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맞벌이부부의 가사분담이 부인의 일-가족 전이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계숙(Gye-sook Y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1
본 연구는 맞벌이부부의 가사분담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살펴보고, 부부의 가사분담이 부인의 일-가족 전이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맞벌이가정과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지원 및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7년과 2008년 여성가족패널조사에 참여한 여성응답자중 임금근로자인 남편과 1명이상의 미취학아동과 동거하는 맞벌이기혼여성으로 부부 이외의 가사조력자가 없는 253명의 응답자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하여 미취학아동이 있는 맞벌이가정에서 부부의 가사분담이 가사조력자 없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사분담은 평일에 남편이 34분, 부인이 4시간 4분, 그리고 주말에는 남편이 2시간 53분, 부인이 9시간 16분으로 부인이 남편보다 가사노동을 하는 시간이 평일에는 약 7배, 주말에도 역시 부인이 남편보다 약 3배 정도 더 긴 시간 가사노동을 함으로써 부인이 가사노동의 주담당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부간 불균형한 가사분담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부인의 주관적 만족도는 보통 수준보다 약간 만족하면서 전통적인 성별분업을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맞벌이부부의 가사분담이 부인의 일-가족 전이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인의 주말 가사노동시간이 짧을수록, 남편의 주말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부인의 일이 가정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부인의 주관적 만족은 부인의 일-가족 전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부인은 자신의 일에 만족하고, 남편의 월평균 급여액이 많을수록, 그리고 남편의 가사분담에 만족할수록 결혼생활에 만족하지만, 부부 각자의 평일과 주말 가사노동시간은 부인의 결혼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in dual-earner families and affects work-family spillover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providing implications to assist them successfully integrate work and family roles and enhance their marital relationships. From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KLoWF(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in 2007 and 2008, two hundred and fifty-three working wives of wage earners living with more than one preschooler and without domestic assistant a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husbands perform household labor 34 minutes during the week and 2 hours and 53 minutes on the weekends. In contrast, wives perform household labor 4 hours and 4 minutes during the week and 9 hours and 16 minutes on the weekends. Thus wives perform household labor seven times longer during the week and three times longer on the weekends than their husbands do. Although wives do overwhelmingly more household labor than their husbands, they're a little satisfied with their husbands'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couples' actual amount of times spent in household labor on the weekends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wives' work-family spillover, and that wives' satisfactions with their husbands' division of household labor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s in dual-earner families.
유계숙(Yoo, Gye-sook),강민지(Kang, Min-ji),윤지은(Yoon, Ji-Eun)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3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에코부머’ 세대인 2001년과 2017년의 20대 미혼 청년들이 보고한 가족개념 및 가치관의 전반적 경향을 비교해보고, 청년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고려하고도 두 시점의 청년세대가 가족구성의 다양성 수용도,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등에서 상이한 가족개념 및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 실증자료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2001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미혼 남녀 청년층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해 동일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01년 182명, 2017년 224명, 총 406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과 2017년 청년집단 모두 ‘부부와 그들이 낳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을 전적으로 가족으로 수용한 반면, ‘1인 가구’, ‘개인의 조상’, ‘동거하는 친구’, ‘공동체생활 집단’은 가족으로 수용하지 않았다. 또한 두 시기의 청년집단 모두 ‘한부모・재혼・입양・다세대확대가족’을 가족으로 수용 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2001년보다 2017년 청년층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두 시 기의 청년세대에서 가장 현격한 가족개념의 차이를 보인 형태는 ‘애완견을 키우는 노인’, ‘동거하는 사촌형제’, ‘동성애커플과 자녀’ 등으로, 2017년 청년들은 이러한 관계를 가족으로 수용한 반면, 2001년 청년들은 가족으로 규정하지 않는 개념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가족가치 관에서는 2017년 청년들이 2001년 청년들에 비하여 부모-자녀 간 일체감이나 전통적 성역할 등 가족주의 이념에 매우 거부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 획일적인 부계혈연중심 초혼핵가족에 편향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도 상당히 약화된 태도를 보였다. 둘째, 2017년 청년들은 개인의 인구학적 특징을 통제한 후에도 2001년 청년집단에 비하여 다양한 가족 형태에 보다 수용적이었으며,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 및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보다 거부하는 가치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현 세대인 2017년 20대 미혼 청년들은 과거 세대인 2001년 20대 미혼 청년들에 비하여 가족개념과 가치관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between the two cohorts of never-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in 2001 and 2017. We also investigated the 2001 vs. 2017 cohort effects on the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traditional familism, and normal family ideology. The two-wave surveys with the same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mongst one hundred and eighty-two young adults in 2001 and two hundred and twenty-four young adults in 2017. The results showed that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young adults from both cohorts accepted the intact nuclear family of biological parents as ‘a family’, while the single household, one’s ancestors, cohabiting friends, and people living together in a communal fashion were viewed as ‘nonfamilies’. The majority of both cohorts showed similar patterns in high rates of accepting single-parent, remarried, adopted, and three-generation families as ‘families’, and these patterns were significantly salient in 2017.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horts were that the majority of young adults in 2017 accepted the single household with pets, adult cousins living together, or lesbian couples with children as ‘families’, while young adults in 2001 viewed them ‘nonfamilies’. Regarding family values, the young adults in 2017 showed more disagreement with traditional familism and normal family ideology. After controlling for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young adults in 2017 had higher levels of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and lower levels of traditional familism and normal family ideology than the young adults in 2001.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of Korean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have become more flexible and liberal over the past sixteen years.
효도계약과 불효자 방지법안에 대한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의 태도
유계숙 ( Yoo Gye Sook ),김제희 ( Kim Je 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Filial Duty Contracts` and `Anti-Unfilial Piety Bill` among 210 college student children in young adulthood and 198 parents of college student children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e also compared the needs for `Filial Duty Contracts` and `Anti-Unfilial Piety Bill` between two-generation group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ve factors of required filial duty contract details were `physical support`, `emotional support`, `caregiving for sick parents`, `economic support`, and `normative duty`. Second, for the parent group, `emotional support` was most required among the five categories of filial duty contract details, followed by `caregiving for sick parents`, `normative duty`, `physical support`, and `economic support` in order. For the college student group, `caregiving for sick parents` was most preferred filial duty contract details, followed by `economic support`, `emotional support`, `normative duty`, and `physical support` in order. Both groups reported that `emotional support` was a high requirement for filial duty contract details. Meanwhile,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etween two-generation groups. The parent group more required `normative duty` contract details than child group, while the child group more preferred `economic support` and `caregiving for sick parents` contract details than their counterpart. Finally, the parent group reported higher levels of needs for `Anti-Unfilial Piety Bill` than the college student child group.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bove are discussed for future study and legislation.
청년층 대학생의 소비욕구와 기대결혼비용이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
유계숙 ( Yoo Gye S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ption wants and expected wedding expenses on expected marriage age among 384 unmarried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wed high levels of consumption wants on the whole. The mean expected wedding expenses was 83,680,000 won, while the mean expected marriage age was 29.76 year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levels of exhibitionistic wan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s` expected wedding expenses in the futu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students` expected wedding expen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xpected marriage ag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rational way of marriage preparation and consump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