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파암 수술 전과 후에 적용한 운동의 효과: PubMed 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오보람,김희수,박수경 대한통합의학회 2023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1 No.2

        Purpose : Lung cancer induces a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and a deterioration of respiratory ability. Exercise is an effective treatment to reduce side effects of anti-cancer treatments, also influence the survival and successful rehabilitation in lung cancer patient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show which period is the most effective to apply exercise for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xercise-based interventions before and after surgery. Methods : Clinical trials (CT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reported in PubMed database were investigated. The tria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published for 10 years before August 20, 2022. The risk of bias was judged according to the Cochrane guideline. The materials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were 6-minute walk test (6MWT), pulmonar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Results : 1 CT and 9 RCTs were selected in current study. In the meta-analysis, exercise increased 6MWT in preoperation (mean difference [MD] 29.49; 95 % confidence interval [CI] .99 to 57.99; p=.04; I2=0 %), 3 months postoperation (MD 54.97; 95 % CI 31.85 to 78.09; p<.001; I2=45 %) and 6 months postoperation (MD 85.59; 95 % CI 45.06 to 126.12; p<.001; I2=47 %). Exercise, also enhanced the lung function such as FEV1/FVC (%) in postoperation (MD 7.64; 95 % CI 6.26 to 9.02; p<.001; I2=19 %). Additionally, exercise improved QOL, such as preoperative EORTC-QLQ-C30-LC13 in mental function (MD 3.21; 95 % CI .64 to 5.79; p=.01; I2=0 %) and postoperative SF-36 in mental component summary (MD 9.24; 95 % CI 4.94 to 13.54; p<.001; I2=0 %).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ercise-based intervention can elevate the ability to exercise and the mental component of QOL within 3 months.

      • KCI등재후보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한국복지패널 질적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오보람,황경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essential parenting experiences in battered women from a socio-cultural aspect.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case research design, The substantial data used in this article are based on the qualitative panel data tha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conducted depth interview. In this interview, it analyzed to selected 8 of 45 households. The results shows the five outstanding thema on parenting experiences in battered women; ‘desire about traditional mother’s role’, ‘investment for general future of their children’, ‘aiming home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socially accepted ideas’, ‘control needs for minimizing leftover of domestic violence’, ‘strengthening relationship performing mutual complex role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is article provides the significant grounded materials for the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development of policy in order to support their re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녀양육경험의 본질을 한국사회 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차년도 질적복지패널 45가구 중 8가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적인 엄마 역할 갈망>, <자녀의 ‘일반적인’ 미래를 위한 전폭적인 투자>, <전형적인 사회통념에 기반한 가정교육 지향>, <가정폭력피해의 잔재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기 욕구 통제>, <복합적인 역할을 상호 수행하는 관계 강화>로 총 5개의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녀양육경험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정책 개발에 있어 중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베트남전쟁 한국군 철수와 국내의 여론·정치 동향

        오보경(吳普慶)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6

        The Korean Opposition party was always opposed to the ROK Government’s policy of sending troops to Vietnam, which took place total of five times. But in September 1966, with the remarks of Park Sun-cheon, head of the Minjung-dang party, which said ‘We are going to acknowledge the issue of sending Korean troops to Vietnam as part of the reality we’re facing,’ the voice of vehemently criticizing troops dispatchment started to diminish. Even Yun Bo-seon, who ran in the 1967 Presidential election as the Shinmin-dang party candidate, retracted his former position which demanded unconditional withdrawal of Korean troops from Vietnam based on his earlier conviction opposing troops-sending in the first place, and began to suggest ‘arranging for their honorable withdrawal’ as a compromise. In January 1968, armed North Korean operatives breached South Korea’s security, and U.S.S. Pueblo was seized by N.K. forces. Such incidents definitely increased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n Korea, emphasizing the U.S. role in ensuring Korean security, strongly demanded that the ‘Brown protocol’ be employed immediately. The ruling Republican (Gong’hwa-dang) party intended to obtain an upper hand in their negotiation with the U.S.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withdrawing Korean troops from Vietnam. It was a way to put political pressure on the U.S., and the Shinmin-dang party criticized such strategy. After January 1969, with Nixon inaugurated as the new U.S. President, U.S. and other allies started to withdraw from Vietnam, and in July 1970 it became official that the size of the U.S. force in Korea will also be reduced.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called for the withdrawal of the Korean forces from Vietnam as well. The opposition party criticized the government’s Security policy and incompetence in diplomacy, and even tried to elevate the issue in the 1971 Presidential election. In response, President Park Jeong-hi had no choice but to announce his plans to ‘consider a gradual withdrawal of the Korean troops in Vietnam’ in his annual New Year Press conference addressing the country on January 11th, 1971. He even shared such agenda as a Presidential campaign commitment with the opposing candidate Kim Dae-jung of the Shinmin-dang party. Instead of releasing the agenda into the control of the opposition party, he continued to lead the issu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무용 정서지능이 웰빙과 무용연습에 미치는 영향

        오보선(BoSeonOh),유진(JinYoo)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는 외적타당도의 일환으로 무용 전공자 집단(고등학생, 대학생, 전문무용수)에 따라 무용 정서지능(Dance Emotional Intelligence, DEI)이 웰빙과 무용연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에서 타당화 검증된 무용정서지능 척도(DEIS)를 사용하여, 총 739명의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집단 간 경로계수의 차이를 비교하는 경로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 정서지능의 5가지 요인 중 정서조절만이 무용연습에, 정서활용만이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이 무용 연습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고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문 무용수 집단에서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활용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조절과는 반대로 전문 무용수에서 가장 크게, 고등학생에서 가장 작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두 가지 경로를 제외하고는 고등학생, 대학생, 직업무용수집단의 요인 구조가 서로 같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 정서지능과 웰빙 및 무용 연습간의 관계가 확인되었으며, DEIS의 준거관련 타당도에 관한 증거를 제공하여 DEIS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dance emotional intelligence on well-being and dance practi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dancer groups(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ional dancers). With the 739 participants, the structural models and the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were verified using the danc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DEIS). The dance practice was influenced by the emotion control factor only, and the well-being was influenced only by emotion utilization. Emotion control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dance practic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least influence on that of the professional dancers. On the other hand, emotion utilization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well-being of the professional dancers, and the least influence on tha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suality of the dance emotional intelligence to well-being and dance practice was derived, and the feasibility of DEIS was verified through the evidence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 KCI등재

        한국과 인도 IT산업의 경쟁력 비교분석

        오보,장선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2 산업혁신연구 Vol.28 No.4

        본 논문은 한국과 인도의 IT산업 경쟁력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인도의 IT산업에 대해 국제경쟁력-무역특화지수, 현시비교우위지수-과 기술경쟁력-연구개발집약도, 현시기술우위지수-을 측정하여 양국 IT산업의 경쟁력을 비교하였다. 분석기간은 2000년~2010년 기간 동안으로 국제경쟁력에 있어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경쟁력에 있어서는 전체 IT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제경쟁력의 측정결과 먼저 무역특화지수의 경우 한국의 IT제조업은 수출에 특화되었고, 인도의 IT제조업은 수입에 특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시비교우위지수의 측정결과 한국의 IT제조업은 비교우위상태이나 인도의 IT제조업은 비교열위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경쟁력의 측정결과 한국의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는 200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도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는 한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이며 대체로 점점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IT산업 연구개발투자집약도 지수로 볼 때 인도보다 한국의 IT산업은 상당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특허자료로 측정한 현시기술우위지수에 있어서는 한국 IT산업의 현시기술우위지수 값이 인도에 비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채주문(蔡周文) 사건의 서사화 양상을 통해 본 조선 후기 복수 서사의 이념성

        오보라 ( Oh Bo-ra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7

        본고는 복수를 둘러싼 쟁점들이 복수 서사를 통해 유교 이념으로 포섭되고 유교 이념을 실천하는 행위로 미화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蔡周文 사건의 서사화 양상을 분석했다. 채주문의 복수 살인은 장계, 옥안, 판부 등의 공문서에 형성된 내러티브를 통해 정당한 행위로 판결되었다. 당초 황성엽에 대한 옥안에서는 채서우가 황성엽에 의해 죽은 것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경상감사의 장계 등에서 각종 정황 증거를 거론하여 채주문의 행위를 정당한 행위로 평가했다. 하지만 채주문의 복수 살인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논란을 해소하고자 창작된 것이 바로 정상리의 「채효자복수기사」이다. 채주문의 가문과 인척 관계였던 정상리는 실기류 산문을 통해 채주문의 복수가 정당한 행위였음을 역사적 사실로 명문화했다. 그 뒤 정민병과 고성겸은 「채효자전」을 지어, 채효자 사건을 인구에 회자될 만한 흥미롭고도 특출난 효행으로 윤색했다. 정민병은 정상리의 再從姪이었으며, 고성겸은 정민병과 교유했던 상주지역의 유생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정상리의 의도를 계승·발전하여, 복수사건을 보다 극적으로 탈바꿈하는 데 주력했다. 이들은 복수 준비 과정, 복수 살인 장면 등을 확대하고 새로운 서사를 삽입하여, 복수 서사를 흥미롭고 생동감 있게 만들었다. 정민병과 고성겸이 새로 삽입하거나 확대한 서사 요소들은 모두 ‘孝’라는 가치와 긴밀하게 조응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이 창작한 「채효자전」은 독자들로 하여금 복수 관련 쟁점들을 상기하지 못하게 하고, 오로지 채주문의 행위를 보기 드문 위대한 효행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정민병과 고성겸이 이러한 서사화를 통해 노린 것은 궁극적으로 채주문이 정려를 받고 역사서에 기록되는 것이었다. 요컨대, 정상리, 정민병, 고성겸은 의도적으로 채주문의 복수 관련 의혹들을 제거하여, 채주문의 살인을 칭송할 만한 윤리적 행위로 탈바꿈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narrating style of Chae Ju-mun incident, noting that the issues surrounding revenge were captured as Confucian ideology through revenge narrative. First of all, Chae Ju-mun’s revenge murder was recognized as a legitimate act through narratives formed in official documents such as Jang-gye, Ok-an, and Pan-bu. Originally, it was not specified whether Chae Seo-woo was killed by Hwang Seong-yeop, but various circumstantial evidence was cited by the Gyeongsang provincial governor evaluated Chae's revenge murder as a legitimate act. Also, Jeong Sang-ri’s 「Chaejumunboksugisa」 resolved various suspicions surrounding the Chae Ju-mun’s murder, glorifying his revenge murder as a legitimate. In other words, Chae Ju-mun’s revenge murder was justified by the narrative of official documents and articles. Rather than re-discussing whether the revenge was justified or not, Jeong Min-byung and Ko Sung-kyum focused on drawing Chae Ju-mun’s revenge murder as a symbol of ‘filial piety’. Jung Min-byung's 「ChaeHyojajeon」 showed that Chae Ju-mun’s revenge murder was closely linked to ‘filial piety’ by expanding the long and difficult reveng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brutal revenge murder scene. And in Go Sung-kyum's 「ChaeHyojajeon」, Chae Ju-mun’s revenge murder were portrayed as public punishment based on humanity. Through two exhibitions, various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revenge murder are eliminated, and revenge is only embodied in the practice of Confucian ideology called ‘filial piety’. In addition to 「ChaeHyojajeon」, there are countless narratives about revenge. It needs to be studied more broadly how these revenge narratives relate to contemporary ideologies, laws, and social situations.

      • KCI등재

        조선 후기 지성사의 관점에서 본 『胎敎新記章句大全』의 의미

        오보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7 No.-

        본고는 두 가지 층위에서 『胎敎新記章句大全』의 지성사적 의미를 재평가하고자 했다. 첫째, 이사주당, 즉 여성 지식인의 자의식이 저술에 어떻게 투영되었으며, 이는 지성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둘째, 여성 지식인의 저술이 남성 지식인에 의해 어떻게 재편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사주당은 학문 활동을 제약받는 여성의 지위에 불만을 품고 학문에 매진하여 남성 사대부와 마찬가지로 한 명의 지식인으로서 살고자 하였다. 이처럼 이사주당은 여성도 학문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자각했으나, 결국에는 유가적 통념을 기준으로 자기 검열을 행하였다. 그러한 자기 검열 후에 유일하게 남긴 저술이 바로 『태교신기』이다. 『태교신기』는 주제면에서 유가적 婦德과 전혀 배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사주당은 여성의 지식 영역에 해당하는 ‘태교’를 여성이 주로 사용하는 문자인 언문이 아니라 한문으로 논술했다. 그리고 실제 내용에 있어서도 유가적 부덕을 강조하기 보다는 의학과 성리학을 접목하여 創見을 세웠다. 더불어 이사주당은 태교론을 이론적 차원에서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경험한 내용임을 강조했다. 요컨대, 『태교신기』는 의학과 성리학을 접목한 이론적 토대 위에 경험이 가미되어 완성되었다. 이처럼 당대 小技로 치부되던 의학마저 학문의 대상으로 삼은 『태교신기』는 여성 지식인의 학문 범주를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태교신기』는 박학과 실증을 중시하던 소론계 학풍을 여성의 입장에서 구현했다는 점에서도 지성사적 의의를 갖는다. 한편 이사주당의 저술은 아들에 의해 재편됨으로써 또다른 국면을 맞이하였다. 아들 유희는 어머니를 스승으로 여겨, 어머니의 저술을 스승의 저술로 인식했다. 때문에 어머니의 저술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여타 여훈서의 형식을 따르지 않고 經典의 형식을 철저히 고수했다. 그리하여 당대 지성 사회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여성’이 저술한 ‘婦德’ 관련 저술이, 당대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경전의 형태로 탈바꿈했다. 이처럼 남성 지식인이 여성 지식인의 저술을 경전화한 것은 매우 파격적인 시도이지만, 이것이 곧 성별간의 지적 경계가 허물어졌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유희가 경전의 형태로 재편함으로써 『태교신기』에 권위를 부여했다는 점은, 여전히 당대 지적 우위가 ‘남성 사대부의 성리학’에 있었음을 암시한다. 하지만 여성의 저술에 남성이 주석 작업을 하고, 남성·여성 모두가 序·跋文을 남겼다는 사실은 분명 여성의 학문에 대한 인식이 이전 시기에 비해 긍정적으로 변했음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aegyosingi in intellectual history of Later Joseon period. This article analyzed the meaning of Taegyosingi in two ways. First, I analyzed how the self-consciousness of a female scholar was reflected in the writings. Second, I examined how the writings of a female scholar were reorganized by male intellectuals. Yi Sajudang was dissatisfied with the status of women who were restricted in academic activities. And she wanted to live as an equal to male scholars. So, she thought women should also study on Chinese characters and neo-confucianism. But Yi Sajudang eventually burned down all her works against female virtue by self-censorship. The only book left after her self-censorship was Taegyosingi, because it wasn't against female virtue. However, Yi Sajudang didn't follow the old theory of prenatal education in the female's textbooks. Instead, she made a new theory of prenatal education by combining medical science and neo-confucianism, and then wrote Taegyosingi. Taegyosingi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field of women's academic research. That is also meangingful in that a female scholar inherited academic traditions of So-ron scholars. On the other hand, Taegyosingi was reorganized by her son, Yu Hui. Yu Hui regarded his mother as a teacher, and recognized the mother's writing as the teacher' s writing. Therefore, he reorganized Taegyosingi, the only writings of his mother. Yu Hui completely reorganized Taegyosingi according to the style of Four Books. He empowered Taegyosingi through this reorganizing. Nonetheless, it doesn't mean that intellectual boundaries between male and female scholars have collapsed. But it means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female scholars has begun to be viewed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