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의 문화적 공감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다문화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오원옥,박일태,송민주 한국아동간호학회 2019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care teache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77 child care teachers at private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G and S districts of Seoul. The survey instruments included a cultural empathy questionnaire, a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and a cultural compete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es were performed. Bootstrapping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del developed herein.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ultural empathy, multicultural 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were noted.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promote their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efficacy. Furthermore, these results will ultimately enhance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thus contributing to the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원옥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4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이주민 및 다문화 가정의 증가에 따른 의료환경의 변화에 대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더 이상 단일민족, 단일사회가 아닌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간호학부 교육에서부터 범문화적인 간호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외국인과의 교류 경험이 높은 그룹이 문화적 민감성이 높게 나타나 학부 교육과정에서부터 다양한 인종과 문화적 특성에 대한 지식의 제공뿐만 아니라,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 임상 사례 등을 통한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공감과 자기효능감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신과 다른 인종, 문화적 특성에 대해 수용적이면서 더 나아가 그들의 느낌 또는 생각을 전위시킬 때 문화적으로 적절한 간호 수행이 가능해 짐을 의미한다. 또한 자신의 업무 기술 또는 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가진 대상자를 접할 때 이를 간호 수행의 장애로 평가하기 보다는 그들을 위해 적절한 간호 중재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전략이 함께 고려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오원옥 한국아동간호학회 2008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4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quality of family life, parental locus of control, and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to elucidate factors that influence family quality of life i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e Disorder (ADHD). Method: A convenient sample of mothers from 6 child psychiatric clinics was used in this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Questionnaires used for data collection included the following scales: Family Quality of Life, Parental Locus of Control-Short Form Revised,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Results: The level of family quality of life was mid-range.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amily Quality of Life and the research variable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family quality of life were parental locus of control,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duration of medication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1.8% of the variance in family quality of life.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mily quality of lif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health care provider should assess and evaluate for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quality of life is an important link with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al locus of control.

      • KCI등재

        유아교사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인식 및 관련변인 연구

        오원옥,김혜순,김인홍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아동과 권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ceptions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8 preschool teachers. To assess the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 scale was developed using the Delphi metho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perceptions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views on marriage, and views on childbirth. Teac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rough self-repor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 one-way ANOVA, the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on childbirth promotion for preschool children were high despite the fact that experience and information about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the preschoolers in the field were scarce. Second, the mean scores for teacher perceptions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views on marriage, and views on childbirth were greater than the `average' score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levels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n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ass in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ers' perceptions on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their views on childbirth, the number of class, their views on marriage, and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in that order. The model explained 23.2% of the variations. 본 연구는 취학전 출산장려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그 관련변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경상남북도, 울산시의 유아교육기관 교사 208명이다. 우선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로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교사 인식 척도를 개발한 후, 원가족건강성, 결혼관, 자녀관 척도를 포함시킨 질문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교육현장에서 출산장려교육이나 관련 정보 지원이 거의 없었으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과 이를 위한 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 인식은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인식, 원가족건강성, 자녀관, 결혼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학전 출산장려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는 자녀관, 소속기관 학급 수, 결혼관, 원가족건강성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이 총 변량의 23.2%를 설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