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태생학적 연기설 재검토 : Mahānidāna경, Mahātaṇhāsaṅkhaya경을 중심으로

        우동필(Woo, DongPil)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니까야』(Nikāya)에서 [십이]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태생학적 해석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대안적 이해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비담마(Abhidhamma) 해석 이후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을 설명하는 윤회 이론으로 간주되어 왔다. 비록 주요 논사들과 연구자들이 태생학적 연기설을 거부하고 있을지라도, Mahānidāna경의 ‘식(識, viññāṇa)이 모태(母胎, matukucchi)에 하강[下降, avakkanti]한다’는 표현이나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부모(mātāpita), 간답바(gandhabba)의 3가지 조건으로부터 개체가 발생한다’는 설명은 분명하기 때문에, 태생학적 연기설은 수용하기도 거부하기도 어려운 문제로 전해졌다. 이 경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를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일반화할 수 없는 맥락들을 발견한다. Mahānidāna경의 ‘식이 모태로 하강한다’는 설명은 색계・무색계에 들어선 수행자의 의식이 욕계로 돌아와 언어-인지 활동[名色]을 재개한 것에 관한 설명이다. 법(法, dhamma)에 대한 깊은 이해[意, manas]의 위치를 자궁(yoni)으로 표현한 것[如理作意, yoniso manasikāra]과 같이, 여기서 모태는 의식적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태생학적 설명은 식을 윤회의 주체로 잘못 이해한 사띠(sati) 비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잘못된 생각에 대치한다. 십이연기에 부가된 태생학적 설명은 식의 생물학적 조건을 설명함으로써 식을 초월적 존재로 오해한 사띠의 생각을 치유하게 된다. 이 경전의 맥락들을 고려할 경우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것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 이해는 태생학적 연기설의 시각을 벗어나 경전의 전체 교법과 각 경전들의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by tracing the origins of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of Twelve Nidānas (paṭiccasamuppāda) in Nikāyas. Since the interpretation from Abhidhamma, Twelve Nidānas has been regarded as a reincarnation theory that explains the embryologic process. Though major commentators and researchers have been rejecting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are regarded to be a difficult issue either to accept or reject because of the expressions such as consciousness [viññāṇa]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in Mahānidāna-sutta and the infant was born from an union of three conditions that are the mother and father and the spirit-being (gandhabba) in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ntext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former expression is to be an explanation that consciousness resumes activities of the language-recognition and comes back from Form·Formless Realm (rūpa·ārūpadhātu) to Desire Realm (kāmadhātu) among ‘Three Realms’ (Tayodhātavo). Here the mother’s womb can be understood as a conscious space such as the womb (yoni) expresses the space of a deep understanding (manas) of the law (dhamma). The latter is to be an explanation in context that the consciousness should be understood under human conditions targeting the thought of Sati who misinterpreted it as the subject of reincarnation. In this sutta, embryologic description is added after the explanations of Twelve Nidānas, to correct Sati s idea of regarding it as transcendental being. Considering these contexts, it can be seen that the Twelve Nidānas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with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laims that Twelve Nidāna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whole teaching and the context of each scripture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 which is only a later work.

      • KCI우수등재

        염(念, sati)과 견(見, diṭṭhi) : 지·관(止·觀, samatha·vipassanā) 구분의 기준에 대하여

        우동필(Woo, DongPil)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1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justify that it is not in mindfulness (念, sati) but in view (見, diṭṭhi) what distinguishes the difference between Calm (止, samatha) and Insight (觀, vipassanā). Korean scholars have studied on both samatha-vipassanā enthusiastically to try to understand their complex coherence since 2000. Cho Joon-Ho proposes the view of ‘the sequential cultivation’ (止觀次第) which ascend from samatha to vipassanā, regarding the concentration-meditation (禪, jhāna) and ‘the establishment of mindfulness’ (念處, satipaṭṭhāna) as samatha and vipassanā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Lim Seung-Taek suggests the view of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that samatha and vipassanā would be cultivated simultaneously or arbitrarily based on Yuganaddhasutta, Paṭisambhidāmagga. Kim Jae-sung introduces pure-insight (suddha-vipassanā) without samatha. In this process, sati was accepted as the criteria that could classify samatha-vipassanā. But despite their clear claims, there remains the difficult crux of sati that appears at 3rd and 4th material concentrations in samatha while at every level in vipassanā. This study looks for a clue in which the mundane world (世間, loka) and supermundane (出世間, lokuttara) diverge according to the right view (正見, sammadiṭṭhi). Whether the right view is present or not could become a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samatha and vipassanā, because samatha belongs to loka while vipassanā to lokuttara.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to differentiate between samatha and vipassanā by virtue of whether the right view is present or not. 본 연구의 목표는 ‘지·관(止·觀, samatha·vipassanā) 논쟁’에 나타난 염(念, sati)의 지위를 검토하여 지·관을 구분하는 권한이 염보다 견(見, diṭṭhi)에 있음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2000년 이후 한국불교에서는 초기불교의 지·관에 관한 연구들이 심도 깊게 진행되었다. 조준호는 지·관쌍수(雙修) 이해에 문제를 제기하고 색계4선(禪, jhāna), 4념처(念處, satipaṭṭhāna)를 각각 지, 관으로 배치하여 지로부터 관으로 향하는 지·관차제(次第)설을 제안한다. 임승택은 Yuganaddha경, Paṭisambhidāmagga의 설명을 근거로 지·관은 선후로도 동시적으로 가능하다는 지·관균등설을 제시한다. 김재성은 지를 배제한 상태에서 관을 닦는 순관(乾觀, suddha-vipassanā) 수행을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염은 지·관의 구분, 차제·균등(均等)의 발현 양태를 좌우하는 기준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이 선명한 주장들에도 불구하고 염은 지의 3선, 4선에서 나타나고 관의 초선부터 비상비비상처까지 나타나기 때문에, 지·관의 영역, 양자 모두에 나타나면서도 각각 다른 영역에서 발생하는 염이 어떻게 지·관을 구분하는지에 대한 의문은 해소되지 않아 왔다. 본 연구는 정견(正見, sammādiṭṭhi)의 여부에 의해 구분되는 세간(世間, loka)·출세간(出世間, lokuttara)의 구분에서 그 실마리를 찾는다. 지는 세간인 색계, 무색계에서 이루어지고 관은 출세간에서 이루어지며 세간·출세간은 정견의 유·무로 구분되기 때문에, 정견의 여부는 지·관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관을 구분하는 기준이 염이 아니라 정견의 여부에 있다는 새로운 이해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