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박세은(Se-Eun Park),최다빈(Dabin Choi),오교녀(Kyo-nyeo Oh),김한중(Hanjoong Kim),박형범(Hyungbum Park),김기만(Ki-Man Kim)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2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HepG2 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떠한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독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 및 세포 독성이 apoptosis에 의한 효과인지를 확인한 결과, DNA fragmentation과 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의 저해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HepG2 세포에서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 기전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intrinsic apoptosis 경로인 p53을 증가시키고, Bcl-2 family인 Bcl-2의 억제 및 BAX의 증가를 통해서 cytochrome c를 증가시켜 caspase-9 활성화하였고, caspase-3를 활성화시켜 결과적으로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는 후코이단만 처리한 것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이고들빼기 추출물과의 혼합물 제조를 통해서 후코이단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HepG2 세포에서 apoptosis 관련 유전자의 발현 조절에 의해 항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의 항암 작용의 기전을 해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전 연구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간암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용 물질 분석 및 in vivo에서 추가 실험 등이 다양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 mixture of fucoidan and Crepidiastrum denticulatum extract (FCE) had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cancer treatme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FCE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and induced the release of LDH (lactate dehydrogenase) and DNA fragmentation in HepG2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FCE treatment also in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p53, the release of cytochrome c, and the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oreover, FCE dose-dependently increase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Bax, and cleaved caspase-3 and -9. However, FCE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Bcl-2. These results suggest that FCE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apoptosis via the mitochondrial-mediated intrinsic pathway.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FCE can be used as an anti-cancer agent for liver cancer based on apoptosis mechanism.

      • KCI등재SCOPUS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이 C2C12 세포 내 분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 세포사멸 조절에 미치는 효과

        박세은(Se-Eun Park),최다빈(Dabin Choi),오교녀(Kyo-nyeo Oh),김한중(Hanjoong Kim),박형범(Hyungbum Park),김기만(Ki-Man Kim)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2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의 근육세포 분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을 최대 1,000 μg/mL 농도까지 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되었다.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이 근육세포 분화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yogenin과 MHC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무처리군에 비해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 처리에 의해 H₂O₂ 단독 처리군보다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으며, LDH와 creatine kinase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Bax와 Bcl-2의 발현을 조절하여 caspase-9와 -3 활성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의 근육세포 분화 효과 및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은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유효성 확보를 위해서 근감소증 세포 및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 및 기전 분석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tiation and protective effects of mixed plant-extract powder in C2C12 muscle cells. Cells were differentiated into myotubes in 2% horse serum (HS)-containing medium with mixed plant-extract powder (MPEP) for 6 days. Treatment with MPEP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yogenin and myosin heavy chain (MHC) protein in cells compared with non-treated cells. Differentiated cells were pretreated with MPEP, and hydrogen peroxide (H₂O₂). Our results revealed that treatment with MPEP before H₂O₂ treatment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decreased H₂O₂-induced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creatine kinase (CK). In addition, MPEP attenuated H₂O₂-induced upregulation of Bax, downregulation of Bcl-2, and activation of caspase-9 and -3. These results suggest the MPEP can stimulate C2C12 muscle cell differentiation into myotubes and observe the protective effect of mixed plant-extract powder against muscle oxidative stress. In conclusion, MPEP may be useful as a prevention and treatment material for skeletal muscle disease caused by age-related diseas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저분자녹각콜라겐의 피부건강 증진 효과

        구본철(Boncheol-Leo Goo),송다혜(Da-Hye Song),최유진(Yu-Jin Choi),오교녀(Kyo-nyeo Oh),오둘리(Dool-Ri Oh),홍지애(Ji-Ae Hong),김은정(Eun-Joung Kim) 한국생약학회 2023 생약학회지 Vol.54 No.4

        Skin aging is caused by structural changes in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t is characterized by decreased skin moisture, increased skin roughness, increased skin wrinkles, and decreased skin elasticity. In this study,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SOD, CAT, and GSH-Px activities were confirmed in HaCaT cells, and Collagen-I content and skin elasticity were also confirmed in response to UVB irradiation in HR-1 hairless mice. In addition,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NP-2007 in 84 women. In the group that consumed NP-2007 or placebo, the amount of skin moisture,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mass of skin keratin, skin asperity (Ra, Rz), eye wrinkle, and skin elasticity were checked.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significant changes were confirmed at all-time points after 6 and 12 weeks of intak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oral administration of NP-2007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at improves skin.

      • KCI등재

        석류 열수 추출물의 수면박탈을 유도한 Rat 모델에서의 항스트레스 효과

        나주련(Ju-Ryun Na),김선오(Sunoh Kim),조아라(Ara Jo),배동혁(Donghyuck Bae),오교녀(Kyo-Nyeo Oh),김용재(Yong Jae Kim),이유현(Yoo-Hyun Lee),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1

        수면은 하루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중추신경계의 항상성 회복, 에너지 저장, 체온조절, 불필요한 기억의 제거, 면역 기능, 에너지 보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생리현상이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다양한 증상 및 질병이 야기된다. 현대인은 학업, 직장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한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 불안 또는 육체적 피로 등의 이유로 일시적 또는 장기적 수면장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게 많은 현대인들이 겪는 수면장애를 예방 및 개선하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남 비교우위 특산자원인 석류의 수면, 특히 수면박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in vivo 및 in vitro 상에서 확인하였다. 석류(Punica granatum L.)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인도, 페르시아가 원산지이다. 석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항통증, 항염증, 에스트로젠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석류 추출물을 전처리한 SH-SY5Y 세포에 H₂O₂/corticosterone에 의한 신경세포독성을 유발하여 보호 효과를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와 lactate dehydrogenase로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면박탈 동물모델에서 생존율, 몸무게, 꾸벅임에서 수면박탈군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적인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류 추출물의 수면박탈 스트레스에 대한 행동학적 보호 효과는 스트레스의 강도에 따라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운동능력 및 인지능력은 수면박탈이 지속되어도 보호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각 효과는 hot hyperalgesia test를 통해 스트레스가 지속될수록 무뎌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Y maze는 변경행동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석류 추출물 투여군들의 움직임이 수면박탈군에 비하여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생화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코티졸, 세로토닌 및 도파민, 테스토스테론 및 growth factor I의 함량은 수면박탈 스트레스에 의하여 증가하다가 석류 추출물 및 카페인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항산화 관련 인자인 catalase, glutathione, superoxide dismutase를 측정한 결과, 수면박탈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석류 추출물에 의하여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석류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동물실험에서는 석류 추출물에 의하여 수면박탈스트레스가 지속됨에 따라 감소하는 행동학적 결과들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석류의 항스트레스 효과는 항산화적 측면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nti-stress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amily Lythraceae, PG) on H₂O₂/corticosterone (CORT)-induced stress in cells and sleep-deprived rats were investigated. The PG extract showed neuroprotective effects in SH-SY5Y cells against H₂O₂/CORT-induced stress. Sleep deprivation led to behavioral, hormonal, and biochemical alterations in the animal model. The effects of P. granatum on physiological, behavior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aggravated by sleep deprivation were investigated. Sleep deprivation impaired physiological (survival, body weight, and drowsiness scores) and behavioral (rotarod, passive avoidance, hot hyperalgesia, and Y maze) parameters as well as biochemical factors (cortisol, serotonin, dopamine, testosterone, and growth factor I contents in serum). These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recovered by PG extra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PG extract also enhanced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non-enzymatic antioxidative activities such as glutathione compared to sleep-deprived ra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our findings suggest that Punica granatum prevents impairment of body functions induced by sleep deprivation and related oxidative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