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기초교양교육에서 SW경험에 따른 학습자 분석

        오경선,장은실,Oh, Kyungsun,Jang, Eunsill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한 지금, AI 역량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해 세계 주요 국가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연계성있는 SW교육을 균등하게 제공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현실은 균등하고 연계성 있는 SW교육이 학습자에게 원활하게 제공되지 않아 SW격차가 심화되고 양극화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SW교육에서 발생하는 학습자 간의 차이를 초중등학교에서 SW·인공지능교육의 수업 결손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공계열 신입생을 대상으로 1단계 SW기초교육 전과 후로 나누어 '컴퓨팅사고 자기 주도성', 'AI자신감', '코딩 자신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SW 경험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계성 있는 SW 교육이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제공되기 위해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Humanity fac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countries are providing systematic and continuous SW education to foster talent with AI cap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high concerns that the SW gap will widen and polarize as domestic reality does not provide systematic and continuous SW education to learner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star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earners' SW experience on SW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argeting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effect of SW experience on SW education was significant. With these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iscussions will be actively conducted so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SW education can be provid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바이오와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방향 및 제언

        오경선(Kyungsun Oh),안승주(Seungju Ahn),김규석(Kyuseok Kim),안정미(Jungmi Ahn)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22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27 No.3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big data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techniques and are being converged with a variety of industrial fields, including the biomedical and pharmaceutical sectors. In line with the latest trend, the demand for the knowledge and capabilities regarding AI is increasing. In this research, we suggest directions of the education in biotechnology and AI convergence. We employ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the in-depth interview(IDI)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specialists belonging to biopharmaceutical, medical and AI field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AI and biotechnology is presently required to the biotechnology trainee. Advancing into the bio-convergence industry is currently limited to college graduates majored in biotechnology. Special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firm that bio major students should attain logic and mathematics in studying AI and programming, which leads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with the convergence of AI and biotechnology. This research confirmed the AI proficiency required for bioconvergence worker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o be implemented for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자인씽킹 기반 SW기초 교양 교육에서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수업효과성 분석

        오경선(Kyung-Sun Oh),장은실(Eun-Sill Ja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현재 우리 사회는 지능정보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초중등 소프트웨어(SW)교육은 학습자에게 균등하게 제공되고 있지 않아 상급학교로 진학하면서 그 격차가 심화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SW교육 경험이 상이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SW교육 전략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본 연구는 2021년도 1학기, 2학기 K대학의 ‘컴퓨팅적사고’ 교과목 에서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컴퓨팅사고 교육을 SW기초 교양 강좌에 적용하여 사전 SW교육 경험에 따른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컴퓨팅사고를 중심으로 교수설계를 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학습자가 본 교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SW교육을 경험한 기간을 4개의 그룹으로 세분화하여 각 그룹별로 ‘컴퓨팅사고 효능감(CT효능감)’과 ‘SW교육지속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SW기초 교양교육에서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컴퓨팅사고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SW교양 교육이 질적으로 향상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As our society transitions into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 systematic preparation is needed. However, as domestic elementary and secondary software (SW) education is not provided equally to learners, there are many concerns that the gap will widen as students enter higher schools. At a time when research in effective SW education strategy is urgently needed for learners with different SW education experience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applying design thinking education using design thinking to SW basic liberal arts courses in K University’s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1.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 applied teaching methods to the field by teaching and designing computing thinking using design thinking. The period during which learners experienced SW education before education was subdivided into four groups to confirm the changes in ‘Computing Thinking Efficacy’ (CT effectiveness) and ‘SW education persist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rm a positive change in the effectiveness of computing thinking classes using design thinking in SW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In addition, educators are now able to develop improvement plans. In future studies, in-depth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will be conducted to prepare various strategies that will allow us to make progress in the systematization of basic SW education to improve its overall quality.

      • KCI등재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컴퓨팅사고 교육내용 설계 기본 연구

        오경선 ( Kyungsun Oh ),안성진 ( Seongjin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2

        현 시대를 소프트웨어 혁명기라하며 이러한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 무엇보다 컴퓨팅 사고력에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 역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량을 길러내기 위하여 교육기관에서는 컴퓨팅사고력 기반의 문제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 역량을 길러낼 학습내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컴퓨팅사고 역량의 목적에 맞는 학습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조사를 하였고 이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컴퓨팅사고의 각 역량을 길러낼 수 있는 내용들을 추출하였다. 향후, 연구결과의 내용을 토대로 컴퓨팅사고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설계에 밑거름이 되고자한다. We enter the age of "a software revolution. The core competence for people living in these times as based on software competence to tackle the problem in computational thinking. Solve the problem of the basis of computational thinking to cultivate these competences to adopt a programming. As a result, this text to study is raising the computational thinking competencies for software training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learn. A couple of times to develop content for the purposes of computational thinking competencies, Two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across extract the contents of a computational thinking. Further, these studies based on accident, we look forward to develop in the proc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competences.

      • 네일 색채의 표준화를 위한 색채 관리 방안 연구

        오경선(Kyoungseon Oh),배유미(Yumi Bae),이주현(Juhyun Lee),문은배(Eunbae Moo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0

        여성들이라면 누구나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다양한 미용문화를 접하고 있다. 그 중 가장 쉽고 간편하며 다양하게 이미지를 연출 할 수 있는 네일아트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매니큐어"라는 용어의 사전적 정의는 "손톱 손질[손 관리]을 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실제 매니큐어의 용어는 "nail polish"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 및 교체가 간단하고 자유로운 미용제품으로 부담없이 구매하고 사용하는 "nail polish"에 대한 색채 관리 연구로 네일 색채의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표준화 관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측색기를 이용한 실측 방법을 통하여 현 네일 색채의 분포를 조사한 후 판매자, 구매자, 관리자의 각각의 서로 다른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색채 관리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판적 리터러시를 통한 시민성 함양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중학교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오경선(Oh, Kyungse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시민성 교육의 일환으로서 비판적 리터러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생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비판적 리터러시 관점에서 현행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주생활 영역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및 교과서를분석하였고, Laster(1986)의 비판과학 관점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적용, 미국 위스콘신 주의 식생활 교사용 지도서 “A Teacher’s guide : Family, Food and Society”(Staaland & Storm, 1996)을 참고하여 주생활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목표 및 주생활 영역 성취기준, 학습요소, 평가방법에서는 비판적 리터러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는 실천적 문제해결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수학습방법에서는 실천적 추론과 비판적 사고 기술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3개의교과서 주생활 영역의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현재 문화에 적응, 대처하는 내용으로 기술되었고 비판적 해석과 사회행동에까지 이를 수 있는 문제 제기나 사회적 이슈가 거의 없었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주생활 교육과정을 개발한 결과, 주생활의 지속적인 관심사, 가치를 둔 목표, 학습내용선정 및 조직, 그리고 총 7개 모듈로된 13차시 교수⋅학습지도안과 읽기 자료, 학습지, 영상자료 등 총 학습자료 26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차기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비판적 리터러시를 활용할 수 있는 주생활 관련 사회적 이슈와 다양한 계층의 주생활 모습을 다루어야하며, 학생들이 실천적 추론과 비판적 사고 등의 모범이 되는 교사를 지원하는 교사공동체 및 연수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at can promote citizenship through critical literacy. To this end, the ‘housing’ area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and textbooks were analyzed from a critical literacy perspective. Using Laster(1986) s critical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course and “A Teacher’s guide- Family, Food and Society”(Staaland & Storm, 1996), a ‘Citizenship raising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housing area.’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he curriculum was examined, the teaching objectives of the overall subject, or the achievement criteria, learning elements, and evluative methods of the housing area consisted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curriculum that can include critical literacy cont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 of the three textbooks housing area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described as adapting to and coping with the current culture, and few problems or social issues were mentioned that could lead to critical literacy. Second, the housing area curriculum for critical literacy learning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13 plan of 7 modules including continuous interests, valued ends, learning contents, and 26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reading materials, and video materials. Based on the findings, the next curriculum and textbook should address social issues related to critical literacy and various classes of housing, and teachers communities and training should be operated to support teachers who can be examplary for practical reasoning and critical thinking.

      • 국내외 정보보안 교육과정 현황 비교분석

        오경선 ( Kyung Sun Oh ),안성진 ( Seong Jin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2

        정보보안의 위험성은 고도화, 다양화 되어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해결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의 대처 방안을 뛰어넘는 정보보안이 필요하며 이러한 산업사회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보안인재의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안인재를 육성하는 정규교육 과정 중심으로 미국과 영국, 일본과 우리나라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보안 인재를 배출하기위한 점검을 하여 향후 보안인재 양성을 위한 연구에 기초가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의생활 영역 가정과수업의 적용

        오경선(Oh, Kyungseon),이수희(Lee, Soo-H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개발된 비판과학 관점의 의생활 교수⋅학습과정안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위치한 K중학교의 2학년 학생(총 42명)으로 선정하여 총 4주 동안 12차시 수업을 적용하였고,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 적용을 통한 임파워먼트의 양적 분석을 위해 5점 척도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측정한 후 SPSS/win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해서 학생 상담 자료, 수업일기, 실행 보고서 등을수집하였고, 임파워먼트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의생활 교수⋅학습지도안 중 모듈A에서 모듈D를 각 2시간씩 진행하였고, 모듈E는 실행 프로젝트로 총 4시간을할애하여 진행하였다. 모둠별 실행 프로젝트에서는 학생들이 주도해서 홍보 포스터, 스티커 제작 후 배부, 의생활 퀴즈, 온라인상에 의견 올리기, 홍보 동영상, 재활용품 만드는 방법 알리기, 지역사회 기부 등의 사회 참여 활동을 실행하였다. 둘째, 개발된교수⋅학습지도안의 양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치⋅사회적 임파워먼트가 사전 평균 3.12에서 사후 평균 3.36으로 유의미한결과가 나타났다(t=-2.06, p<0.05)였다. 임파워먼트의 질적 자료 분석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 효능감을 인지한 것으로확인되었다. 개인내적 차원은 긍정적인 자기 인식과 자기 효능감, 대인관계적 차원은 원활한 의사소통, 민주적 의사결정 등을확인할 수 있었다. 정치⋅사회적 차원은 타인을 도움으로써 사회에 환원하는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판과학관점의 가정과수업이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에 양적⋅질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학생들이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고,타인과의 협력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책임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lothing teaching-learning pla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developed toimprove teenager’s empowerment, and to examine it’s effects. A total of 12 plans of 5 modules(Module A to E) developedfrom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were implemented for four weeks. Second-year students (N 42) of K Middle School locatedin Y-si,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study,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t-tests. For the quality analysis, The student interview data, action reports and etc.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using empowerment model as the analysis framework. The findings of study are follows. First, two hours each for modules A to D, and four hours for module E were assigned, because module E included anaction project. In the action projects by for groups, students were expected to take the lead in conducting the activities suchas developing promotional posters, posting opinions online, promoting videos, informing how to make recyclables, and donatingto the commun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implementation vs post-implementation empowerment scores, a significantdifference was found in social-political empowerment (t=-2.06, p<0.0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udent interviews andstudents project’s reports, students were found to become aware of empowerment through the instruction. On the intrapersonallevel, positive self-awareness and self-efficacy, and on the interpersonal level, smooth communication and democraticdecision-making were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regular a home economics instruction class from a criticalscience perspective have mad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act on teenagers’ improvement empowerment, providingopportunities to find their roles in the soceity, cooperate with others, and behave responsibly as members of society.

      • KCI등재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이유와 컴퓨팅사고력간의 관계성 연구

        오경선 ( Kyungsun Oh ),안성진 ( Seongjin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5

        지금은 국내외적으로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 컴퓨팅사고력기반의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양성을 하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힘을 쏟고 있다. 더욱이 직업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학에서는 소프트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며 IT계열이 아닌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더욱 확산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학에서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이 초보학습단계에서 보이는 어려움의 정도를 사고단계별로 설문하여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컴퓨팅사고영역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이 배우는 프로그래밍 교육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oday, living in a software-centered global community. lots of countries are putting most efforts on breeding a creative manpower well equipped with problem-solving abilitie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Upon this colleges and universities where most strongly related to job activities are proceeding instruction related to programming for the IT major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software education. Hereby we intend to be of a proper help for every colleges and universities students who are working on educational programming design for the first time performing a research prob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ull gamut of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the result acquired through a phased survey showing the amount of difficulties at their beginning s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