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양육환경과 기관의 질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혜영(Hae Young Yang),정승원(Seung Won Chung) 한국아동학회 1999 아동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family environment,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and chlld`s stress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41 boys, 197 girls and their mothers in 7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Kyonggido. Children`s behaviors were evaluated by three raters(mothers, teachers, and observers) in either a family setting or a child care center.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ho had problem behaviors in their families showed more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in the child care centers. Mothers who reported more stressful life events and parental stress had children with more problem behaviors in their families. Observers and teachers reported fewer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in child care centers rated as showing high quality of program.

      • SCOPUSKCI등재
      • 농촌중심지 유휴공간 발생특성 연구 - 경주시 안강읍의 빈집과 빈터를 중심으로 -

        양혜영(Yang, Hye-Young),우신구(Woo, Shin-Koo)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cant space occurrence in rural center where rural and urban characteristics are mixed. Analyzed upon the vacant spaces GIS mapping, The vacant spaces in Angang-eup have been found to occur in areas related with road plan, frontage condition, commercial area and frequent flooding. In summary, The vacant space occurrence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hould take on a general viewpoint with flexible actions by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 of the area.

      • SCOPUSKCI등재

        계란분말 제조 조건에 따른 스펀지케이크의 특성 변화

        양혜영(Hae-Young Yang),이진성(Jinsung Lee),박기환(Ki-Hwan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3

        계란분말 제조 조건이 스펀지케이크의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무건조 온도를 70℃로 일정하게 하고, 비탈당 또는 탈당하여 pH를 달리하는 등으로 제조한 4종류의 계란분말과 상업용분무건조분말, 동결건조분말 등을 소재로 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여 이들의 특성을 분석 하여 본 결과, 스펀지케이크의 특성을 높이는데 가장 적합한 소재로는 계란을 탈당한 뒤 70℃에서 분무 건조시켜 제조한 계란분말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 분말의 거품상태와 반죽상태에서의 비중은 각각 0.32와 0.42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결건조분말의 경우 거품과 반죽 상태에서의 비중 및 케이크의 부피와 물성 등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탈당시켜 분무건조온도를 70℃로 하여 제조한 분말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그 외에 시료로 사용된 모든 계란분말은 거품이나 반죽상태에서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고, 또한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로 볼 때, 스펀지케이크 제조용 소재로는 부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상업용분무건조분말로 제조한 케이크는 모든 특성 면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선한 계란액을 탈당시킨 후 70℃에서 분무 건조시켜 만든 분말이 스펀지케이크를 만드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소재로 확인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s of whole egg powder with high foaming property sufficient for making sponge cakes. Whole eggs were either desugarized and/or adjusted pH before spray-dried at a temperature of 70℃.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ake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a 9-point scale. The pH and specific gravities of the foam and batter made from desugarized egg powder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he control, whereas batter made from commercial powder experienced significant loss of cake characteristics. The pH adjustment did not improve the foaming properties of the egg powders. The volume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cakes made from spray-dried egg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fresh egg. The taste and sensory characteristic scores for fresh egg, desugarized whole egg powder, and commercial powder were 5.00, 4.78, and 1.89,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gg powders desugarized and spray-dried at 70oC are sufficient for making sponge cakes with acceptable physical and sensory attributes.

      • SCOPUSKCI등재

        난백분말 제조 조건에 따른 엔젤 푸드 케이크의 특성 변화

        양혜영(Hae-Young Yang),김민영(Min-Young Kim),김정연(Jeong-Yeon Kim),심재용(Jae-Yong Shim),임지영(Jee-Young Imm),박기환(Ki-Hwan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2

        거품성능과 겔형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난백분말(pH 6.34, 72.5℃; pH 6.74, 66.5℃; pH 7.72, 76℃)과 상업용 난백분말로 각각 엔젤 푸드 케이크를 제조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6.74, 66.5℃와 pH 7.72, 76℃의 조건으로 제조된 난백분말로 만든 엔젤 푸드 케이크의 거품과 반죽의 비중, 케이크의 부피 및 물성 등을 측정한 결과는 난백을 사용하여 만든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상업용 난백분말로 제조한 케이크는 모든 면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 기호도 면에서는 처리 조건 pH 6.74, 66.5℃의 난백분말로 만든 엔젤 푸드 케이크만이 대조구와 유사하게 평가되고 나머지는 다소 낮았으며, 상업용 난백분말로 만든 엔젤 푸드 케이크는 아주 낮았다. 따라서 난백의 pH를 6.74로 조정한 후 건조온도 66.5℃에서 제조한 난백분말은 엔젤 푸드 케이크를 만드는데 적합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s of egg white with high foaming property for the production of angel food cakes. The egg whites were desugarized and powdered at predetermined pHs and drying temperatur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cakes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a 9-point scale. The volume and textural properties of cakes produced from spray-dried egg whites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he cakes prepared from the control egg whites. The pH of batter and the specific gravity of foam and batter with egg white powder at pH 6.74/66.5℃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he control, whereas the one prepared with commercial powder lost the characteristics of cake to a significant degree. The overall acceptance scores of egg white powder of pH 6.74/66.5℃ and commercial powder were 6.25 and 2.33 as compared to the control (6.4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gg white powder that was desugarized, pH-adjusted to 6.74, and dried at 66.5℃ might be utilized to prepare angel food cakes with the desirabl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ttributes.

      • KCI등재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초등 학생들의 논리 사고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

        양혜영 ( Hae Yeoung Yang ),강순희 ( Soon Hee Ka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3 초등과학교육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at the ‘Thinking Science’ activities affects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by the logical thinking skill about pupil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19 activities of ‘Thinking Science’ as the teaching materials was implemented to 40 pupils in elementary school over 13 week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logical thinking skills(p<.05). Those teaching materials contributed to improve 3 logical sub-elements significantly(p<.05) as the proportional logical element, the probabilistic logical element, and combinational logical el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servational logical element, control of variable element, and correlational element(p<.05).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부모-아동 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 주도 가정 기반 음악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

        양혜영(Hye young Yang)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 부모가 자녀와 함께 가정에서 음악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것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아동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만 3세-9세 사이의 ASD 아동의 부모 10명이 참여하였고, 각 부모는 주 1회, 30분씩 개별로 이루어진 사전 교육에 참여한 후 총 5주간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은 부모가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악을 적용한 활동을 구성하고, 아동과의 상호작용이나 부모가 활동에 관하여 결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수준을 수용적인 수준에서부터 능동적, 자율적 수준까지 총 3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ASD 아동 부모가 한 주간 음악 활동을 실행한 평균 횟수는 2.5회, 평균 진행 시간 9.2분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가 지각하는 ‘편안함’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도움이 된 정도’의 인식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효능감, 부모-아동의 ‘친밀감’ 영역에서도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대상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의 가족을 지원할 때, 가족의 고유한 특성과 필요를 고려하는 중요성과 다양한 음악 활용 방안을 지원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부모의 보고 내용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추후 가정 기반 음악 활동 및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수준과 범위, 고려 사항을 제안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and impact of a 5-week parent-led home-based music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program aimed to enhance the parents’ sense of competenc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 Each week for 5 weeks, 10 parents of 10 children with ASD (aged 3 to 9 years) received weekly 30-minute personalized lessons on how to implement the home-based music program and implemented the educated music program at home with activities involving receptive and active engagement. On average, the parents conducted the music program 2.5 times a week for about 9.2 minutes per session. At the end of the 5 weeks, parents reported increased comfort and effectiveness i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 through music. In addition, positive changes were noted on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and the closeness aspect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articipants affirmed the program's feasibility, emphasizing its potential for supporting families with children with ASD. Thes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home-based music activities and program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ailoring interventions to the unique needs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ASD.

      • KCI등재후보

        배출권거래 계약체결 과정에서의 리스크 관리

        양혜영(Hye Young Yang)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08 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Vol.3 No.1

        Since 2006, the number of new projects added to the Korean CDM list has been increasing linearly. Until now, 15 projects have been registered as CDM in Korea While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has doubled both in value and volume than the previous year, Korean carbon market has been growing as the third country for the issuance of CERs. So trade deals of emission reductions will be increased in the future. Therefore, to build up our potential and competitiveness of emission trading is needed to define what factors set the price and to know the basic procedures to make a deal.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companies or organizations to prepare to involve in carbon market.

      • SCOPUSKCI등재

        과학지도 작성을 통한 미래기술 발굴 및 정부R&D의 동적 투자방향성 설정 연구

        양혜영 ( He Young Yang ),손석호 ( Suk Ho Son ),한민규 ( Min Kyu Han ),한종민 ( Jong Min Han ),임현 ( Hyun Y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3

        정부는 과학기술이 실현할 긍정적 미래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을 수립하였다. 과학기술 미래비전은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한국사회의 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적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비전달성을 위한 25대 미래핵심기술분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후속작업으로, 과학기술 미래비전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 전략이 수립되었다. 연구개발 전략은, 25대 미래핵심기술분야별로 특히 미래과학기술발전을 주도해나갈 미래주도기술을 선정하고 그에 대한 정부R&D 투자현황 분석과 향후 투자방향성으로 구성된다. 미래사회를 주도할 기술의 선제적 발굴과 그에 대한 정부의 전략적 정책설정은 기술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래기술 발굴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미래기술 발굴에는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이나 전문가평가를 통한 포트폴리오분석 등 정성적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에게 의존해야 하는 정성적 방법론은 객관성의 부족 등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정량적 방법론이 시도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논문서지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을 활용한 미래기술 발굴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미래기술에 대한 정부R&D 정책은 일반적으로 기술이 실현될 때까지 정부지원방향을 단일하게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간시점과 기술실현시점 등 2단계로 구분하여 구간별로 정부R&D에 대한 투자포트포리오를 제시함으로써 전략적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미래기술 발굴에 대한 정량적 방법론과 정성적 방법론의 결합 가능성을 통해 기존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둘째, 정부R&D의 투자방향성을 동적으로 제시하여 전략성을 제고하고 부처간 또는 연구수행 주체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의 구현을 위한 실천적 전략으로서 유용하게 적용되는 한편, 미래기술 발굴 및 정책설정의 방법론으로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orean government built 「2040 Science and Technology Future Vision」 in order to show positive future scenarios and suggest a long-term guideline for a progr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 Future Vision was built based on an analysis of global megatrends and a prospect of domestic social change. After building S&T Future Vision, the 「Government R&E Strategy」 was established as a follow-up action plan. The Government R&D Strategy consists of lists of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for future leadership, government R&D investment status and investment portfolio plans. Exploring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ggressively and making a governmental R&D strategic policy are requirement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leadership in the world. Therefore search and selection for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recently. Generally qualitative methodologies have been used such as expert-panel discussion method and portfolio analysis with expert valuation method in order to explore future technologies. These experts-based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well defined but lacking in some objectivity because size of expert-panels has limitations. We suggest a quantitative methodology, science mapping method to compensate this shortcoming in this study. There is another limitation related governmental R&D strategy which is that general R&D portfolios are static until a point of technology realization. We also propose a dynamic R&D investment portfolio which present different portfolios at a intermediate point and a point of technology realization. We expect this try with science mapping method and a dynamic R&D portfolio could strengthen strategic aspect of government R&D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