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포화 구간 교통신호체계 개선 및 과포화 전략에 관한 연구

        우경민(WOO, Kyung Min),김수현(KIM, Soo Hyun)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3 No.-

        이 연구는 상습정체 구간 교통신호체계 개선을 위한 과포화 제어 전략의 분석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 교차로 및 링크간 주도로 차량 녹색 신호시간의 In-Out Balance를 조정하고 교통신호체계 개선 여부의 분석을 위해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을 활용하여 In-Out Balance 조정에 따른 교통신호체계 개선 효과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관내 대덕대로 가로구간 11개 교차로를 대상으로 교통현황 분석 및 각 시나리오별 개선을 실시하고, 미시교 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이용하여 각 시나리오별 교통신호체계 개선 여부를 분석하였다. 실질적인 교통신호체계 개선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교통량 및 교통신호체계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적용하였고, 연구 분석 결과 각 시나리오별 과포화 제어전 략을 적용한 후 대덕대로 가로구간 교통신호체계가 전체적으로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주도로 차량 녹색 신호시간의 In-Out Balance 조정을 기반으로 교통신호체계 개선 및 과포화 전략의 효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검토구간 교통신호체계 개선 시 주도로 차량 녹색 시호시간의 In-Out Balance 조정을 근거로 한 교통신호체계 개선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당 결과값은 실제 현장 데이터를 적용하여 분석하고 예측한 값이므로 교통신호체계 개선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후 개선된 데이터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주행조사 등의 현장조사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교통신호체계 개선을 위한 여러 요인들의 연계성을 병행한 분석을 통해 보완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교통신호체계 개선 및 과포화 전략 지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LED 및 미세전류 자극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우경민(Kyung-Min Woo),신미연(Mi-Yeon Shin),유창호(Chang-Ho Yu)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8 No.4

        The paradigm shift in the healthcare and medical industries has also affected the skin care field. Accordingly, R&D and commercialization of personal skin care devices are increasing. However, suppose ordinary users who need more knowledge of individual skin and personal skin care devices misuse the personal skin care device. In that case, it can cause significant side effects.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changes in users skin when the most diverse and commercialized LEDs and microcurrent skin care devices were continuously used and to compare and analyze skin conditions when LEDs and microcurrents were used alone and in combination. 15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60s with dry skin were divided into three subjects (Group A: using only red LEDs, Group B: using only microcurrents, Group C: using red LEDs, microcurrents), and a total of 8 studie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4 week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kin condition could be improved more when LEDs and microcurrent were used in combination than when LEDs and microcurrent were used alone. This study confirmed changes that occur when red LEDs and microcurrents are applied to the skin for a long time,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was deriv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