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the stricture with the size of the EEA stapling device, the type of esophagojejunal reconstruction, reflux esophagitis, and duration of stricture development. Results: Among the 228 cases, as far as the patient's age was concerned, the 7th decade was the most common 64 cases, followed by the 5th decades. The Male-to-female ratio was 2.3:1. A loop esophagojejunostomy was used in 223 cases, and the Roux-en-Y method was used in 5 cases. The 32 patients with anastomosis site stricture were patients with loop esophagojejunal anastomosis. Anastomosis site stricture occurred in $14\%$ (32/228) of the total gastrectomy cases, in$15.9\%$ (11/69) of the total gastrectomies involving stapler devices with a 25-mm diameter, and in $13.2\%$ (21/159) of the total gastrectomies involving staper devices with a 28-mm diamet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stricture and EEA- stapling device size (P>0.05). Reflux esophagitis occurred in 56 of the 228 cases, with 7 of those 56 cases ($12.5\%$) and 25 of the remaining 172 cases ($14.5\%$) having strictures.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stricture incidence rat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reflux esophagitis (P>0.05). The onset of stricture development, occurred within 6 months in 16 cases, including 4 cases of reflux esophagitis, between 7 and 18 months in 14 cases, including 3 cases of reflux eshophagitis, and after 19 months in 2 cases. Conclusion: An esophagojejunostomy site stricture after a total gastrectomy was not correlated with the esophagojejunal reconstruction type, the size of the stapling device, or the presence of reflux esophagitis. General anastomosis technical factors (e.g., adequate blood supply, tension-free manner, adequate hemostasis) may be more important to prevent anastomosis site stricture after an esophagojejunostomy during a total gastrectom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