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18세기 왜관의 연료 소비 양상과 연료 지급 방법

        여민주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3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nsumption type of firewood used in Waegwan from the perspective of Joseon, the number of people paid, and the method of payment. Japanese residents or visitors to Waegwan needed fuel for their daily lives during their stay in Waegwan. Firewood and charcoal were used to cook food and fire in winter. Fuel is used not only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also for handicrafts. Joseon wanted to provide it amicably. It was in 1611 that firewood began to be provided to the Japanese, and From gwansuwae to songsa and chawae entering Waegwan, firewood was provided. As the number of Japanese entering Waegwan increased, Joseon tried to provide fuel to them. However, a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irewood paid, there was a shortage of firewood, and in this situation, Joseon tried to provide coal so that the payment of firewood would not be disrupted. This payment method was prepared through 封山, 柴炭價布. Joseon provided Bongsan to Busanjin, Naepo and Hwaje-ri in Yangsan, and here, charcoal was loaded and transported to Waegwan for use. The firewood was prepared in Jeolyeongdo. As for how to prepare fuel through 柴炭價布, each team in the left and right provinces of Gyeongsang Province cut down firewood, dug up charcoal, and received it and paid it to the Waegwan. However, the fuel could not be provided in time, so it was paid to Waegwan through Gapo. However, in the process of supplying fuel to Waegwan, friction occurred between Waegwan and Joseon. Failure to comply with the fuel payment date resulted in a nanchul(闌出) and murder. In order to prevent such social problems,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add and revise regulations on the fuel payment of Waegwan.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Joseon government considered the fuel paid to the Japanese living in Waegwan as important. 본고에서는 조선의 관점에서 왜관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소비 형태와 지급받는 인원과 지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왜관에 상주하거나 방문하는 일본인들이 왜관에 거처하는 동안 일상생활을 위해서 연료가 필요했다. 음식을 조리하거나 겨울철 난방을 위해서 땔나무와 숯이 사용되었다. 의식주뿐만 아니라 수공업용으로도 연료가 사용되었는데, 조선은 이를 우호적으로 지급하고자 했다. 조선이 왜관에 연료를 지급하기 시작한 것은 1611년부터이며, 송사부터 관수왜, 별차왜까지 연료를 지급했다. 왜관으로 들어오는 일본인들의 직책이 늘어나는 만큼 조선은 연료를 지급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연료를 지급받는 인원들이 늘어나면서 연료가 부족하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은 연료 지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했다. 연료로 사용하는 땔나무와 숯은 봉산과 시탄가포를 통해 마련했다. 조선은 부산진에 양산 내포와 화제리에 탄봉산을 절급하였고, 여기서 숯을 마련해서 왜관까지 운반하여 지급하도록 하였다. 땔나무는 절영도에서 마련하였다. 시탄가포를 통해 시탄을 마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경상 좌․우도의 각 진에서 시탄을 마련해서 부산진에 수납하고, 부산진이 왜관에 지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시탄을 마련하기 어려워지면서 시탄가포를 부산진에 지급하여 구매해서 지급하였다. 왜관에 연료를 지급하는 과정에서 왜관과 조선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했다. 연료 지급날짜 지키지 않자 난출이 발생하기도 하였고, 살인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조선은 계속해서 왜관의 시탄 지급에 대한 규정을 추가․개정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에서는 왜관에 거처하는 일본인에게 지급하는 시탄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중앙관사의 연료 조달 방법과 변화 양상

        여민주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2 No.-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fuel supply method used in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irewood used in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procured in three ways. First, there was gongsomok(貢燒木) in Gunhyeon(郡縣), which was divided into gongmul(貢物) and collected. The second a method of procuring firewood through sijang(柴場). The official residence that received sijang(柴場) is stipulated in the law.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sijang was paid to 14 to 15 government offices, and areas were mainly set near the waterfront to conveniently transport firewood, and the circumference of sijang was pai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firewood required. However, as the trees gradually disappeared within the sijang, firewood could not be obtained directly from the sijang, and taxes were levied on the people living in the sijang. However, since Joseon was negative about collecting taxes in the market, some government offices abolished the market and ordered people to buy and use firewood directly from Hojo(戶曹). The third is the method of procuring firewood through the labor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irewood was supplied through the labor system like Giinyeok(其人役). Later, as the Daedong Act(大同法) came into force, Gongin(貢人), who procured gongmul in kind, was given gongga(貢價) to purchase and procure necessary goods, and there were also gongins who procured fuel. They were applied to the existing labor system, but when the Daedong Act came into force, they were converted to Gongi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Joseon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ensure that there will be no disruption in procuring firewood for government offices by taking measures such as managing and supervising the market, reducing the number of Giin, or reducing the amount of firewood. It can be seen that the firewood used in the royal family and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was important.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왕실과 중앙관사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공급 방식의 변화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조선시대 중앙관사 사용하는 땔감은 세 가지 방법으로 조달받았다. 먼저 첫 번째는 군현에 공물로 분정하여 거두는 貢燒木이 있었다. 두 번째, 시장에서의 땔감 조달 방법이다. 시장을 지급받은 관사에 대해서는 법전에 규정되어 있다. 조선전기부터 14~15개 관사에 시장을 지급하였다. 땔감을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해 주로 수변 근처로 지역을 설정하였으며, 필요한 땔감의 양에 따라 관사마다 시장의 둘레를 다르게 지급하였다. 시장 내 주민들의 역을 감해주고, 땔감을 마련해서 관사로 조달하도록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시장 내에서 수목이 점점 부족해지면서, 땔감을 조달하기 어려워지자 시장에 거주하는 민들에게 세금을 거두었다. 하지만 조선은 시장 안에서 세금을 거두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부 관사의 경우 시장을 혁파하여 호조에서 값을 받아 직접 땔감을 구매해서 사용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는 역제를 통한 땔감 조달 방법이다. 조선전기에는 기인역과 같이 역제를 통해 땔감을 조달받았다. 이후 대동법이 시행되면서 현물로 공물을 진배했던 공인에게 공가를 주고 필요한 물품을 구매해서 조달하게 하였는데, 연료를 조달했던 공인들도 존재했다. 이들은 기존의 역에 해당되었다가 대동법이 시행되자 공인으로 전환되었다. 조선은 시장을 관리・감독하거나, 기인의 수를 줄이거나, 땔감의 양을 줄이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여 관사에서 사용해야하는 땔감을 조달하는데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했는데, 이를 통해 왕실과 중앙관사에서 사용하는 땔감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유해대기오염물질의 관리 방향

        여민주,김나경,김봉만,정창훈,홍지형,김용표,Yeo, Min Ju,Kim, Na Kyung,Kim, Bong Mann,Jung, Chang Hoon,Hong, Ji-hyung,Kim, Yong Pyo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16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2 No.3

        Managing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becomes an important issue with the amendment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in 2012. In this study, to develop an effective air quality management policy direction against the HAPs in Korea, (1) the HAPs control policies in the USA, United Kingdom, Japan, and the South Coast Air Quality Management District (SQAQMD) are reviewed, (2) the state of the art of the HAPs management in Korea are studied, and (3) policy directions are suggested. It was found that each country has its own policy priority and management directi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current HAPs management status is far behind to the countries compared in HAPs identification, emission inventory, monitoring, modeling, and risk management. Further policy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생태적자 추이 및 영향요인 분석

        여민주,김용표,Yeo, Min Ju,Kim, Yong Pyo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1

        북한은 환경자원 소비가 충분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생태발자국이 생태수용력보다 큰 생태적자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생태수용력과 생태발자국, 생태적자 추이를 살펴보고, 생태발자국과 생태수용력의 비를 의미하는 오버슈트 비율에 영향을 준 5개 요인의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5개 요인은 생태발자국을 구성하는 인구와 개인의 환경자원 소비강도를 의미하는 일인당 생태발자국, 생태수용력을 구성하는 토지면적, 생산성인자, 그리고 토지면적과 생산성인자를 제외하고 생태수용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등가인자와 연간생산성인자 변화율의 곱)이다. 북한의 생태적자는 생태수용력보다 생태발자국을 구성하는 요인에 의한 기여가 높았다. 생태적자는 1966년에 시작되었는데, 이 시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일인당 생태발자국 값이 오버슈트 비율에 기여하는 비율이 60% 전후로 가장 높았고,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인구에 의한 기여도가 40~60%로 가장 높았다. 토지면적과 생산성인자에 의한 기여도도 1990년대 중반 이후 높아져서 토지면적은 최대 15%, 생산성인자는 최대 18%까지 증가하였다. 생태수용력과 생태발자국 모두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경작지 부문의 경우, 면적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줄어들어 생태수용력이 감소하였다. 북한의 생태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1990년 이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는 산림면적을 이전 수준으로 복구하고, 경작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북한 주민의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식량 지원 방안, 자연재해에 대한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North Korea has been in ecologically deficit state since 1966, despite of lack of energy and food resources. Trends of the Biocapacity (BC), the Ecological Footprint (EF), and the Ecological Deficit (ED) of North Korea were shown and five factors influencing on the Overshoot Rate (OSR) which is the ratio of the BC and the EF in North Korea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five factors consist of two factors affecting to the EF and three factors affecting to the BC in North Korea. Two of the five factors are affecting to the EF those are population, the EF per capita (EFPC) which indicates the individual environmental consumption intensity, and three are affecting to the BC those are the land area, the yield factor, and the value multiplying the equivalence factor and the intertemporal yield factor. The EF has contributed more than the BC to the OSR. From 1966 to mid-1990s, the EFPC was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at about 60%, and after mid-1990s, population at about 40~60%. Contribution ratio of land area and the yield factor have increased after mid-1990s up to 15% and 18%, respectively. The BC of cropland which has decreased due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In order to reduce the ED of North Korea,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cropland and restoration of forest. Forest area has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1990 in NK. And ways to solve the food shortage problem which influences on decrease of both productivity of cropland and forest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