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스 반 산트(Gus Van Sant) 영화에 이식 된 앤디 워홀(바Idy Warhol)의 영화 미학 분석

        오민욱 ( Minwook Oh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5 아시아영화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구스 반 산트의 ‘제리(Gerry), 엘리펀트(Elephant), 리스트 데이즈(Last Days)’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여, 그 속에서 드러나는‘워흘성’을분 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죽음’, ‘일상적 이미지’, ‘프레임의 반복’이라는3가지 접근(주제, 소재, 표현양식)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지점들을 발견 할 수있었다.첫째, 앤디 워홀은 그의 영화작업에 큰 영향을 준 미술작엽에서 ‘반복-재 생산’된 이미지를 통해 ‘죽음’을 보편화 시키고 보는 이에게 관찰을 통해 철학적 사고를 하도록 요구한다. 구스 반 산트는 ‘죽음의 시간’에 도달하기까 지를 묵묵히 지켜보고 따라가는 것을 통해 ‘죽음’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보여준다.둘째, 앤디 워홀은 아무런 내러티브를 담고 있지 않은 빈껍데기의 권태로 운일상의 이미지를 영화 속으로 가져왔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영회에 존재 하는 물리적인 시간을 표면적으로 극명하게 드러내는 동시에, 이미지에 담긴 의미보다는 이미지 표면의 시각적 요소들에 집중하게 만든다. 즉 이미지와 시간을 제외한 모든 것들이 제거된 상태로 남게 된다. 구스 반 산트는 끊임없이‘일상적 이미지’를 따라가는 것을 통해 작품의 ‘주제’에 서서히 접근한다. 그리고 그 과정의 시간을 고스란히 관객에게 전달한다. 셋째, 앤디 워홀과 구스 반 산트는 ‘반복’을 작품의 주 된 수사로 사용한다. 앤디 워홀은 반빡서 비롯되는 지속을 통해 이미지 스스로가 담고 있는 요소들을 다비워낸다. 구스 반 산트는 ‘지속’을통해 물리적으로 시간을 보존하며 공허하게 느껴지는 이미지들과 그것 자체의 반복을 통해 주제의 구축을 내러티브의 범주 내에서 실행하고 있다. Among the works of Gus Van Sant, ‘Last Moment trilogy - Gerry, Elephant and Last Days’, which have excellent artistic valu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nd ‘Warholism’ revealed in those works was analyzed. For this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kinds of approaches; ‘death’, ‘daily image’ and ‘frame repetition’ (subject, material and mode of 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following points could be found; First, both Andy Warhol and Gus Van Sant address the subject ‘death’ commonly. Andy Warhol generalizes ‘death’ through ‘repeated and reproduced’ images in his work of art that gave a big impact to his film work and requests his audiences to make philosophical thoughts through observation. Gus Van Sant shows his philosophical approach toward ‘death’ through silently watching and following until arriving at the ‘time of death’. A delicate difference is found in these approaches. Andy Warhol simply ‘repeats and reproduces’ flat images and Gus Van Sant ‘continues and displays’ the process until reaching the ‘time of death’. Second, most of the images appearing in the works of Andy Warhol and Gus Van Sant are brought from ‘daily materials’. Andy Warhol brought the images of empty and boring daily life that does not contain any narrative to his films. Such images clearly and superficially reveal the physical time existing in films, and simultaneously make people concentrate on the visual elements of the image surface than the meanings contained in those images. In other words, it comes to a state where everything except image and time is eliminated. Gus Van Sant slowly approaches to the ‘subject’ of his work through ceaseless tracking ‘daily images’, and transfers this entire time of such process to audience. Third, Andy Warhol and Gus Van Sant use ‘repetition’ for their main rhetoric of their works. Even in the format to express ‘death’ and ‘daily images’ aforementioned, the rhetoric of ‘repetition’ is an element that cannot be excluded. Andy Warhol empties out the elements that an image can contain by itself through reproduction process originated from repetition. Gus Van Sant preserves time physically through ‘continuity’ and executes the construction of a subject within the category of narrative through the images that make feel empty and the display of those images. Such execution compresses the meanings deeply into the images but he makes expressions not through direct expression but through following the symptoms of the subject.

      • KCI등재

        엔리케 고메스 카리요의 『마르세유에서 도쿄까지』에 나타난 식민주의 담론 및 젠더 재현

        오민욱(Oh, Minw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엔리케 고메스 카리요(Enrique Gómez Carrillo, 1873-1927)가 『마르세유에서 도쿄까지: 이집트, 인도, 중국, 일본의 울림들(De Marsella a Tokio: sensaciones de Egipto, la India, la China y el Japón, 1906)』에서 유럽의 식민 지배를 받았거나 유럽 문명을 모델로 근대화를 진행하는 동양 국가를 묘사하며 식민주의적 수사를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고메스 카리요는 이 책에서 다양한 서사전략을 통해 유럽의 식민 지배 이전 동양의 역사가 쇠락기에 있었다고 일반화하고, 식민 지배를 통해 동양 문명의 재생기가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마르세유에서 도쿄까지』가 동양 국가들을 유럽 문화의 근대성과 동양 문화의 이국성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미학적인 이미지로 환원하는 양상을 드러내고, 국가별 묘사에 드러나는 다양한 내적 모순의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present work analyzes how From Marseille to Tokyo: The Sensations of Egypt, India, China, and Japan (De Marsella a Tokio: sensaciones de Egipto, la India, la China y el Japón) written by Enrique Gómez Carrillo depicts the Eastern countries under European colonial rule or undergoing modernization based on European civilization as a model, and shows the pattern of reproducing colonial rhetoric in his text. In this book, Gómez Carrillo generalizes that the history of the East before European colonial rule was in decline through various narrative strategies, and argues that the regeneration of Eastern civilization began through colonial rule.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From Marseille to Tokyo reduces those Eastern countries to the aesthetic image in which the modernity of European culture and the exoticism of Eastern cultures harmoniously coexist, and finally examines the meaning of various internal contradictions in the description of each count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