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별 초미세먼지(PM<sub>2.5</sub>) 농도 추이와 고농도 발생 현황

        여민주,김용표,Yeo, Minju,Kim, Yongpyo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19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5 No.2

        The public's concern on ambient $PM_{2.5}$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We have estimated (1) the annual and monthly mean $PM_{2.5}$ concentrations, (2) the frequency by the $PM_{2.5}$ concentration interval, and (3) the high concentration occurrence duration time between 2015 and 2018 at 16 administration regions. We found that there have been differences in all three above parameters' trends among the studied 16 regions in Korea. Still, Jeonbuk showed the highest rank in all three parameters' trends. In Jeonbuk, the average $PM_{2.5}$ concentration and the sum of the frequency fraction when the $PM_{2.5}$ concentration being over $75{\mu}g/m^3$ between 2016 and 2018 was $28.4{\mu}g/m^3$ and 9.0%, respectively. And the days when the $PM_{2.5}$ concentration is over $50{\mu}g/m^3$ between 2015 and 2018 were 149. Chungbuk was the only region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PM_{2.5}$ concentration between 2016 and 2018. And in Seoul and Gyeonggi, the average $PM_{2.5}$ concentrations decreased whereas the high concentration frequency fraction increased between 2016 and 2018. Also, it is found that there have been differences in the trends of the frequency by the $PM_{2.5}$ concentration interval and the high concentration occurrence duration time between $PM_{10}$ and $PM_{2.5}$.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쇠고기 소비에 의한 생태발자국 추이와 예측

        여민주,김용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4

        Influences on the environment from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have increased drastically during the last 50 years in Korea. Reduction of bovine meat consump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s as sustainable food supply.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and the ecological footprint (the sum of the cropland, grazing land, and carbon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have increased over 13 and 12 times over the last 50 years. Especially, the consumption of imported bovine meat and the ecological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imported bovine mea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bout 346 and 369 times over the last 40 years. If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decreased by half in Korea in 2023, the ecological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would be reduced by 40~65% depending on the scenarios. The supportable population number for the consumptions of environmental resources (food (crops, livestock, and fish), energy, forest, and built-up land) and the crops were 0.57~1.56 million and 3.42~6.83 million,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scenarios and the nationality of the supported people. 최근 육류 소비에 의한 환경 영향이 증가하였고, 쇠고기 소비를 줄이는 것은 지속가능한 식량 공급을 위한 대안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50여 년간 쇠고기 소비는 1961년 대비 2009년 약 13배증가하였고, 쇠고기 소비에 의한 생태발자국(경작지발자국, 초지발자국, 탄소발자국의 합)도 동기간 약12배 증가하였다. 특히 수입 쇠고기 소비 증가가 1970년 대비 2009년 약 346배, 수입 쇠고기 소비로 인한생태발자국은 369배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2023년 한국인이 쇠고기 소비를 절반으로 줄이는 경우 쇠고기 소비에 의한 생태발자국은 기준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40~65% 감소하였다. 또한 시나리오별 저감된 생태발자국으로 지탱가능한 인구수를 추정하면, 한국인과 세계평균 소비 수준에 따라 약57~156만 명의 식량(농작물, 육류, 어류), 화석 에너지, 산림 및 건조환경 부문의 소비를 지탱할 수 있고, 342~683만 명의 농작물 소비를 지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17~18세기 訓鍊都監의 연료 조달 방법과 변화 양상

        여민주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3

        본고는 17~18세기 훈련도감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조달 방식과 변화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훈련도감에서는 조총, 화약 등 무기를 만들거나, 군병들의 의식주를 위해 숯과 토목이 사용되었다. 군인들의 의식주를 위한 연료보다 군기 제조에 더 많은 연료가 소요되었으므로, 연료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였다. 훈련도감에서 필요한 연료는 2가지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중앙관사와 같이 시장 절수를 통한 연료 조달이다. 조선전기부터 중앙관사나 무기 제조를 담당한 관청인 군기시는 시장을 절수 받았음을 법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훈련도감은 조선후기에 설치되어 법전에는 기록되어 있지않지만, 사료에서 시장 절수를 확인할 수 있다. 훈련도감은 경기 양근과 강원 춘천‧홍천‧낭천 지역에 시장을 절수 받았고, 여기서 무기를 제조하는 등 도감에서 필요한 연료인 토목을 수취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수목이 부족하게 되면서 시장은 화전으로 개간되기 시작하였고, 연료 수취 방식이 현물 수취에서 세금 수취로 변화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두 번째는 둔전 경영을 통한 연료 수급이다. 조선은 각 군영에 둔전을 지급하였는데, 둔전을 경작해서 필요한 재정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만기요람 에는 훈련도감에 14개의 둔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3개의 둔전이 연료를 마련하는 명목으로 절수된 둔전이었다. 둔전에서 경작에 대한 세금을 받아 연료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훈련도감의 시장과 둔전은 설치 시기와 위치, 세금 수취 등 내용이 비슷하였다. 검토한 바에 따르면 조정에서는 먼저 훈련도감에 시장을 절수를 허용하였고, 여기서 도감으로 하여금 벌목하여 연료를 수취하도록 하였다. 시장 내에 수목이 없어지자, 화전으로 개간되기 시작하였다. 시장 절수지가 화전으로 개간된 이후 세전을 거두어 토목을 마련하였다. 이후 시장으로 절수 받았던 곳들이 화전으로 모두 경작지로 개간되자, 이 지역을 둔전이라고 칭하였고, 이를 만기요람 등 19세기에 편찬된 사료에서는 둔전으로 명시하였다. 양근‧춘천‧홍천 지역에는 훈련도감의 시장과 둔전이 각각 존재한 것이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시장의 둔전화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the supply method and changes of fuel used in Hullyeon-Dogam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 the Hullyeon-Dog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charcoal and tomog(吐木) were used to make weapons such as handguns and gunpowder, or to provide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soldiers. In order to solve the fuel demand required by the military camp, it was attempted to solve it through two methods. The first is the supply and demand of fuel through Sijang, lik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It can be seen from the Code that GunGisi, a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weapons manufacturing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received Sijang. Military camps, including Hullyeon-Dogam,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re not recorded in the code of law, but it can be seen that Sijang was pai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Hullyeon-Dogam received Sijang in Yanggeun, Gyeonggi-do, and Chuncheon, Hongcheon, and Nangcheon, Gangwon-do, and was required to receive tomog, a fuel necessary for the military camp, such as manufacturing weapons. However, due to the lack of trees, Sijang was reclaimed as a slash-and-burn field. The second is fuel supply and demand through Dunjeon management. Joseon paid dunjeon to each military camp, which was cultivated and used for necessary finances. It is confirmed from 19th century data that Hullyeon-Dogam also had Dunje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14 Dunjeons in Man’gi Yoram , of which three Dunjeons were saved in the name of providing fuel. However, in the case of Hullyeon-Dogam, Sijang and dunjeon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review, Sijang was first paid to Hullyeon-Dogam, where Hullyeon-Dogam was required to receive the in-kind. However, trees became scarce, and after it was reclaimed as slash-and-burn field, taxes were collected to prepare tomog. At this time, what was reclaimed as a slash-and-burn field in the place where it was saved as Sijang was specified as dunjeon in historical records compiled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Mangiyoram."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Yanggeun, Chuncheon, and Hongcheon regions of Hullyeon-Dogam, Sijang and Dunjeon did not exist, respectively, but it can be seen that the Dunjeonization of Sijang appeared over time.

      • KCI등재

        17~18세기 왜관의 연료 소비 양상과 연료 지급 방법

        여민주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3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nsumption type of firewood used in Waegwan from the perspective of Joseon, the number of people paid, and the method of payment. Japanese residents or visitors to Waegwan needed fuel for their daily lives during their stay in Waegwan. Firewood and charcoal were used to cook food and fire in winter. Fuel is used not only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also for handicrafts. Joseon wanted to provide it amicably. It was in 1611 that firewood began to be provided to the Japanese, and From gwansuwae to songsa and chawae entering Waegwan, firewood was provided. As the number of Japanese entering Waegwan increased, Joseon tried to provide fuel to them. However, a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irewood paid, there was a shortage of firewood, and in this situation, Joseon tried to provide coal so that the payment of firewood would not be disrupted. This payment method was prepared through 封山, 柴炭價布. Joseon provided Bongsan to Busanjin, Naepo and Hwaje-ri in Yangsan, and here, charcoal was loaded and transported to Waegwan for use. The firewood was prepared in Jeolyeongdo. As for how to prepare fuel through 柴炭價布, each team in the left and right provinces of Gyeongsang Province cut down firewood, dug up charcoal, and received it and paid it to the Waegwan. However, the fuel could not be provided in time, so it was paid to Waegwan through Gapo. However, in the process of supplying fuel to Waegwan, friction occurred between Waegwan and Joseon. Failure to comply with the fuel payment date resulted in a nanchul(闌出) and murder. In order to prevent such social problems,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add and revise regulations on the fuel payment of Waegwan.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Joseon government considered the fuel paid to the Japanese living in Waegwan as important. 본고에서는 조선의 관점에서 왜관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소비 형태와 지급받는 인원과 지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왜관에 상주하거나 방문하는 일본인들이 왜관에 거처하는 동안 일상생활을 위해서 연료가 필요했다. 음식을 조리하거나 겨울철 난방을 위해서 땔나무와 숯이 사용되었다. 의식주뿐만 아니라 수공업용으로도 연료가 사용되었는데, 조선은 이를 우호적으로 지급하고자 했다. 조선이 왜관에 연료를 지급하기 시작한 것은 1611년부터이며, 송사부터 관수왜, 별차왜까지 연료를 지급했다. 왜관으로 들어오는 일본인들의 직책이 늘어나는 만큼 조선은 연료를 지급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연료를 지급받는 인원들이 늘어나면서 연료가 부족하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은 연료 지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했다. 연료로 사용하는 땔나무와 숯은 봉산과 시탄가포를 통해 마련했다. 조선은 부산진에 양산 내포와 화제리에 탄봉산을 절급하였고, 여기서 숯을 마련해서 왜관까지 운반하여 지급하도록 하였다. 땔나무는 절영도에서 마련하였다. 시탄가포를 통해 시탄을 마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경상 좌․우도의 각 진에서 시탄을 마련해서 부산진에 수납하고, 부산진이 왜관에 지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시탄을 마련하기 어려워지면서 시탄가포를 부산진에 지급하여 구매해서 지급하였다. 왜관에 연료를 지급하는 과정에서 왜관과 조선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했다. 연료 지급날짜 지키지 않자 난출이 발생하기도 하였고, 살인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조선은 계속해서 왜관의 시탄 지급에 대한 규정을 추가․개정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에서는 왜관에 거처하는 일본인에게 지급하는 시탄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