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MR을 이용한 스핀 확산에 관한 연구

        오정진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자연과학논문집 Vol.- No.8

        NMR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중에 ¹H과 13C의 스핀 확산 연구의 기법이 제안되었으며 이 실험을 통하여 실제 고분자의 성분간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국지적인 ¹H과 13C의 chemical shift 또는 mobility의 차이에 따라 주변의 ¹H과 13C peak가 성장하는 시간을 측정하므로써 분자구조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몇가지 서로다른 성분비를 가지는 Polybutadiene/polybutyl acrylate와 poly m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스핀확산과 고분자의 구조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Among the many NMR experiments, a technique of measurement of spin diffusion of ¹H and 13C has been suggested and reported. Since then many efforts to study the molecular motions and spatial properties of the solid polymer have been pursued. The measurement of spin diffusion between nuclear spins in solids has proven to be an sensitive proble of molecular shape and mobility. Molecular motions and spatial properties of several compositions of Polybutadiene/polybutyl acrylate and poly methyl methacrylate have been investigated.

      • KCI등재

        주권개념의 변환을 위한 시론

        오정진 한국법철학회 2012 법철학연구 Vol.15 No.1

        It is often understood that sovereignty is an absolute power and that of course, nation state has it. But the concept of sovereignty itself was invented at certain times and on specific purpose so that sovereignty can be articulated in various ways. In pre-modern society, the king had sovereignty but since after modern times, by constitutional law, it has been declared that people have sovereignty. However in reality, people do not exercise sovereignty except when they vote. The representatives take the responsibility of doing sovereignty in place of people and several powerful persons wield sovereign power. In this paper, I want to try to transform the concept of sovereignty from that of nation state based territory to that of citizen's lives. And for which I focus on sovereignty that comes from bodies of ordinary equal citizens, especially of weak or vulnerable people and that is still live and sometimes express itself under the representation system. Further, I would like to see the community that people make and that is not founded under the principle of inclusion/exclusion but open and that though does not have the name of community but in which common sovereign lives are performed. So, I imagine the figures of which sovereignty evolves beyond the frame of nation state, and treats other beings without fear and with hospitality. 흔히, 주권은 절대적인 권력이며 국가가 당연히 그것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주권이라는 개념 자체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일정한 시기에 발명된 것인 만큼, 주권은 다양한 양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 근대 사회에서는 왕이 주권을 가졌다면 근대 이후로는 헌법에 의해,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고 천명되어 왔다. 그렇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투표할 때를 제외한다면 보통의 사람들이 주권을 행사하지는 않는다. 대표자들이 국민을 대신해서 그것을 행사할 책임을 맡고 있으며 몇몇 힘 있는 자들이 주권적인 권력을 휘두른다. 이 글은 그처럼 영토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국가의 주권으로부터 시민의 삶의 주권으로 주권개념을 변환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를 위해, 대의제하에서도 여전히 고유한 생명력을 잃지 않고 존재하다가 종종 발현되는, 동등한 보통의 사람들, 특히 힘 없는 자들의 몸에서 비롯되는 주권에 주목한다. 아울러 그들이 만들어 가는, 포함/배제에 근거하지 않고 열린, 공동체라는 이름을 내세우지 않지만 엄연히 공동의 주권적 삶이 이루어지는 공동체에 시선을 돌리고자 한다. 그리하여 주권이 국민국가의 틀을 넘어서, 두려움 없이 다른 존재들을 기꺼이 환대하는 모습으로 발현되는 것을 상상해 본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여성주의철학과 법의 만남

        오정진 한국여성철학회 2007 한국여성철학 Vol.7 No.-

        Feminist philosophy criticizes that law takes equality as basic principle but excludes women substantially and justice which is law's basic idea is limited in public sphere. Seen from perspectives of feminist philosophy,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lso has problems discussed within family system and applied to only sexual domain. And feminist philosophy reveals that legal standards of judgement-reasonableness, impartiality, neutrality-are in fact fiction. Law repudiates such critiques of feminist philosophy toward law but it seems that law's defects are already disclosed. Today feminist approaches to law are more multiple and feminist philosophy and law in dynamics of relationship discover that both of them have common projects: the protection of right of living as oneself, the pursuit of justice, the equality of capabilities, and the response to changing life beyond law.

      • KCI등재

        에스포지토의 ‘the impersonal’ ―공정의 재배치를 향한 시론―

        오정진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3

        This paper shows that the recent fairness debate based on the theorem of justice of ‘to each according to his merits’ ignores commune life’s conditions while exaggerating the competitive field among individuals and can be reconfigured by ‘the impersonal’. The concept of ‘the impersonal’ is presented as non human or non-individual by Simone Weil who argues that justice is non-individual and impersonal. Roberto Esposito criticizes that along the proper and property instead of the common, the dispositif of the person operates toward death through the hierarchy of life, and alternatively pursues improper communitas of open relations. He refers the impersonal to ‘the impolitical’, that is the endeavor to understand politics freed from the political theological machine, immunitas as relation rather than exclusion or defense, and not as one or two but third person or non person that seeks relations with other human and non-human beings. The impersonal is performed in the context of body, thing, thought, institution. Esposito emphasizes that body and thought which considered as authentic and individualistic are in fact emerged in impersonal dimensions and such a context treats thing and institution. In order to actualize the impersonal, an open sense beyond border is required. So the conversions like this could be possible: from immunitary community to open communitas, from thanatopolitics to the affirmative politics of life, from the autopoietic immunitary law to ‘the law of life’ respecting every form of life. ‘The law of life’ means that founded on not the person but living person, assemblage of singular plural of human and non-human, unfold meta-mediating law of immanence of lives. And for there are limits of human being’s cognition frame, when saying fairness, we should respect the outside rather prioritize rights of each individual. 이 글은 ‘각자에게 몫을 주는 것’이라는 정의관 및 절차적 이론에 입각한 작금의 공정에 대한 이해와 담론은 개인 간의 경쟁적 차원이 지나치게 강조되면서 공통의 삶의 조건을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the impersonal’의 사유에 의해 공정 논의를 재배치하고자 하였다. ‘the impersonal’의 개념은 정의는 비개인적이며 비인격적이라고 본 시몬 베유에 의해 강력하게 제시된 것으로, 특히 로베르토 에스포지토는 법적·정치적 구성의 기본으로 전제된 人 개념이 재산과 적합성에 기반하여 삶을 위계화함으로써 죽음으로 내몰고 공통성을 외면하는 장치로 작용한다고 비판하며, 人에 근거하지 않은, 비적합한 존재들에 의한 열린 관계의 공동체를 추구한다. 에스포지토의 the impersonal에 관한 고찰은 ‘비정치적’, 즉 종래의 정치신학적 틀에 갇히지 않는 방식으로 다시금 정치를말하고자 하는 노력, 면역을 배제나 방어가 아니라 관계로서 이해하는 것, 일자적이거나 이분적인 대립에서 벗어나 다른 인간 및 비인간의 관계를 모색하는 third person으로 전개되었다. 그러한 비인격적인 것은 몸, 사물, 사유, 제도의 차원에서 드러나는데, 에스포지토는 종래 고유한 개인의 영역으로 생각되어 온 몸과 사유가 실은 다분히 비개인적이며 비인간적인 차원에서 비롯된 것임을 역설하며 그런 맥락에서 사물과 제도를 천착한다. ‘the impersonal’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경계에 대한 열린 감각이 요청되며, 그에 따라 면역적 공동체는 열린 공동체로, 죽음정치는 긍정적 ‘삶의 정치’로, 자기생산적 면역적 법은 모든 형태의 삶을 존중하는 ‘삶의 법’ 제도로 변환될 수 있다고 한다. ‘삶의 법’은 人을 근거로 하기보다는 단수적이면서 동시에 복수적인 인간과 비인간의 배치들의 삶의 내재성에서 발현된 규범이 메타제도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할 때 법제도는 삶의 다양성을 메타적으로 매개하고 연결하면서 갈등을 조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인간의 인식틀은 한계가 있는 만큼, 공정을 말할 때 인간 관점의 권리만 내세우기보다는 바깥을 존중해야 함을 이야기하였다.

      • KCI등재후보

        법적 허구와 실체

        오정진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경희법학 Vol.42 No.2

        This paper is start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legal judgement is often assumed true and the critique of that is deterred. And the overview of some debate about legal fiction are as follows. Legal fiction means the artificial constructs in law and the legal concepts such as corporate entity, rights are in fact legal fiction. Jeremy Bentham believed that legal fiction was necessary evil and Hans Vaihinger expressed his opinion that through legal fiction we could understand truth. Also Lon Fuller thought that legal fiction had the function of appearing true character of law. But Pierre Bourdieu indicates that legal fiction is just illusion that justifies standing legal understanding and CLS criticise that legal fiction becomes the legal myth thus the debate about the law is limited. In case of communitarians, they argue that legal fiction such as neutrality is not desirable therefore legal standards should be made including the value of community. Moreover, post-modernists deconstruct legal value itself supported by legal fiction. And feminist legal theorists show us that legal standards are fiction in reality more accurately. Particularly, the essential legal standard and proclamation, that is social common reasonableness, neutrality/impartiality, truth/perfection are also rather fictional than realistic one construed artificially for convenience of legal analysis. Accordingly, in order to reveal and make legal reality, we should introduce more concrete and diverse narratives into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