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 속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긍정적 저항 행동 분석

        유명희(Ryu, Myounghee),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 속에서 관찰되는 학생의 저항 행동 중에서도 긍정적 저항이 있음을 밝히고 긍정적 저항행동을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 속에서 학생의 저항 행동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학생의 저항 행동 중 긍정적 저항 행동에 초점을 맞춰 Van Kaam(1969)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수업 속 학생의 긍정적 저항 행동은 53개의 의미 있는 진술, 10개의 부주제, 4개의 주제 및 2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범주 1은 ‘비언어적인 긍정형 저항 행동’으로 ‘순응적 노력’과 ‘부가적 행동’이라는 주제로 나눌 수 있었다. ‘순응적 노력’은 ‘긍정적 시도’와 ‘부가적 행동’이라는 부주제로 이루어졌다. 범주 2는 ‘언어적 긍정형 저항 행동’으로 ‘직접적 피드백’과 ‘질문하기’라는 두 주제로 나뉘었다. ‘직접적 피드백’은 ‘활동에 대한 의사표현하기’와 ‘요구하기’의 두 부주제로 나뉘었다. ‘질문하기’는 ‘내용이나 방법에 대해 질문하기’, ‘기억을 상기시키는 질문하기’, ‘절차를 확인하는 질문하기’의 세 부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통해 학생의 긍정적 저항 행동의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 positive resis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lass. Methods The study is to analyze the 200 students open questionnaires from 5th to 6th grade students. Data was analysed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Van Kaam(1969). Results Data was sorted into 53 meaningful statements, 15 sub themes, 6 themes, and finally 2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was ‘non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s’ including ‘adaptive effort’ and ‘additional action’. The second category was ‘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s’ including ‘direct feedback’ and ‘Asking questions’. Category 1 was divided into the themes of ‘adaptive effort’ and ‘additional behavior’ as ‘non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 Again, ‘adaptive efforts’ were divided into ‘positive attempts’ and ‘additional actions’. Category 2 was divided into two themes: ‘direct feedback’ and ‘Asking questions’ as ‘verbal positive resistance behavior’. ‘Direct feedback’ was divided into two sub-themes: ‘Expressing opinions about activities’ and ‘Requesting’. ‘Asking questions’ includes sub themes such as ‘Asking questions about content or method’, ‘Asking questions that remind memories’, and ‘Asking questions that check procedures’. Conclusions Focusing on these results,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 of positive resistance behaviors in class was presented.

      • KCI등재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비교

        장영수(Jang, Yongsu),정진욱(Jung, Jinwook),유명희(Ryu, Myounghee),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주요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초·중 통합운영학교들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다가오는 미래사회 변화와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사회의 저출산 고령화와 학령인구 감소는 사회 환경 및 교육 환경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정책 환경변화를 야기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 통합에 대한 부분이다. 현 통합운영학교 정책은 학생의 학습권 보장과 교육재정 배분의 문제, 학교급의 자율성 보장의 문제,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직원 운영 등 여러 가지 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교원 수급 조정, 교원 양성, 자격, 임용 제도의 정비, 학교 시설 제도 및 운영,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등에 다양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주요 시도교육청은 이러한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초·중등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분석 결과 교무실 및 행정실을 통합하거나, 학교 시설 및 물리적 공간을 통합하는 학교가 다수였다. 반면 교원의 배치 및 업무 분할은 개별 운영하는 학교가 많았다. 교육과정의 경우 교과 영역 보다는 비교과 영역, 학생 공식 행사 및 동아리 운영에서 일부 통합 운영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하여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 현재 운영 중인 통합운영학교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운영과 교육과정, 교직원관리, 학교 행정 및 회계 관리, 교육시설, 통합운영학교 관련 법령 및 제도 등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operated by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to seek policy suggestions to respond to new educational demands followed by upcoming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policy environments. Low birthrate and aging in the future society and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change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ause various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s. Among various educational measures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what matters the most is to integrate schools due to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especially that of children, and to provide institutional plans for this. The current policy of integrated schools is causing several controversies on the issue of guaranteeing students’ right to study, distribution of education finance, the autonomy at the school level,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chools and the operation of teachers. It needs various system supplements on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training teachers, qualifications, organiz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an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educational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solving,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re operating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which according to the analysis, was mostly operated by integrating teaching and administrative offices or school facilities and physical space in school. The placement and division of duties of teachers, on the other hand, were operated individually by lots of schools.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some were integrated operation in extracurricular areas, student official events and club management, rather than in subject areas. Like thi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problems and improvements such as efficient oper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in faculty, school administration and account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laws and institutions of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by discussing current issues on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 KCI등재

        원격수업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 중요도-실행도 분석

        정진욱(Jung, Jinwook),장영수(Jang, Yongsu),유명희(Ryu, Myounghee),고현국(Ko, Hyunkook),박현진(Park, Hyeonji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and conditions of remote learning unprecedented executed by Covid-19. For this, a survey was done by 386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king the importance of a teacher on remote learning. The survey was progressed t-test and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to identify the feature of participants through SPSS 19.0 statistic analysis program, differences and importance according to background and implem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implementation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in remote learning.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and teaching career, working areas, and grade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ird, significant roles are focused on learning environments, facilitating interactions, and designing instructions with the efforts to be improved. Some roles of lower order of priority were academic counseling and evaluation, while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was confirmed as the one that overexertion needs to be rejected.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하여 전례 없이 전면 실시된 원격수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20일부터 6월 10일까지 초등학교 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원격수업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 중요도-실행도를 묻는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SPSS 19.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및 중요도, 실행도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t검정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원격수업에서 교사역할의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 중, 연령과 교직경력, 근무지역, 담당 학년의 일부 역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중 지속 유지해야 하는 강점 역할은 학습환경관리자, 상호작용촉진자 역할이었으며, 개선 노력이 집중되어야 하는 역할은 교수설계자 역할이었다. 그리고 낮은 우선순위를 지닌 역할은 학습상담자, 학습평가자 역할이었고, 과잉노력이 지양되어야 하는 역할은 학습정보제공자 역할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