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구야담』의 <니졀도궁도우가인>으로 본 한글본 야담의 의미 지향 변화

        보라미 ( Chung Borami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1 No.-

        한글본 야담 자료들이 번역 과정에서 보이게 된 오락적 요소와 교양적 요소들이 최근 졸고를 통해 확인될 수 있었다. 그러나 졸고에서는 한 편의 이야기에서 변이의 요소들이 어떻게 확인되는지, 또 그러한 변이가 한 편의 이야기에서 어떻게 의미 지향의 차이를 빚어내는지를 살피는 데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하나의 사례로 『청구야담』의 <李節度窮途遇佳人>이 <니졀도궁도우가인>으로 번역되며 이 이야기가 담지하는 의미 지향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제시하고, 그 의의를 파악해 보았다. 먼저 『학산한언』에 실려 있는 이 이야기가 한문본 『청구야담』으로 전재되며 발생한 변이를 예비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그 독자층을 고려할 때, 한문본 『청구야담』의 <李節度窮途遇佳人>에서 벼슬을 구하다가 생사의 기로에 놓인 몰락 양반이 우연에 의해 독수공방하는 미녀를 만나 동침한 후 부를 얻고 벼슬을 구함으로써 모든 갈등 상황이 해결된다는 결말을 남성 사대부 독자의 환상을 집약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뜻밖에 미녀를 만나 동침한 후 야합을 지속하는 무변의 모습은 남성 사대부 독자들의 성적 욕망을 대리 충족하는 데에, 우연히 만난 여성이 많은 재물을 내어주어 그를 바탕으로 잃었던 재산을 되찾고 부를 이뤄 출사한다는 내용은 영락한 남성 사대부 독자들이 부를 이루거나 지위를 회복하는 것과 관련하여 가졌던 환상을 충족하는 데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니졀도궁도우가인>에는 색(色)이나 치부(致富)에 대한 서술이 축소되어 있고 최상층 여성 독자에 대한 고려가 틈입되어 있는바, 남성 사대부 독자의 환상적 서사에 균열이 발생한 지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 research has confirmed the entertainment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Korean version of Yadam materials in the translation process. However, prior research did not show how elements of variation were identified in one story and how such variation created differences in meaning in one story. Thus this study presented how the meaning of the story has changed and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story, with the translation of Cheong-gu Yadam's “Nijeoldo Gungdougain” as an example. First of all, we considered the variation that occurred when the story, which was included in the Haksan Han-eon, was accepted as a Chinese character version Cheong-gu Yadam. Next, considering its reader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fall, which was seeking government posts in the Chinese version of Cheong-gu Yadam, could be interpreted as an integration of the male readers' fantasies by accidentally meeting beautiful women, sleeping together, gaining wealth and government posts. Meeting beautiful women and continuing to sleep with her helped satisfy the sexual desires of male readers, and the story is about a woman character who happens to meet giving the male character a lot of wealth helped satisfy the male readers' fantasies. However, “Nijeoldo Gungdougain” has a reduced description like this and shows consideration for the top-level female reade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racks occurred in the fantastic narrative of the readers of the male nobility.

      • KCI등재

        윤조병의 노년희곡 연구: 'ㅋㄷㅋㄷ', 'ㄲㄹㄲㄹ', 'ㅉㅅㅉㅅ', 'ㅎㅇㄱ ㅎㄱ'을 중심으로

        보라미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Yoon Jo-byeong is one of the best Korean realistic playwrights. This paper deals with the old age plays of Mr. Yoon-<ㅋㄷㅋㄷ>, <ㄲㄹㄲㄹ>, <ㅉㅅㅉㅅ>, <ㅎㅇㄱ ㅎㄱ> in respect of subject and form. At first, in respect of subject, Mr.Yoon’s plays deal with the deep love of husband and wife in the old age. They are live or dead and these plays are set in this world or otherworld, through which reveal the profound love of each other. The title of these plays, ‘ㅋㄷㅋㄷ’ and ‘ㄲㄹㄲㄹ’ which imitate sound of Korean laughter and the humor in his plays reveal the positive attitude to the old age life, too. Secondly, in respect of form, these plays are written in two-hander. Two is the minimum condition of communication and dialogue of two characters are very important in two-hander, so Mr.Yoon’s plays written in two-hander are good to search the various ways of theatrical communication: slow speaking, each character’s incomplete speech to make a whole meaning, communication through monologue and aside, dialogue considering musical effect, dialogue with objet. These experiment of theatrical communication through two-hander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 continuous search for the new form of theatre in Mr. Yoon’s plays. Also the subjet of conjugal love and the story of <ㅎoㄱ ㅎㄱ> reflect the real life of Mr.Yoon, so we can say that Mr.Yoon’s plays reveal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tial writing of old-age plays. 윤조병은 유치진, 차범석을 잇는 한국 사실주의극의 대표작가로 평가되어 왔으나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작가에 속한다, 이에 본고는 <ㅋㄷㅋㄷ>, <ㄲㄹㄲㄹ>, <ㅉㅅㅉㅅ>, <ㅎㅇㄱ ㅎㅇ> 등을 대상으로 윤조병의 ‘노년에 쓴 노년희곡’을 고찰하고 있다. 먼저 이들 희곡은 부부 간의 애틋한 사랑을 주로 다루고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부부는 생자(生者) 혹은 망자(亡者)이기도 하며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시공간을 배경으로 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죽음을 초월한 사랑의 깊이를 드러낸다. 또한 ‘ㅋㄷㅋㄷ’(키득키득), ‘ㄲㄹㄲㄹ’(깔깔, 껄껄 등)의 제목뿐 아니라 작품의 내용상에도 웃음 코드가 삽입됨으로써, 노년의 삶과 죽음을 수용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려는 의지적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이들 희곡은 무대 위에 2 명의 배우만 등장, 서로 간의 대화에 집중하는 2인극 양식을 취함으로써, 부부 간의 사랑이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윤조병의 노년희곡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소통에 대한 극적인 탐구인 2인극의 특성을 살려, 연극적인 다양한 소통방식을 실험하고 있다. 느리게 말하기, 두 사람의 불완전한 대사를 합해 의미 완성하기, 독백과 방백을 활용한 소통, 음악성을 고려한 말하기 방식, 입술/손을 이용해 말하기, 오브제를 활용한 대화 등이 그것이다. 또한 느리게 말하기, 불완전하게 말하기 등은 노인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사실적 반영으로도 볼 수 있다. 이렇듯 2인극을 통한 다양한 소통 방식에 대한 실험은, 사실주의극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연극 형식을 모색한 작가의식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또한 부부 간의 애틋한 사랑이라는 주제는 물론 <ㅎㅇㄱ ㅎㄱ>에 나타난 부부의 모습은 작가 자신의 자전적 사실과 밀접하게 관련됨으로써, 실존적 글쓰기로서의 노년희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오태석의 6ㆍ25 3부작 연구 1

        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본고는 오태석의 6ㆍ25 3부작 (〈산수유〉, 〈자전거〉, 〈운상각〉)의 구조적 상동성을 밝히고자 하는 의도 아래, 오태석의 최고작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자전거〉를 먼저 분석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전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이 밝혀진다. 〈자전거〉는 다른 6ㆍ25 3부작과 마찬가지로 전쟁세대와 전후세대가 골고루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두 작품과 달리 전후세대를 중심인물로 취하며, 이것은 작가 오태석이 속한 세대라는 점에서 또다른 문제성을 함축하고 있다. 플롯의 측면에서 볼 때, 〈자전거〉는 ‘명시적 플롯’ 이면에 ‘숨겨진 플롯’이 존재하는 이중 구조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쟁세대 가해자의 죄의식은 물론, 전쟁의 피해가 전후세대에까지 미친다는 6·25 3부작의 두 가지 이야기-구조가 효과적으로 드러난다. 한편, 이 극에서 문둥이의 존재는 우리나라 역사상 좌익의 알레고리로 볼 수 있다. 또한, 극중에서 문둥이 일가의 이야기에 집착하는 윤서기는 허구 속 등장인물로서의 역할을 넘어 극작가 의식을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자전거〉에 나타난, 6ㆍ25의 비극에 대한 알레고리적 성격은 더욱 심화된다. 또한, 절정에 이르기 직전 의도적으로 시간을 지연하면서 긴장을 고조시키는 방식 역시 상동적인데, 〈자전거〉에서는 특히 연극 놀이라는 비사실적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Bicycle〉 in respect of the Korean War(6.25) trilogy of Oh Taeseok. The trilogy is homologous in the respects of character, plot and the way of making tension. Through this analysis, new facts about 〈the Bicycle〉 are revealed as follows: Both the war-experiencing generation and the post-war generation appear in 〈The Bicycle〉 as the other works of the Korean War trilogy. But the protagonist(Mr. Yoon) in 〈Bicycle〉 belongs to the post-war generation, to which dramatist Oh also belongs. The events related with the leper family in this work constructs the foregrounding plot(the overt plot), while the concealed past of Mr. Yoon's uncle who set fire on a registry during the Korean War constructs the secret(the covert plot) in this work. And the events which a bull attacked Mr. Yoon but the dead rescued him become the other secret. Hereby, 〈the Bicycle〉 can be explained as a double structure where both the foregrounding plot and the secrets reside. And that, Mr. Yoon who mysteriously attached to the story of the leper's family can be seen as the playwright's consciousness in this work. With this, the allegorical features about the tragedy of Korean War in 〈the Bicycle〉 deepens more than before.

      • KCI등재

        소설에서 희곡으로의 각색 연구

        보라미(Zoh Borami)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8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is a short story cycle by Cho Sehui, which deals with the problem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70’s. It was adapted into play and film right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novel, and lately(2007) into play and TV drama. This thesis deals with the adaptation from novel to play in case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A Small Ball- in abbreviation) in 2007. This novel is dramatic in the point that it has many dialogic scenes without intervention of narrator. Futhermore, there appears the form of a play such as ‘the name of a character:dialogue’. And the adaptation play takes these from the novel without change. The play also adapts as many parts of the novel as possible, and it also takes the cross structure of past and present, reality and fantasy, kernel(main event) and satellite(sub-event). And it also inherits many characters and theme of the nove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lay is the faithful adaptation of the novel. But the faithfulness of the novel results in excessive ideal feature and boredom instead of dramatic strain. Also it is found distortion of meaning when literally translated. These reveal that the faithfulness of the original can not be the criteria of analysing or valuing of adaptation. The analysis of adaptation is, then, the comparative narratology in the base of narrative analysis of original and adaptation genre. In the base of this freedom of the burden in the faithfulness of the original, the transformation of context can be dealt in adapting this novel. When the play is adapted literally in the 1970’s context of the original novel, it seemed to be behind times. So keeping pace with the time the adaptation is presented needs to be considered even in the case of the intention of faithfulness to the original. Lastly, in adapting into the play, the possibility of non-verbal expression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sense, the symbol of a dwarf and the space discourse in A Ball- should be applied in this adaptation.

      • KCI등재

        오태석 역사극에 나타난 사실과 허구의 긴장관계

        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오태석은 1994년 〈도라지〉로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역사극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본고는 이 중에서 〈도라지〉, 〈천년의 수인〉, 〈잃어버린 강〉,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 등 4작품을 중심으로 사실과 허구의 긴장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작가의 역사관을 고찰한다. 본고에서 우선적으로 주목한 것은, 오태석 역사극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상세한 탐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실 중에는 일반인의 통념과 다른 것도 있어 오태석 역사극에 대한 섣부른 오해를 낳을 수 있는 소지 역시 있음이 발견된다. 그러나 오태석 역사극이 물론 역사적 사실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사실과 허구를 양 축으로 오태석 역사극을 놓고 볼 때, 〈도라지〉는 사실의 축에 가장 가까운 작품으로, ‘역사극’과 ‘역사 서사’의 경계에 위치한다. 또한, 〈천년의 수인〉과 〈잃어버린 강〉은 역사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되 허구적 요소가 적지 않게 나타남으로써 역사적 기대지평과 허구의 관습적 기대지평이 공존한다. 그런데 이 두작품은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으로 말미암아 역사왜곡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반면,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는 허구적 인물과 허구적 사건을 중심적으로 다룬다. 따라서 역사 왜곡의 문제를 피해가는 것은 물론, 허구적 이야기를 과감하게 창조함으로써 작가의 역사관을 드러내는 데도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바 오태석 역사극의 성격상 가장 적합한 형태라 하겠다. 이들 역사극을 통해 작가는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용서와 화해, 곧 한국 역사상 친일과 반일, 좌익과 우익의 대립을 지양하는 시각을 드러낸다. 이것은 미래지향적 역사관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 때 작가가 상정하는 미래란 민족주의적 시각으로 파악될 수 있다. Oh Taeseok has presented many historical dramas since 1994 which deal with modern history of Korea seriously. Among them, this thesis treats these four plays: Doraji(도라지), A Thousand Year Prisoner(천년의 수인), A Lost River(잃어버린 강), and Pull, Ap-san; Push, Oh-geum(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 Especially this thesis focuses on the tension between historical fact and imagination at first, and then examines the author's historical view. Oh Taeseok's historical plays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even though the degrees of dependence are different. Doraji, which deals with the lives of Kim Ok-gyun and Hong Jong-woo, the enlightenment intellectuals, is most dependent on historical facts among these works. A Thousand year Prisoner, of which the character is Ahn Du-hee, an assassin of Kim Gu, and A Lost River, which deals with the life of Ahn Jung-geun, the famous activist for independence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base on historical facts also. But these works are full of historical imagination and both the historical and the conventional expectation reside there. That is, protagonists of these works are historical characters, so reader/spectator of these works requires the historical expectation from these works. But some events conflict with historical facts, so charge of historical distortion arises. On the other side, Pull, Ahp-san; Push, Oh-geum, which treats the Jeju revolution in 1948, treats fictional characters and events. So reality effect depends on the custom of realism, not on the outside of the text, whereby it avoids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And that, this work creates fictional events which serves th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ical view of the playwright. So it can be said that this form (invented historical drama) is suitable for Oh Taeseok's historical drama. After all, through these works Oh Taeseok reveals the historical view of rejecting the confrontation of pro- and anti-Japanese group, or that of the right wing and the left wing. This view can be interpreted as a historical view toward the future, and the future the playwright hopes can be seen as nationalism.

      • KCI등재

        ‘한국적인 심성의 근원’을 찾아서 : 최인훈 문학의 도정(道程)

        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탈식민주의적 시각은 최인훈 문학에 대해 본질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은 작가 자신이 ‘5부작’으로 읽히기를 바랐던 주요 소설-『광장』, 『회색인』, 『서유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이나 그 외 다른 소설은 물론, 희곡으로의 장르 전환에 대해 해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최인훈 소설은 서구의 가치와 문화가 한국을 지배하는 현실을 반복해서 표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또한 후기 소설에는 이에 대한 극복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데, 우선 『태풍』은 세계 패권국의 지배권 경쟁구도 가운데 약소국들의 국제적 연대의 필요성과, 민족이라는 고정 관념을 유보한 채 잡종성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식민지적 현실을 극복할 대안으로 불교를 중심으로 한 전통의 회복을 제시한다. 이때 『태풍』이 최인훈 소설사의 구도 속에서 다분히 예외적인 형식을 띠며 그 해결책 역시 독특하다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작가의 다른 소설들과의 연계성이 강하다. 한편 최인훈 희곡은 이러한 탈식민주의적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한국의 문화적 경험을 적극적으로 담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창작되었다. 이것은 무엇보다 최인훈 희곡이 한국의 설화나 고전소설을 소재로 한 것과, 무대지시문과 대사에 있어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최대로 살리고자 한 데서 확인된다. 또한 한국의 고유한 심성인 정(情)과 한(恨)을 바탕으로 한 인물을 형상화하고, 비극적인 극의 내용과 상반된 축제적 결말을 통해 한(恨)을 작품 구조의 측면에서 구현하고 있다. 그 외에 굿과 농악, 각설이 타령과 풍년가 등 연극적인 표현양식을 통해서도 ‘한국적인 것’이 구현된다. 그런데 이때 최인훈 희곡에서 ‘한국적인 것’은 남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나의 것을 주장하는, 보다 폭넓은 논리를 가지고 있음이 주목된다. 즉, 최인훈 희곡은 언어에의 의존도를 낮추고 움직임과 소리, 빛 등 비언어적 요소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현대 연극의 흐름과 일치하며, 기존에 실용적이고 부차적인 기능만을 가져온 무대지시문에 본질적이며 미학적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세계 희곡/연극의 측면에서 새로운 미학을 드러낸 의의가 있다. 이런 점에서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에서 아기장수의 생애를 예수의 생애와 유비하고 있는 것은 한국이라는 ‘특수성’과 세계라는 ‘보편성’을 결합시키기 위한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최인훈 문학은 일본의 식민 체험은 물론 서구의 영향력이 점차 그 지배력을 강화하는 20세기 한국의 상황 속에서, 작가 자신이 ‘한국적인 심성의 근원’이라고 표현한바 한국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작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view of postcolonialism is one of the essential ways of approaching the literature of Choi Inhoon. It applies to his main novels which the writer Choi called 'pentalogy'-the Square, the Gray Man, Seoyugi, The Day of a Novelist, Gobo, and Typhoon- and the other novels as well. And it also provides the key to apprehending why he writes plays in 1970's. Writer Choi's novels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lity that western culture dominates the Korean society. And his later novels, Typhoon and The Day of a Novelist, Gobo show how to overcome it in different ways. On the one hand, Typhoon represents the need of international solidarity of small nations against the world powers, and hibridity instead of a rationally homogeneous belief. On the other hand, The Day of a Novelist, Gobo provides the recovery of tradition centering Buddhism. In this respect, The Day of a Novelist, Gobo is in the main line of Choi Inhoon's novels, different from Typhoon. Meanwhile, Choi Inhoon's plays are also created in the postcolonial view, especially to express the Korean identity in positive way: At first, Writer Choi's plays deal with various folk tales and traditions; his works display the most attractive merits of Korean language; they also display the protagonists' emotional depiction of affection(情) and tragedy(恨) representing Korean mentality; they display a great aesthetic appeal of tragedy launched by some ritual ceremony in the end in a way of ironic interaction with grave main contents; in addition, Korean identity is also expressed by shamanistic and farming songs along with folk songs during the performance on the stage. Choi In-hoon's plays are conscious of universality. Writer Choi's plays reinforce the nonverbal elements such as movement, sound, light instead of verbal elements, which accords to the contemporary theatre toward performance beyond the text. And stage directions have essential and aesthetic function instead of practical and secondary function, thereby reveals the new aesthetics in the world of drama. In this respect, the analogy of the life of baby commander(아기장수) and that of Jesus in Long long time ago, whoee whoee(〈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can be interpreted to integrate the specificity of Korea and the universality of world. In conclusion, Choi Inhoon's literature is to search for the Korean identity which the writer Choi called 'the essence of Korean mind', in the dominance of Japan and western culture in the 20th century of Korea.

      • KCI등재

        오태석 희곡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오태석 희곡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논의의 틀을 검토한다. 문학 연구에서 상호텍스트성은 하이퍼텍스트와 히포텍스트 간에 ‘반복’과 ‘변형’의 규칙을 언어학적으로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의 의미화를 위해 패로디, 패스티쉬, 인용, 꼴라주 등의 개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는 기존에 판소리 〈심청가〉에 대한 패로디로만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희곡 창작 당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공중전화 살인 사건이나 탈주범의 인질극 등이 어느 정도 변형을 거쳐 하이퍼텍스트에 인용되거나 구조적으로 반복된 바, 당대 사회현실에 대한 꼴라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희곡과의 상호텍스트성도 발견된다. 이강백 희곡 〈셋〉에 나타나는 가학적-피학적 놀이, 그리고 오종우 희곡 〈칠수와 만수〉에 나타나는, 대중매체의 사생활 폭로 및 이에 대한 인물의 분노라는 형식적 구조가 반복된다. 그런데 이것이 어디까지나 하이퍼텍스트의 한 부분에 국한된 것이라면, 최인훈 희곡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와 보다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이것은 인물 및 사건의 구조 등 구조적 층위에서는 물론, 하이퍼텍스트의 대사 가운데 ‘달아 달아’가 의도적으로 반복됨으로써 표현적 층위에서도 유사성이 나타난다. 또한, 두 텍스트 모두 〈심청가〉와의 차이를 통해 현실의 포악함이 더욱 강조되는바, 주제적 층위에서도 유사하다. 따라서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는 이상의 기존 희곡에 대한 패스티쉬로 볼 수 있되, 〈달아 달아 밝은 달아〉와 보다 긴밀한 패스티쉬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태석 희곡은 이와 같이 기존의 다양한 텍스트를 창작의 원천으로 삼으면서도, 이것을 하이퍼텍스트 내에 자연스럽게 융합함으로써 창조적인 작품을 생산하는 데 그 독특성이 있다. 이로써 본고는 상호텍스트성이라는, 오태석 희곡의 창작 원리를 밝힘은 물론, 상호텍스트성을 문학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시론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This thesis is on the intertextuality of Oh Taeseok's play, Why did Simcheong throw herself into Indangsu twice. For this, we have to discuss how intertextuality can be dealt in the study of literature. It is dealt in two respects. Firstly, the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between the hypertext and hypotext(these terms are by G. Genette) linguistically. Secondly, for explaining the meaning of intertextuality, parody, pastiche, citation, and collage need to be used. Why did Simcheong throw herself into Indangsu twice has been considered only as a parody of Pansori Simcheon-ga. But various social issues such as killing in the public telephone booth or hostage taking by Ji Gangheon were cited in the play, so we can interpret it as collage. And that, similarities with some plays are revealed, such as Three by Lee Gangbaek, Chilsu and Mansu by Oh Jong-u, and Moon, Moon, the Bright Moon by Choi Inhoon. Intertextuality of the first two plays is on the level of structure, whereas that of last one is on the levels of expression, structure and subject. So, we can say that Why did Simcheong throw herself into Indangsu twice is a pastiche of the three plays, and especially, it is a close pastiche of Choi's play. With this, this thesis argues intertextuality, one of the important principles in the playwritings of Oh Taeseok. And also it shows the model how to apply intertextuality in the study of literature.

      • KCI등재

        정명기 소장 한글 번역본 ≷천예록≸의 재편 및 향유 양상 연구

        보라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3

        본고는 새로운 한글 번역본 ≷천예록≸ 자료인 정명기본 ≷천예록≸을 학계에 최초로 소개하고 자료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명기본 ≷천예록(天倪錄)≸의 서지사항과 필사기의 분석을 통해 이 자료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한글본 야담이 향유된 양상의 일단을 엿볼 수 있었다. 한양의 궁궐 근처 송현에 사는 11세 어린 소녀에 의해 정명기본 ≷천예록≸이 향유․필사되 었던 정황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한글본 ≷천예록≸이 궁궐 내부에만 한정되지 않고 궁 근처로까지 유통되었던 상황과 한글본 ≷천예록≸의 향유층이 그 신분과 연령 대에서 다양한 층위로 이루어져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문본 ≷천예록(天 倪錄)≸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정명기본 ≷천예록(天倪錄)≸에 선택 및 탈락된 이야 기들의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선록의 기준이 ‘11세 소녀인 김 소저의 독서 대상으로 삼아도 될 만한 것인가’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명기본 ≷천예록≸에는 11세의 김 소저에게 크게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적당히 흥미롭게 읽을 만한 성격의 이야기들이 선록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문면을 대조하여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이의 양상에서 (1) 한문본 제목의 음가(音價)를 그대로 한글로 표기하였다, (2) 후평(後評) 부분이 생략되었다, (3) 역자 및 필사자의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다, (4) 한글 번역 과정에서 독자의 수준을 배려하였음이 확인된다, (5) 기본적으로 직역을 지향하였다, (6) 특히 축약이 많이 이루어졌다, (7) 오류의 양상에서 한글 번역본을 전사한 이본임을 추정할 수 있다는 일곱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